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세계문학론 > 일본문학론
· ISBN : 9791197134524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25-03-04
책 소개
목차
추천사
서문
제I부 『빙점』의 작가 미우라 아야코(三浦綾子)의 문학 세계
- 영적 세계(영적 인간)를 추구한 '하늘의 문학'(지성소)
1. 미우라 아야코의 생애와 자전(띄어쓰기)소설
1) 미우라 아야코의 생애와 작품
2) 미우라 아야코의 자전(띄어쓰기)소설
2. 미우라 문학을 낳은 세 가지 마이너리티(minority)
1) 첫 번째 마이너리티: 홋카이도(아사히카와) 출신이라는 점
2) 두 번째 마이너리티: 여성 작가라는 점
3) 세 번째 마이너리티: 개신교 작가라는 점
3. 미우라 문학에 흐르는 저음(低音)
1) 주변인들의 사랑과 하나님의 은혜 체험
(1) '마에카와 다다시'(前川正)로부터 받은 사랑
(2) '니시무라 규조'(西村久藏)로부터 받은 사랑
(3) '미우라 미쓰요'(三浦光世)로부터 받은 사랑
2) 크리스천 작가로서의 분명한 자기 정체성
(1) 패전에 따른 충격과 회개 체험
(2) 일본인의 종교의식과 천황교(천황제 이데올로기)
(3) 천황교에 대한 저항과 고발의 문학
4. 예수 그리스도는 지성소(영적 세계)로 가는 길
5. 영적 세계를 추구해 간 '지성소의 사람': "예수가 길이다"
제II부 『침묵』의 작가 엔도 슈사쿠(遠藤周作)의 문학 세계
- 혼적 세계(혼적 인간)를 추구한 '바다의 문학'(성소)
1. 엔도 슈사쿠의 생애와 작품
1) 엔도 슈사쿠의 생애와 작품
2) 엔도 슈사쿠의 작품 분류
2. 엔도 문학 전체를 결정지은 두 충격적 사건
1) 부모의 이혼 사건과 약자(어머니)에 대한 관심
2) 세례 사건: 서구 기독교와 일본의 영성 간의 거리감
3. 엔도 슈사쿠의 예수 이해의 문제점
1) 신성(神性)이 배제된 인성(人性)만의 예수
2) '아버지의 종교'에서 '어머니의 종교'로
4. 엔도 슈사쿠 문학의 주요 문제들
1) 그 시대의 중심 문제: 천황의 문제
2) 개신교(프로테스탄트)와의 관계성 문제
3) 성령과의 관계성 문제
5. 혼적 세계를 추구해 간 '성소의 사람': "예수가 진리다"
제III부 『설국』의 작가 가와바타 야스나리(川端康成)의 문학 세계
- 육적 세계(육적 인간)를 추구한 '땅의 문학'(뜰)
1.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생애와 작품
2.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문학사적 위치
1) 가와바타 야스나리 이전의 근대문학
2) 신감각파와 가와바타 야스나리
3. 가와바타 문학에 흐르는 저음(低音)
4. 가와바타의 미학과 키르케고르의 미적 실존
1) 가와바타 문학의 세 미학
(1) 자연의 미학: 『설국』에 나타난 자연의 미학과 동양적 사유
(2) 육감의 미학: 일본인의 미적 감각(시각과 촉각)
(3) 자살의 미학: 미적 실존이 낳은 허무의 종착지
2) 키르케고르의 미적 실존과 가와바타의 미학
5. 육적 세계를 추구한 '뜰의 사람': "예수가 생명이다"
저자소개
책속에서
제I부 『빙점』의 작가 미우라 아야코(三浦綾子)의 문학 세계
1949년 니시나카 이치로와 약혼을 파기하고 샤리(斜理)에서 바다에 입수(入水)하여 자살을 시도하다가 미수(未遂)에 그쳤다. 이러한 일련의 일들에 대해 마에카와 다다시는 아사히카와 슌코다이(春光台)에서 자기 발을 돌로 내려찍으며 아야코에게 충고하였다. 이 사건 이후 아야코는 뭔가 충격을 받았는지 굶주린 듯이 성경을 읽기 시작하였다.
『돌멩이의 노래』는 여학교 입학부터 교사를 자진 사직할 때까지의 이야기로 군국 소녀가 탄광 마을에서 소학교 교사로 아이들을 사랑하고, 군국 교사로 아이들을 가르치다가 패전과 좌절을 경험한 청춘 시절의 기록이다.
미우라 문학을 소개하는 첫머리에 그녀의 문학이 세 가지 마이너리티에 의한 것이었음을 말하는 까닭은 바로 그 같은 삶의 자리가 하나님의 특별한 은혜요 행운임을 말하고자 함에 있다. 이와 함께 이러한 특별한 은혜와 행운은 인위적으로 구성될 수 없다는 점에서 여기에는 하나님의 놀라운 섭리가 깃들어 있다고 말하지 않을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