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북미 관계, 그 숙명의 역사

북미 관계, 그 숙명의 역사

(주재우의 지략지계)

주재우 (지은이)
경계(도서출판)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알라딘 직접배송 1개 4,500원 >
알라딘 판매자 배송 6개 8,7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북미 관계, 그 숙명의 역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북미 관계, 그 숙명의 역사 (주재우의 지략지계)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세계패권과 국제질서
· ISBN : 9791197200205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22-01-26

책 소개

지난 30여 년 동안 진화를 거듭해 온 북한 핵 문제의 본질적 변화를 재조명하면서 북한과 미국 두 나라가 어떤 식으로 각자의 협상 전략을 조정해왔는지를 들여다본 책이다.

목차

머리말 • 10

1장 북한 핵 개발 이전의 북미 대화 발자취 • 19

- 북한의 오랜 북미 대화 러브 콜 • 23
- 북미 관계에 불어온 훈풍 • 31
- 역사적인 첫 고위급 회담의 성사와 중단 • 35

2장 게임 체인저가 된 북한의 핵 개발 • 39

- ‘북한=불량 국가’라는 미국 사회 내 인식의 뿌리 • 41
- 미온적이던 미국의 태도에 불어온 변화 • 45
- 대화의 중심이 핵 문제로 옮겨가다 • 51
- 북한, 핵 개발 카드의 효용을 깨닫다 • 57

3장 또 하나의 뜨거운 감자, WMD 비확산 • 63

- 미국의 네 가지 관심사 : WMD, 핵, 인권, 개방 • 66
- 미국이 북한 WMD의 확산을 우려하는 이유 • 70
- 세계에 위험을 팔며 스스로를 옥죄는 북한의 WMD • 76

4장 ‘핵무기 없는 세상’을 향하여 • 81

- 역대 미국 정부의 핵무기 감축을 향한 발걸음 • 83
- 북한 핵 개발의 안개가 걷히다 • 88
- 본격화된 북미 간 줄다리기 • 92
- 상황이 바뀌면 인식도 바뀐다 • 96

5장 열려는 미국, 닫으려는 북한 • 99

- 북한의 개혁 개방은 비핵화의 바로미터 • 102
- 북한이 구상하는 개방과 그 한계 • 104
- 선군경제의 태동과 북중 경협 • 110
- 북한의 개방을 기대해서는 안 되는 이유 • 114

6장 북한 붕괴론을 맹신한 미국 • 119

- 붕괴에 대한 믿음이 합의를 가능케 하는 역설 • 122
- 북한 붕괴의 카운트다운이 시작되다? • 124
- 대비 없는 붕괴는 재앙이다 • 129

7장 미국의 대북 선제타격론 해부 • 137

- 되돌아보는 미국의 선제타격론 • 139
- 한반도에 드리운 전쟁의 먹구름 • 144
- 꺼지지 않은 선제타격의 불씨 • 148
- 전략적 인내에서 최대의 압박으로 • 157
- ICBM, 또 하나의 게임 체인저 • 161

8장 더 강한 제재는 왜 안 되나 • 169

- 우물쭈물하다 구멍 난 대북 제재 • 173
- 중국에게 북한은 배은망덕한 동맹 • 179
- 미국의 발목을 잡은 진주만 트라우마 • 186
- 중국의 독자적 대북 제재에 담긴 속내 • 192

9장 트럼프는 김정은의 귀인이었을까? • 201

- 트럼프의 압박과 대화 병행 전략 • 206
- 트럼프, 정상 회담을 전격 수용하다 • 210
- 북한은 왜 정상 회담을 받아들였을까 • 216

10장 북미 정상 회담이 탁상공론에 그친 까닭 • 221

- 이미 충분한 합의문이 되레 북미 정상을 저지하다 • 223
- CVID를 향한 두 나라의 온도차 • 226
- 하나로는 안 되고 다섯 개 모두여야 하오 • 229

11장 북중 관계와 한반도 비핵화 • 235

- ‘특수’ 관계의 징표, 당대당 관계 • 239
- 중국의 확고한 대북 동맹 수호 의지 • 245
- 북한 유사시 중국 개입설 • 250
- 중국이 현상 유지를 선호하는 전략적 이유 • 255

맺음말 : 고르디우스의 매듭은 존재하지 않는다 • 261

- 외교는 생물이다 • 267
- 주변국과의 믿음이 문제다 • 270
- 북한 비핵화의 ‘최종 형상the end state'을 마련하라 • 273

저자소개

주재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의 대외관계 중 미중관계와 한중관계, 북중관계를 연구하는 다자안보협력 전문가이다. 현재 경희대 중국어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미국 웨슬리언대학교 졸업 후, 중국의 베이징대학교 국제관계학원에서 국제정치학 석박사를 취득했다. 한국국가전략연구원(KRINS) 중국연구센터장 겸 학술지 편집위원장, 한국유엔체제학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그동안 한국세계지역학회 회장(2023), 한중사회과학회 회장(2022-23), 한국정치학회 부회장(2022), 브루킹스(Brookings)연구원 방문학자(2014), 조지아공대(Georgia Tech) 방문교수(2011-12), 싱가포르국립대학교 동아시아연구원(EAI) 방문학자(2005, 2006, 2007-8),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투자연구원 연구위원, 국가안보정책연구소 연구위원 등을 지냈다. 저서로는 《한국인을 위한 미중관계사-6·25한국전쟁에서 사드 갈등까지》(2017), 《팩트로 읽는 미중의 한반도 전략》(2018), 《북미관계: 그 숙명의 역사》(2022)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북한의 핵 문제는 첫 번째 핵 실험 이후 본질적인 변화를 겪게 된다. 미국이 싫든 좋든 이제는 북한의 핵무기 보유 가능성을 협상의 대전제로 삼아야만 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북미 양국이 각각 관철시키려는 협상 의제의 순위에도 변동이 생길 수밖에 없고, 이들의 협상 전략에도 근본적인 변화가 야기될 수밖에 없다. 실제로 북한이 여섯 차례의 핵 실험과 무수한 미사일 발사 시험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북미 협상의 테이블에는 새로운 우선순위와 의제가 등장하게 되었다.
_머리말


북한의 전략은 ‘미국으로부터의 안전 보장’이라는 명료한 목적 아래 크게 두 가지로 압축된다. 하나는 군사력의 강화, 다시 말해 핵을 개발해서 미국의 군사 위협에 대항할 수 있는 억지력과 방어 능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반면 또 다른 경로인 외교는 미국과의 반목을 줄이는 동시에 매우 포괄적인 개념으로서의 안전 보장을 추구한다. 우선 한국 전쟁 말미에 체결한 정전 협정을 평화 협정으로 전환하여 전쟁을 종식하고, 미국과의 관계 정상화를 모색하는 것이 그 시작이다.


북한이 조건 없는 대화로 선회한 가장 큰 이유는 미국의 새로운 대통령 지미 카터에게 있었다. 그 스스로가 주한 미군의 철수 계획과 공산 국가와의 수교 의사 등을 밝혔기 때문에 북한으로선 굳이 이를 강조할 필요가 없었던 것이다. 1977년 1월 카터의 취임식이 열리던 날, 김일성은 파키스탄의 줄피카르 부토 총리를 통해 카터의 주한 미군 철수 결정을 환영하며, 북미 대화가 하루속히 개최되길 희망한다는 메시지를 전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