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인간세계의 근본을 밝히다

인간세계의 근본을 밝히다

(「원인론」과 「발미록」을 번역ㆍ해설한)

규봉 종밀, 정원 (지은이), 정목 (옮긴이)
비움과소통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2,000원 -10% 600원 10,200원 >

책 이미지

인간세계의 근본을 밝히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인간세계의 근본을 밝히다 (「원인론」과 「발미록」을 번역ㆍ해설한)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명상/수행
· ISBN : 9788997188390
· 쪽수 : 348쪽
· 출판일 : 2013-10-03

책 소개

『원인론』은 원문을 실어서 번역하였으며, 논주의 글과 해설문을 구별하기 쉽도록 이색二色을 사용하였다. 정원법사가 해설한 「발미록發微錄」은 원문을 번역하여 옮기고, 중요한 글은 원문을 실었으며, 각 장마다 요점을 정리하여 보였다.

목차

들어가는 말
제1장 교상판석
1. 삼시교
2. 천태종의 오시교
3. 화엄종의 오교
4. 정토문의 이교
5. 일심정토교
제2장 원인론과 발미록 서문
1. 『원인론』에 대한 서문
2. 「발미록」에 대한 서문
제3장 원인론 해설
서문

제1편 미혹함과 집착함을 물리침
유교와 도교
1. 유교와 도교의 교리
2. 유교와 도교의 근본
3. 유교와 도교 비판

제2편 치우침과 얕음을 물리침
제1 인천교
1. 인천교의 교리
2. 인천교의 근본과 비판
제2 소승교 
1. 소승교의 교리
2. 소승교의 근본과 비판
※ 세계의 성주괴공
1. 공겁으로부터 세계가 형성되다
2. 인간이 출현하다
3. 논주의 뜻
제3 대승법상교
1. 대승법상교의 교리
2. 대승법상교의 근본
제4 대승파상교
1. 대승파상교의 교리
2. 대승법상교 비판
3. 대승파상교의 근본과 비판
4. 사교에 대한 결론

제3편 진실한 근원을 바로 밝힘
제5 일승현성교
1. 일승현성교의 교리
2. 교화의 인연
3. 논주의 논평

제4편 근본과 지엽을 회통함
1. 모아서 통하게 하는 뜻
2. 진실하고 신령한 성품
3. 대승파상교를 회통함
4. 대승법상교를 회통함
5. 소승교를 회통함
6. 인천교를 회통함
7. 유교와 도교를 회통함
원인론의 결론
번역과 해설을 마치면서
부록 : 『원인론』 전문 (간자체)

