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세무/재무/회계
· ISBN : 9791196643171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22-09-01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개정증보판을 내며
STORYTELLING Ⅰ 재무관리의 기초 이야기
1. 마법의 보물을 가진 세 자매와 왕자님
2. ESG와 기업의 목적
3. 성공적인 글로벌라이제이션의 비결
4. 남의 돈과 내 돈 중에 누구 돈이 더 비쌀까?
5. 돈만 많이 벌면 부자가 될까?
현재가치의 개념 / 부동산 가격의 비밀 / 기업가치의 비밀 / 할인율의 비밀
6. 도대체 재무관리란 무엇인가?
내 돈이 있어야 남의 돈도 빌린다-자본구조 / 투자의 결과-자산구조 / DELL Computer의 성공요인?효율적인 유동자산 관리
7. 자산구조가 자본구조에 미치는 영향
8. 자본구조가 자본비용에 미치는 영향
9. 자본구조가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
10. 블루오션은 어디에 있을까?
재무비율 분석과 블루오션
11. 기업의 다각화와 기업의 생존 능력
계란을 한 광주리에 담지 말라-사업 포트폴리오가 필요한 이유
12. 자산구조, 자본구조, 위험의 관계
파산위험과 최적자본구조
13. 남의 돈이라고 다 똑같은 남의 돈이 아니다-부채구조
단기자금과 외환위기 / 외화단기차입금의 위험과 실질 이자율 / 신주인수권부 사채 / 전환사채
14. 내 돈이라고 다 똑같은 내 돈이 아니다-소유구조
소액주주와 소액주주운동 / 소유구조 관리의 필요성 / 이스라엘의 요즈마펀드?해외 투자자와 파트너를 활용한 글로벌 시장 진출 / Zillow.com의 정보공개는 어떻게 가능한가? / 중소기업의 인재와 자금 유치 방안 / 젊어서 고생은 사서도 한다?기회비용의 개념과 활용
15. 누구에게 상을 주어야 하나?-올바른 성과평가의 기준
경제적 부가가치를 이용한 성과평가
16. 어떤 사업에 투자해야 하나?-투자의사결정기준
NPV(순현재가치) / IRR(내부수익률) / IRR 적용상 주의할 점 / IRR만으로는 돈을 빌리는 것인지 돈을 투자하는 것인지 알 수 없다. / IRR와 NPV가 서로 상충하면 어느 기준으로 투자의사결정을 하여야 하나? / NPV는 0보다 큰데 IRR가 너무 낮아 기각한다는 것이 말이 되나? / 수익성지수 / 회수기간
17. 경영의 언어, 재무를 읽다
시장가치 비율(Market Value Ratio)
STORYTELLING Ⅱ 고급 재무관리 이야기
18. 투자안의 분석과 평가
실물옵션의 종류 / 확장옵션 / 포기옵션 / 타이밍옵션 / 시나리오 분석 / 민감도 분석 / 재무적 손익분기점 분석
19. 환 위험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위험관리의 필요성 / 파생상품의 활용 / 파생상품을 활용한 전략적 자본조달
20. M&A와 구조조정
M&A의 이유와 합병의 시너지
STORYTELLING Ⅲ 사례로 본 재무관리 이야기
21. 글로벌기업의 의무
22. 효율성의 저주와 생각의 전환
23. 복지포퓰리즘 정책에 대한 기업의 능동적 대응
복지포퓰리즘 정책이 만든 금융위기
24. 소유구조를 활용한 위험관리
도요타의 상생 / 롯데에 대한 중국의 사드 보복 / SK에 대한 이라크의 금수조치
25. 자본조달을 활용한 위험관리
1997년 외환위기 / 아모레퍼시픽의 상하이 공장 / 오토닷컴의 중고자동차 판매사업 / BP의 카스피해 유정 개발 프로젝트
26. 보험을 활용한 위험관리
지진에 대한 캘리포니아와 멕시코의 사망률 차이
27. 신규 사업의 발굴
꿀벌의 새 집 찾기 / 증시의 효율적 시장 이론
저자소개
책속에서
“옛날 옛날 먼 나라에 마법의 보물을 가진 세 자매가 살았다. 첫째는 세상 어디든지 볼 수 있는 망원경을, 둘째는 세상 어디든지 단숨에 달려갈 수 있는 말을, 셋째는 세상 어느 병이든지 고칠 수 있는 사과를 가지고 있었다. (중략)” 보다 일반화한다면 기업의 목적은 ‘기업의 실패에 가장 큰 책임을 지는 주체의 부를 극대화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1. 마법의 보물을 가진 세 자매와 왕자님」 중에서)
필자는 기업 임원들에게 재무관리 교육을 시작하며 늘 빼놓지 않고 자기자본과 타인자본 중 어느 자본이 더 비싼 자본인지 먼저 물어본다. 임원들 대부분은 타인자본이 더 비싼 자본이라고 대답한다. (중략) 임원들은 본인들 회사의 경우에는 자기자본을 제공한 주주보다 타인자본을 제공한 채권자에게 더 높은 수익률을 제공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반면에 본인들의 돈을 투자할 때는 회사채에 투자할 때보다 주식에 투자할 때 더 높은 수익률을 얻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4. 남의 돈과 내 돈 중에 누구 돈이 더 비쌀까? 」 중에서)
기업은 신규 사업을 어떻게 발굴해야 하는가? (중략) 매년 봄마다 한 무리의 꿀벌은 새 여왕벌을 모시고 살 집을 찾아 이사를 간다. 정찰벌들은 새 집을 찾기 위해 각자 여행을 다녀와서 집에 남아 있었던 무리들에게 자신이 발견한 집에 대한 자신의 평가를 보고한다. (중략) 수천 마리의 정찰벌들이 자신이 보고 온 집에 대한 평가를 다 전달하였을 때, 한 무리의 벌들은 새 여왕벌을 모시고 가장 좋은 벌통으로 이사를 간다. (「27. 신규 사업의 발굴」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