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문제 > 인권문제
· ISBN : 9791197235672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24-06-25
책 소개
목차
서문: 이 이야기가 우리를 치유했고, 이제 당신을 만날 차례이다
1부. 샨티카나가 만든 이야기
방글라데시 콕스바자르 난민 캠프 일지―전솔비
문해교육 관찰 기록: 글자 앞에 앉은 마음―전솔비
예술 워크숍 기록: 사바와 휠―오로민경
샨티카나의 정원: 빛과 그림자가 물결치는 순간들―오로민경
샨티카나의 공간들―전솔비
순환하는 마음―오로민경
2부. 샨티카나를 만든 이야기
샨티카나의 탄생―별빛
샨티카나의 여자들: 샨티카나를 돌보는 사람들의 일상―비바
로힝야, 토착성을 부인당한 사람들: 로힝야의 역사와 난민이 된 과정―이유경
책속에서
언제 끝날지 모를 난민 캠프에서의 생활이지만 여성들은 이곳에서 이전보다 더 강한 몸과 마음을 만들어가고 있다. 난민이 되면서 많은 것을 잃었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전쟁과 재난은 긴 시간 동안 변하지 않던 삶에 급격한 변화를 가져오기도 한 것이다. 시간을 반으로 접어서 미래에 도달하는 구멍을 통과하듯, 난민 캠프는 로힝야 여성들이 살던 까마득한 과거의 세계를 깨뜨렸지만 대신 새로운 변화의 기회 역시 만들어가는 중이다.
로힝야 여성들은 보수적인 환경에서 자랐기에 큰 소리를 내는 행위가 금지되는데, 이를 고려하여 샨티카나에서는 박수를 칠 때 박수 몸짓으로 대신한다. 손바닥을 부딪히지 않고 스쳐지나가게 하는 동작이 그것이다. 샨티카나를 떠올릴 때면 새의 날갯짓과 같은 손 모양으로 바람을 일으키며 우리를 환대해주던 여성들의 일렁이는 몸짓이 생각난다. 그곳에는 난민 캠프에서 마음의 집을 찾아가는 놀라운 이야기가 파도처럼 일렁이고 있었다.
_ 전솔비
나는 어둠의 색이 단지 무섭고 우울한 것이 아니라, 우리가 무언가를 보기 위해서 필연적으로 필요한 상태임을 공유하고 싶었다. 나아가 그동안 샨티카나의 여성들은 피해자로서 인터뷰나 촬영의 대상이 되는 경우가 많았기에, 반대로 적극적으로 그들이 이 공간과 사람들을 보고 찍을 수 있는 카메라를 들고 다니는 활동을 함께하며, 이를 통해 기록 행위의 주체가 되는 경험을 나누고자 했다.
(…)
너무 뻔한 이야기지만 누군가의 삶의 터전에 깊숙히 들어오게 되었다면, 최소한 서로의 존재를 인지하고 기다려낼 시간이 필요하다고 느꼈다. 그리고 ‘카메라’라는 미디어는 한 사람이 한 사람을 일방적으로 찍는 것이 아니라, 함께 보고 싶은 공간을 공유하고 있을 때 비로소 한 공간 안의 존재를 서로 만나게 해주는 관계적인 도구가 된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림자와 빛의 교환으로 카메라에 상이 담기는 것처럼, ‘우리’라는 관계 속에서 생겨나는 자리를 찾아갈 때 그 상을 제대로 담고 기록할 수 있는 것이 아닐까?
나는 이런 생각들을 하며 비로소 카메라를 들고 정원을 찍는 아푸의 뒤에서 셔터를 누를 수 있었다.
_오로민경
몸감각운동(SEW)을 하고 나서 생리통이 없어졌고 밤에 잠을 잘 잤다고 하는 로힝야 여성들의 말을 나는 처음에는 믿지 않았다. 내가 부유한 국가인 한국에서 온 후원자이니까 나에게 좋은 말만 하는 것일까? 정말 치유의 효과가 있는 것일까?
그런데 그녀들의 소극적이던 움직임이 점점 커지고, 히잡을 벗고, 그저 앉아 있기만 했던 여성들이 옆자리에 앉은 여성들과 수다를 떨어서 교육 진행이 어려울 정도가 되었다. 교육장이 소란스러워 진행이 어려운 것이 펄쩍 뛸 만큼 기뻤다. “지방 방송을 꺼주세요”, “앞에 집중해주세요”를 외치면서 어찌나 기쁘고 신나던지, 마음속으로는 계속 ‘지방 방송’을 해달라고 외치고 있었다. 그건 로힝야 여성들이 한국의 트레이너들과 이 교육 공간이 익숙해져서 마음을 놓을 만큼 안전하다고 느낀 것이고, 이미 아는 내용이니까 별로 안 궁금했던 것일 테고, 또 이웃 동료와 어제 오늘 있었던 일상을 나누고 한국인들과 어쩌고저쩌고 말을 나눌 정도로 친해졌다는 것이니까. 그것은 우리가 바라던 여성들 간의 지지와 연결망이 등장하고 있음을 알리는 신호였다.
_별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