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다른 눈으로 본 열국지 - 상

다른 눈으로 본 열국지 - 상

강용봉 (지은이)
꼬닥꼬닥협동조합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다른 눈으로 본 열국지 - 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다른 눈으로 본 열국지 - 상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고대사(선사시대~진한시대)
· ISBN : 9791196871598
· 쪽수 : 557쪽
· 출판일 : 2022-04-18

책 소개

중국 명나라 말엽의 작가 풍몽룡(馮夢龍)이, 중국의 기원전 8세기~3세기에 이르는 약 600년의 장구한 역사를 형상화한 소설 『동주 열국지(東周列國志)』(청대의 채원방이 풍몽룡의 『신열국지』를 『동주 열국지』라고 개칭)를 거꾸로 역사적으로 비교하며 탐색한 책이다.

목차

※ 다른 눈으로 보기에 앞서
1. ‘이 책은 이런 책이다’ 3
2. ‘간략하게 일러두기’ 5
3. ‘참고 문헌’ 7
4. ‘책을 내기까지’ 9
5. ‘추천사 임동석’ 14
6. ‘추천사 손병두’ 19
7. ‘추천사 정호완’ 21
8. ‘저자 약력’ 23

제1장 패자(霸者)를 기다리며
제1절 낙양 천도(洛陽遷都)

1. 주선왕(周宣王) 즉위(卽位) 전 32
2. 불길한 조짐(兆朕) 50
3. 포사(褒姒) 56
4. 견융(犬戎), 주(周)나라를 뒤흔들다 61

제2절 소패(小霸) 정장공(鄭莊公)
1. 진(秦)나라가 제후국(諸侯國)이 되기까지 66
2. 태숙 단(太叔段)의 난(亂) 69
3. 인질(人質) 맞교환 77
4. 주우(州吁)와 석작(石碏) 80
5. 신흥 강자 정장공 86
6. 시해(弑害) 그리고 시해 94
7. 정군(鄭軍)과 천자군(天子軍)의 싸움 103
8. 나도 왕이다 112

제3절 반란(叛亂)과 변란(變亂)
1. 밀거래된 군위(君位) 118
2. 또 다른 죽음 126
4. 억울한 죽음 134
5. 누가 누구를 심판하나 138
6. 참외가 익을 때 … 146

제2장 패자 제환공(齊桓公)
1. 제환공, 군위에 오르다 152
2. 포숙아(鮑叔牙)의 눈 156
3. 관중(管仲)의 등용(登用) 160
4. 조귀논전(曹劌論戰) 164
5. 남의 부끄러움을 건드리지 마라 167
6. 식규(息嬀) 170
7. 제환공 드디어 패자가 되다 174
8. 17년 만의 복위(復位) 181
9. 진(晉)나라 내전(內戰)은 끝나다 184
10. 초문왕(楚文王)의 죽음 189
11. 왕자 퇴(頹)의 난 192
12. 말 많은 혼사 195
13. 진경중(陳敬仲) 197
14. 비극의 씨 200
15. 투곡오도(鬪穀於菟)의 등용 206
16. 산융 토벌(山戎討伐) 212
17. 죽고, 죽이고, 또 죽이고 221
18. 이것이 패자가 할 일 230
19. 소릉 맹약(召陵盟約) 238
20. 바로 세우기 247
21. 순망치한(脣亡齒寒) 260
22. 백리해(百裏奚)도 얻고 건숙(蹇叔)도 얻고 267
23. 신생(申生)의 자살 274
24. 정변(政變), 그리고 두 시선 281
25. 숙청(肅淸) 289
26. 관중의 죽음 295
27. 한원 전쟁(韓原戰爭) 301
28. 이런 충심(忠心)도 있소이다 313

제3장 기다림, 그리고 기다림
제1절 짧고 굵게 진문공(晉文公)

1. 쓸쓸한 퇴장 320
2. 송양지인(宋襄之仁) 329
3. 열국주유(列國周遊) 340
4. 등극(登極), 기다림의 끝 345
5. 모반(謀反), 그 정체는 불안과 의심 353
6. 악연(惡緣) 363
7. 첫 출정(出征) 371
8. 패자가 보이는데 377
9. 성복(城濮) 전쟁 390
10. 천토 회맹(踐土會盟) 403
11. 쟁송(爭訟) 408
12. 복위된 조공공(曹共公) 415
13. 위나라의 변(變) 417
14. 촉지무(燭之武)의 변설(辯舌) 421

제2절 서융(西戎)의 패주(伯主) 진목공(秦穆公)
1. 소 장수의 임기응변(臨機應變) 428
2. 임금에게 침을 뱉은 선진(先軫) 433
3. 마지막 소원, 곰 발바닥을 먹고 싶다 442
4. 서융의 패주 진목공 447

