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세계문학론 > 독일문학론
· ISBN : 9791196939090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24-04-01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발터 벤야민의 생애와 사상
한국에서 벤야민 사상의 수용에 대하여
벤야민의 개념들
발터 벤야민의 인간학적 유물론
미메시스란 무엇인가
미메시스와 미메톨로지
벤야민의 프루스트와 카프카 해석에 나타난 경험이론
벤야민에서 중단의 미학과 정치학
기억의 정치학: 벤야민에서 꿈/깨어나기, 망각/기억의 변증법
발터 벤야민의 ‘비평’ 개념
발터 벤야민의 몇 가지 신학적 모티프에 관하여
발터 벤야민의 사유에서 ‘가족’의 모티프
[보유 1] 『1900년경 베를린의 유년시절』에서
[보유 2] 정신이 깨어 있는 ‘침잠’과 동학(東學)에서 ‘수심정기(守心正氣)’
[보유 3] 발터 벤야민: 자유로운 연구를 수행하는 한 독일 연구소(1938)
[보유 4] 발터 벤야민: 정의 범주에 대한 연구를 위한 노트
저자소개
책속에서
벤야민이 품었던 생각은 “위기에 처한 유럽문화를 유대 정신으로 완성하고 구제”하는 일이었다. 이러한 그의 생각은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의 혼란기를 거쳐 파시즘이 등장하고,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면서 유럽 문화의 파국적 몰락이 눈앞에 진행되는 상황에서 죽음을 맞을 때까지 변하지 않았다. 그의 비평 태도가 대상을 파괴하지 않는 ‘구제 비평’(rettende Kritik)으로 특징지어지는 것도 이러한 신념과 연관이 있다. [...] 나중에 지식인으로서 점점 더 프롤레타리화하는 역사적 과정을 스스로 겪게 된 벤야민은 자신이 뿌리를 두고 있고 자신의 정신적 작업의 한계를 규정짓고 있는 부르주아 문화를 부정하고 비판하는, 그러면서 프롤렌타리아트와의 계급적 연대를 과시하는 지식인들의 자기기만과 감상주의적 계급의식 역시 날카롭게 비판한다. 그가 비판하는 것은 “정신”을 통해 계급적 갈등을 해소하고 사회주의적 이념을 실현할 수 있다고 믿는 정신지배주의적 태도인데, 이 점에서 그는 이른바 ‘정통’ 마르크스주의자보다 더 과격한 마르크스주의자의 특성을 보여준다.
학계 진출을 포기하고 자유기고가로 나선 벤야민은 글쓰기 방식에서도 변모를 하게 된다. 그는 그때까지 견지해 온 비의적(esoterisch) 문체와 문헌학적 연구태도에서 벗어나 사회에 직접적 영향을 끼치는 데 더 효과적인 일간지, 잡지, 라디오 등의 매체를 적극적으로 이용하기 시작한다. 물론 재정 상황이 열악했기 때문에 그런 글쓰기 방식을 택할 수밖에 없었던 사정도 작용했다. 그는 원고료나 착수금을 받아 파리와 모스ㅤㅋㅡㅋ바 등지를 여행하면서 최근의 프랑스 문단이나 러시아 작가들의 동향에 대한 보고를 잡지나 신문의 문예란에 기고한다. 글쓰기가 생존의 수단이 된 그가 취한 입장은 그 자신의 표현대로 “좌파 아웃사이더의 입장”이었고 이러한 비판적 입장에는 자기 자신을 포함하여 지식인들이 전통적으로 수행해온 사회적 역할에 대한 근본적 회의가 밑바탕에 깔려 있다. 그는 비평가는 “문학투쟁의 전략가”로서 사회적 영향력을 발휘해야 한다는 자신의 요구를 점차 실천에 옮기기 시작한다.
벤야민이 한국에 소개된 것은 1970년대 초·중반으로 추정된다. 맨 먼저 소개된 벤야민의 글은 「기술복제 시대의 예술작품」이다. 그것은 영미권에서 벤야민이 수용될 때에도 이 논문이 가장 인기를 끌었던 점에서 영향을 받은 결과로 추정된다. 그런데 한국에서 벤야민 사상의 수용사는 기술복제-논문에서도 극명하게 드러나는 정치적 코드와도 연관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들여다 보자. 1970년대 한국의 대학생과 지식인들은 유신정권에 격렬하게 저항한다. 그러다가 1980년 이른바 ‘민주화의 봄’을 맞는다. 필자의 기억으로 대학에서는 ‘문학사회학’이나 ‘문학과 사회’와 같은 강좌들이 그 무렵 처음 개설되었고 이 강좌들에서 루카치, 아도르노, 벤야민, 브레히트 등 문학과 예숙을 사회(사)와 연결하여 관찰하는 유물론적 이론들이 소개되기 시작했다. 문학작품을 작품내재적으로 분석하던 종전의 태도를 벗어나 사회와 역사의 맥락에서 고찰하는 이 새로운 방식이 사회 분위기와 맞물려 나타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