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부동산/경매
· ISBN : 9791196413767
· 쪽수 : 323쪽
· 출판일 : 2025-06-23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 저자의 부동산 투자 역사를 만나다!
Part 1 시작을 위한 첫걸음 떼기
01 부동산 경매, 도대체 넌 뭐니?
02 방대한 부동산 지식, 경매로 완성되다!
03 경매! 누구나 부자의 길로?
04 경매와 공매를 구분해보자
05 경매정보는 어디서?
06 경매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을까?
Part 2 부동산 권리 뽀개기 – 권리분석을 위한 사전지식
01 부동산과 관련된 권리의 종류를 먼저 알아보자
02 물권과 채권의 차이점은 뭘까?
03 저당권과 근저당권 무엇이 다를까?
04 가압류에 대한 상식
[상식 더하기] ‘자급명령제도’란 무엇인가?
05 전세권과 일반적인 전세는 완전히 다르다!
06 지상권, 큰 그림으로 그려보자!
07 지역권은 또 뭐야?
08 가등기를 알아보자
[상식 더하기] ‘담보가등기’이야기
09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유치권! 얜 뭘까?
10 환매특약등기란?
Part 3 권리분석은 스스로 할 수 있어야 한다! - 권리분석의 기초
01 권리분석의 이해
[상식 더하기] 기본 중의 기본 등기사항증명서 보는 법
02 말소기준 권리와 소멸주의, 인수주의
Part 4 등기부에 나타나는 권리의 분석
01 경매에서의 저당권과 근저딩권
02 전세권 권리분석
03 지상권, 경매에서 어떻게 될까?
04 가등기 사용설명서
05 ‘대지권 미등기’와 ‘대지권 없음’의 의미
06 토지에 별도등기가 있다?
Part 5 등기상의 보전처분인 가압류와 가처분 분석
01 경매 물건에서 가압류는 어떻게 될까?
02 가처분의 이해와 실제 사례
Part 6 권리분석의 완성 – 임차인 분석
01 주택임대차보호법과 임차인의 강력한 무기 대항력
02 확정일자를 갖춘 임차인의 우선변제권
03 제일 앞선 권리, 소액임차인 최우선변제권
04 ‘임차권등기명령’ 이야기
05 전입세대 확인방법
06 상가임차인을 위한 상가임대차보호법
07 순식간에 순위가 바뀐다! 대위변제 이야기
08 임차인 권리분석 실전 사례
Part 7 부동산 경매 절차의 모든 것
01 부동산 경매절차 한눈에 보기
02 경매, 용어만 친숙해도 절반은 성공!
03 경매의 이해관계인이란?
04 채권신고의 최고와 통지
05 무잉여 경매와 채권자 매수신청
06 임차인의 우선매수권 인정될까?
07 미등기부동산, 무허가건물 경매절차 가능할까?
08 입찰할 때 준비물, 확인 사항 그리고 입찰과정
09 입찰무효 사례와 치명적인 입찰 실수!
10 지분경매와 공유자 우선매수권
11. 매각불허가 신청, 즉시항고, 매각허가결정 취소신청의 이해
12. 차순위 매수신고 해야 할까?
13. 낙찰받은 부동산 소유권 이전하기
Part 8 배당의 원리 반드시 알아야 한다!
01 경매는 몰라도 배당은 알아야 한다!
02 경매의 배당에는 일정한 원칙이 있다
03 배당에는 일정한 순서가 있다
[상식 더하기] 필요비와 유익비 이게 도대체 뭘까?
04 소액임차인 배당사례 (1)
05 소액임차인 배당사례 (2)
06 낙찰자가 미납한 이유는?
Part 9 명도
01 명도에 대하여
02 명도에 효과적인 내용증명 작성 요령 및 사례
03 명도확인서 작성 및 유의사항
04 인도명령을 통한 강제집행 이야기
찾아보기(index)
저자소개
책속에서

우리가 외국 서적을 읽을 때, 그 나라 말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은 외국어 사전을 이용, 번역하여 그 뜻을 이해합니다. 부동산 지식 또한 다르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처음 부동산 법률을 접하면 평생 사용한 언어인 우리 말로 되어있음에도 불구하고 전혀 이해할 수 없는 경우가 태반입니다. 이는 부동산 관련 지식 특성상 그렇습니다. 부동산경매는 어떨까요? 하나의 부동산이 경매시장에 나오기까지 아주 험난한 과정이 있었겠지요. 채권자와 채무자 간의 대립, 격한 분쟁, 임차인(세입자) 분쟁, 수많은 법률적 요건 등등······. 집주인, 채권자, 세입자 모두 격정적인 인생 이야기가 있었을 겁니다. 경매까지 진행되는 일련의 과정들을 ‘지식’이란 시각에서 보면, ‘경매’란 민사집행법을 기본으로 하는 잡다한 부동산 상식이 총망라된 지식의 보고(寶庫)입니다.
... 「시작을 위한 첫걸음 떼기 : 방대한 부동산 지식 경매로 완성되다!」 중에서
권리는 자본주의 기본 이념인 ‘재산’이라는 개념에서 출발합니다. 재산권에는 ‘특정한 물건을 직접 지배하여 이익을 얻는 배타적 권리’라는 물권과 ‘채무자에게 일정한 행위를 청구할 수 있는 권리’인 채권이라는 큰 줄기로 나뉩니다. 이런 각각의 권리에 파생된 각종 법률을 하나하나 알아가는 과정이 부동산 상식을 습득하는 과정이고, 알아낸 지식으로 여기저기 얽혀있는 문제점과 위험을 간파, 응용하여 풀어나가는 과정이 권리분석이라 필자는 생각합니다. 이런 지식을 깊이 파헤치면 법률전문가의 길로 갈 것이고, 부동산 일반 법률과 관련된 지식을 응용하면 부동산전문가가 될 것이며, 민사집행법과 결합하여 순발력과 재능이 있는 분이라면 경매전문가가 되겠지요.
... 「권리분석을 위한 사전 지식 : 부동산과 관련된 권리의 종류 먼저 알기」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