제4장 초장왕(楚莊王)
1. 옹(雍)이냐, 이고(夷皐)냐? 갈팡질팡 454
2. 초목왕(楚穆王)의 호령에 쩔쩔 매는 제후(諸侯)들 463
3. 사회(士會) 환국(還國) 작전(作戰) 467
4. 원수를 물로 보다가 물이 된 제의공(齊懿公) 474
5. 조모와 손자가 협잡(挾雜)한 군위 찬탈(君位簒奪) 480
6. 심판자(審判者) 485
7. 애강(哀姜)과 경영(敬嬴) 494
8. 높이 날아오르는 새 503
9. 희롱의 끝 514
10. 정(鄭)나라를 둘러싼 초(楚)나라와 진(晉)나라의 일진일퇴(一進一退) 518
11. 희대 추행(稀代醜行), 하희(夏姬) 522
12. 한마디의 말 … 527
13. 필 전쟁(邲戰爭), 지는 해와 뜨는 해 532
14. 우맹(優孟)의 노래 543
15. ‘신(信)’ 548
16. 결초보은(結草報恩) 553

저자소개

강용봉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2년 1월 부산시 서구에서 부(父) 강상석(姜相錫)씨와 모(母) 조영춘(曺令春)씨의 4남 1녀 중 막내로 출생. 1981년 2월 부산맹학교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81년 3월~1985년 2월 대구대학교 사범대 국어교육학과를 졸업하였으며, 2005년 3월~2007년 8월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사회복지학과를 졸업하였음. 현재 2018년 8월부터 사단법인 부산시각장애인복지연합회 사무처장 재임 1991년 1월~1994년 1월 사단법인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부산지부 사무국장, 1995년 10월~1996년 3월 중앙회 총무과장, 2007년 3월~2010년 5월 중앙회 사무총장, 2014년 4월~2016년 4월 중앙회 사무총장 역임. 1997년 1월~2006년 11월 사단법인 대한안마사협회 사무총장, 2011년 1월~2013년 9월 사무총장, 2011년 6월~2013년 12월 부설 안마수련원 시설장 역임. 2007년 3월~2010년 5월 보건복지부 장애인복지조정 실무위원 역임. 2007년 3월~2010년 5월 노동부 장애인고용촉진 실무위원 역임. 2007년 3월~2010년 5월 정보통신협회 복지통신프로젝트그룹 PG416 의장 역임. 2008년 1월~2010년 5월 한국정보화진흥원 웹 접근성 품질마크 인증위원 역임. 2008년 9월~2010년 5월 보건복지부 편의증진심의회 위원 역임. 2009년 6월~2010년 6월 대한장애인체육회 생활체육위원회 부위원장 역임. 2011년 1월~2012년 12월 장애인복지학회 홍보이사 역임. 2014년 9월~2014년 12월 재단법인 2015 세계시각장애인경기대회 조직위원회 사무총장 역임. 2015년 1월~2016년 4월 재단법인 2015 세계시각장애인경기대회 조직위원회 사무차장 역임. 포상실적 2010년 4월 20일: 국민포장 - 장애인복지 증진 유공(보건복지부) 2017년 7월 18일: 체육포장 - 2015 세계시각장애인경기대회 운영 유공(문화체육관광부)
펼치기

책속에서

미와 고거미가 처형되었다는 것 등과 관련하여 기록이 상이하다. 첫째, 제양공이 미를 죽인 동기이다. 원문 제13회(2권 「음탕한 누이가 지아비를 죽이다」 pp. 55~59)에서는 제양공이 노환공을 죽인 여파로 악화된 민심을 수습하고자 미를 희생자(犧牲者)로 삼아 죽였다고 묘사하고 있으나, 「정 세가」에서는 제양공이 공자 시절 미와 싸워 원수가 되었는데, 수지 회맹 때 미가 사과하지 않자 제양공이 대로하여 미를 죽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둘째, 고거미의 최후이다. 원문 제13회(「음탕한 누이가 지아비를 죽이다」 pp. 57~60)와 제53회(6권 「착하구나, 신숙시의 말이여」 p. 53)에서는 고거미는 거열형을 당했다고 묘사하고 있다. 「좌전 노환공 18년」조에서도 고거미가 환열형(轘裂刑: 거열형)되었다고 기록하고 있으나, 「정 세가」에서는 고거미는 죽지 않고 달아났다가 다시 정나라로 돌아가 제족과 모의(謀議), 진(陳)에 가서 미의 동생 영[嬰: 의(儀)와 동일 인물로 보임]을 데리고 와서 왕으로 옹립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셋째, 제양공과 왕희가 결혼한 시기이다. 원문 제13회(「음탕한 누이가 지아비를 죽이다」 pp. 55~59)에서는 제양공이 미를 죽이기 전에 제양공이 왕희와 결혼했다고 묘사하고 있다. 「정 세가」와 「좌전 노환공 18년」조에서는 기원전 694년 가을에 미가 제양공에게 죽임을 당했다고 기록하고 있는데, 이로 미루어 보면 제13회(「음탕한 누이가 지아비를 죽이다」 pp. 55~59)의 장면은 제양공과 왕희는 기원전 694년 가을 이전에 결혼했다고 묘사한 셈이다. 그러나 「춘추 노장공 원년」조에서는 왕희는 기원전 693년 겨울에 제양공에게 출가했다고 기록, 제13회(「음탕한 누이가 지아비를 죽이다」 pp. 55~59)의 묘사와는 달리 왕희는 미가 죽은 1년 후에 결혼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