저자소개

규봉 종밀 ()    정보 더보기
선사의 고향은 당나라 사천성 서충현(지금의 남충시)이며, 성은 하(何)씨, 법명은 종밀(宗密)이다. 28세 되던 해인 807년 도원(道元) 선사를 만났을 때, 선사가 “세상에서 과거를 보는 것은 출세간의 급제를 보는 것만 못하다”는 말을 듣고, 곧 출가하여 참선법을 배웠다. 810년 청량징관(淸凉澄觀)국사의 제자가 되어 『화엄경』의 교학을 수지하였다. 816년 정월 종남산 지거사에 머물며, 스스로 서원하여 산을 내려가지 않고 장경을 편람하기를 3년 동안 하여 『원각경과문』 2권을 찬술하고, 뒤에 종남산 초당사에 들어가 마음을 가라앉히고 수학하여 『원각경소』 2권을 저술하였으며, 이후 『선원제전집』등 많은 저술을 남겼다. 선사는 『원인론』을 지어 불교의 입장에서 유교와 도교를 간단히 누르고 논파하였으니, 이 저술은 매우 널리 유포되었다. 선사는 섬서성 종남산 초당사와 절의 남쪽 규봉난야(圭峰蘭若)에서 주로 머물다가, 841년 정월 6일 세수 62세로 흥복탑원에서 단정히 앉아 입적하였다. 선사는 혜능(慧能 : 638~713)으로부터 하택신회(荷澤神會 : 685~760), 자주법여(磁州法如), 형남유충(荊南惟忠), 수주도원(遂州道圓)으로 이어지는 심법을 받았고, 《화엄경》은 청량징관(淸凉澄觀)국사의 제자가 되어 교학을 수지하였다. 화엄종은 그 종지가 인도에서는 제1조 용수(龍樹), 제2조 세친(世親)으로 이어지고, 중국에서는 제1조 두순(杜順), 제2조 지엄(智儼), 제3조 법장(法藏), 제4조 징관(澄觀), 제5조 종밀(宗密)로 계승되었다.
펼치기
정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향은 북송(北宋) 진강(晋江)이며, 성은 양(楊)씨요, 이름은 정원(淨源)이며, 호는 잠수(潛?)이다. 출가하여 구족계를 받고서, 처음에 『화엄경』을 받아 높기는 오대에 이르고, 넓기는 바다와 같이 넓은 밝고 맑은 문을 배웠다. 장수자서를 스승으로 삼아 『능엄경』『원각경』『대승기신론』 등을 배웠으니, 교(敎)는 바다와 같고 그 뜻은 용과 같았다. 저서로는 『망진환원관소초보해(忘眞還源觀疏?補解)』가 있다. 고려 의천국사(義天 : 1055~1101)로부터 1087년에 금으로 쓴 『화엄경』180권을 받아 장경각을 짓고 봉안하였다. 1088년 칙명에 의하여 지혜의 인(因)을 새롭게 하려고 선원(禪院)을 교원(敎院)으로 고쳐 세웠다.『원인론』의「발미록」은 해설을 부탁 받은 1065년으로부터 10년이 지난 1074년 64세에 지었으며, 78세 되던 해인 1088년에 입적하였다.
펼치기
정목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86년 10월 3일 출가사문의 길을 선택하여 수도의 길을 걷다. 1987년 9월 8일(음 7월 16일) 금정산 범어사에서 벽파(碧坡) 대선사를 은사로 삼아 사미계를 수지하다. 1990년 9월 14일 자운(慈雲) 대종사로부터 비구계를 수지하다. 1991년 3월 1일 범어사 승가대학 수료. 승가대학 강사 역임. 1991년 10월 선문에서 정토문으로 회심하여 염불에 전념하다. 1998년 2월 중앙승가대학교 졸업. 1998년 천중선원 하안거 중에 관상염불의 도리를 깨닫다. 1999년 2월부터 2004년 4월까지 춘천 소양강변에서 전수염불로 정진하며 원효의 불교학에 전념하다. 2004년 4월부터 양산 오룡산에 염불도량 정토원을 열어서 염불을 권하고 지도하며 원효의 불교학을 탐구하고 있다. ◌ 저서 『염불신행의 원리와 비결』 『한국의 염불수행과 원효스님』 『윤회는 없다』 『오룡골에는 여자가 없다』 『일심정토 염불수행』 『일체가 아미타불의 화신이다』 『일체경계 본래일심』 『인간세계의 근본을 밝히다(원인론)』 『아미타경소』 『무량수경종요』 『반야심경 오가해』 『일심정토』『아미타』『원효성사』 『원효의 보살계(보살계본지범요기)』 『법화경 승승륜기』 『원효가 설한 법화경』
펼치기

책속에서

5시교에 대하여 말하기를, “『법화경』에서 부처님께서 말씀하시기를, ‘내가 비로소 도량에 앉아 나무를 관하고 거닐면서 삼칠일 가운데 이와 같은 일을 사유하였다. 초칠일에는 내가 얻은 지혜는 미묘하고 최상이라고 사유하였다. 이칠일에는 내가 스스로 사유하는 것은 다만 불승佛乘을 찬탄하는 것이라고 사유하였다. 삼칠일에는 과거 부처님이 행하신 방편력方便力을 깊이 생각하고 나도 지금 성취한 깨달음으로 응당히 삼승三乘의 법을 설할 것이라고 사유하였다’고 하셨다. 부처님께서 이렇게 사유하시기를 마치고〔三七思惟 華嚴時〕 녹야원에 나아가 12년 중에 『사아함경』을 말씀하시고〔阿含時〕 8년 동안 방등의 여러 경을 말씀하시고〔方等時〕 21년 동안은 여러 부의 『반야경』을 말씀하시고〔般若時〕8년간은 『법화경』『열반경』을 말씀하시어〔法華涅槃時〕인연 있는 중생들을 모두 제도하시어 능히 일을 마치시니, 80세에 달하시어 열반에 드시었다”고 하였다.


대승불교의 두 갈래 큰 흐름은 공사상을 바탕으로 한 선禪과 염불念佛이다. 선은 법성法性을 통찰하는 수행이며, 묘관찰지妙觀察智를 스스로 깨달아 정토를 맞이하는 ‘자각의 문’이다. 염불은 법상法相을 생각하고 관찰하는 수행이며, 성소작지成所作智를 믿고 정토에 태어나는 ‘자비광명에 의지하는 문’이다.


일심정토교는 아미타로 법法을 삼아 일체중생이 아미타불의 세계인 정토를 감득感得하고, 정정취에 들어가 단박에 깨달음을 성취하고, 보리심을 실천하는 보살장ㆍ돈교에 속하는 가르침이다. 수행은 선오후수문先悟後修門의 신행체계를 보였으니, 부처님의 지혜를 우러러 믿는(仰信) 진실한 신심을 근본으로 행하는데, 신심ㆍ안심ㆍ발심ㆍ수행ㆍ정정취ㆍ회향ㆍ일심증득의 신행체계를 닦아서, 삼신三身의 지혜를 성취하는 것이 구경의 목표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