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화엄원인론·중화전심지선문사자승습도

화엄원인론·중화전심지선문사자승습도

규봉 종밀 (지은이), 신규탁 (역주)
운당문고
2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4,300원 -10% 0원
1,350원
22,9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화엄원인론·중화전심지선문사자승습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화엄원인론·중화전심지선문사자승습도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경전/법문
· ISBN : 9791197291241
· 쪽수 : 544쪽
· 출판일 : 2024-09-01

책 소개

책의 핵심 단어는 ‘화엄’, ‘선’ 이다. 해당 도서는 원문 대조 및 자세한 주석과 해설이 있어, 이 책 한 권으로 화엄학을 구조적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고 또 같은 선 불교라도 그 속에 섬세한 차이가 있음을 알게 해준다.

목차

제1편 : 법집 서문
제 1장 「법집」 서문

제2편 : 인간의 근원을 탐구하는 논문
제 2장 「인간의 근원을 탐구하는 논문」의 서문
제 3장 「인간의 근원을 탐구하는 논문」의 본문
Ⅰ. 미혹된 고집을 비판
1. 유교와 도교의 인간론
2. 유교와 도교의 인간론 비판
1) 허무 대도설 비판
2) 자연설 비판
3) 원기설 비판
4) 기의 취산설 비판
5) 천명설 비판
Ⅱ. 치우치고 얕은 교리를 비판
1. 인천교
1) 인천교의 내용
2) 인천교를 비판
2. 소승교
1) 소승교의 내용
2) 소승교를 비판
3. 대승법상교
4. 대승파상교
1) 대승파상교의 내용
2) 대승법상교를 비판
3) 대승파상교를 비판
Ⅲ. 참된 근원을 바로 밝힘
5. 일승현성교
Ⅳ. 본말을 회통
1. 회통의 개설
2. 일승현성교의 의의
3. 각 주장의 회통
1) 파상교의 회통
2) 법상교의 회통
3) 소승교의 회통
4) 인천교의 회통
5) 유교와 도교의 회통

제3편 : 선종에 관한 배휴 정승과의 편지
제 4장 상국 배휴의 질문
제 5장 종밀 선사의 대답
Ⅰ. 서론
Ⅱ. 각 종파의 내력
1. 우두종의 내력
2. 북종의 내력
3. 남종의 내력
1) 하택종
2) 홍주종
Ⅲ. 도표로 요약
Ⅳ. 각 종파의 주장과 그 평가
1. 달마의 근본 사상
2. 북종의 주장과 그 평가
3. 홍주종의 주장과 그 평가
4. 우두종의 주장과 그 평가
5. 북종 · 홍주종 · 우두종의 총정리
6. 하택종의 주장
Ⅴ. 회통하여 결론 맺음
1. 불변과 수연의 관계로 회통
1) 북종
2) 홍주종
3) 우두종
4) 하택종
5) 불변과 수연의 논의를 매듭지음
2. 돈오와 점수의 관계로 회통
1) 머리말
2) 돈오
3) 점수
4) 돈오와 점수의 논의를 매듭지음

제4편 : 규봉 종밀 선사의 행장과 편지
제6장 규봉 종밀 선사의 행장
Ⅰ. 출가와 만난 스승들
Ⅱ. 선종 문헌의 수집과 종밀의 의도
Ⅲ. 선종 문헌에 대한 배휴의 평가
Ⅳ. 저서와 유언
제7장 지식인들과의 문답 편지
Ⅰ. 상공 소면과의 문답
Ⅱ. 사제성과의 문답
Ⅲ. 온조 상서와의 문답
Ⅳ. 청량 국사와의 왕복 편지

제5편 : 규봉 종밀 선사의 비문
제8장 당나라 규봉 정혜 선사의 전법비

▣ 부록
1. 해제
2. 관련 논문
3. 종밀 선사 연보
4. 종밀 선사 저서 일람
5. 화엄의 우주 이해
6. 원화방진도
7. 80화엄경 구조도
8. 일심수증시말도
9. 중요 참고문헌
10. 찾아보기

저자소개

규봉 종밀 ()    정보 더보기
선사의 고향은 당나라 사천성 서충현(지금의 남충시)이며, 성은 하(何)씨, 법명은 종밀(宗密)이다. 28세 되던 해인 807년 도원(道元) 선사를 만났을 때, 선사가 “세상에서 과거를 보는 것은 출세간의 급제를 보는 것만 못하다”는 말을 듣고, 곧 출가하여 참선법을 배웠다. 810년 청량징관(淸凉澄觀)국사의 제자가 되어 『화엄경』의 교학을 수지하였다. 816년 정월 종남산 지거사에 머물며, 스스로 서원하여 산을 내려가지 않고 장경을 편람하기를 3년 동안 하여 『원각경과문』 2권을 찬술하고, 뒤에 종남산 초당사에 들어가 마음을 가라앉히고 수학하여 『원각경소』 2권을 저술하였으며, 이후 『선원제전집』등 많은 저술을 남겼다. 선사는 『원인론』을 지어 불교의 입장에서 유교와 도교를 간단히 누르고 논파하였으니, 이 저술은 매우 널리 유포되었다. 선사는 섬서성 종남산 초당사와 절의 남쪽 규봉난야(圭峰蘭若)에서 주로 머물다가, 841년 정월 6일 세수 62세로 흥복탑원에서 단정히 앉아 입적하였다. 선사는 혜능(慧能 : 638~713)으로부터 하택신회(荷澤神會 : 685~760), 자주법여(磁州法如), 형남유충(荊南惟忠), 수주도원(遂州道圓)으로 이어지는 심법을 받았고, 《화엄경》은 청량징관(淸凉澄觀)국사의 제자가 되어 교학을 수지하였다. 화엄종은 그 종지가 인도에서는 제1조 용수(龍樹), 제2조 세친(世親)으로 이어지고, 중국에서는 제1조 두순(杜順), 제2조 지엄(智儼), 제3조 법장(法藏), 제4조 징관(澄觀), 제5조 종밀(宗密)로 계승되었다.
펼치기
신규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 동경대학 대학원 인도철학과와 중국철학과에서 화엄과 선불교를 연구하여 1994년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4년부터 현재까지 연세대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화엄철학, 선불교, 중국철학사, 도가철학 등을 강의하고 있다. 대표적인 저서로는 <규봉종밀과 법성교학>, <선문답의 일지미>, <한국 근현대 불교사상 탐구>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