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 주역
· ISBN : 9791197358012
· 쪽수 : 372쪽
· 출판일 : 2021-06-21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제1부 명리학의 이해
제1장 육신(六神)의 기초
1. 명리학의 구조
2. 육신의 구조
3. 육신의 의무와 용도
4. 간명의 중요성
5. 이 책을 읽는 방법
제2장 용어 해설
1. 궁성 용어
2. 음양오행 용어
3. 육신 용어
4. 격국 용어
제2부 육신 해설
제1장 일간(日刊)
1. 신왕
2. 신약
제2장 비견(比肩)
1. 비견이란
2. 비견의 특성
3. 비견의 성격
4. 비견의 활용
5. 비견의 직업 특징
6. 비견의 배속
7. 비견이 간명
8. 비견 월령의 간명
9. 건록격의 특징
제3장 겁재(劫財)
1. 겁재란
2. 겁재의 특성
3. 겁재의 성격
4. 겁재의 활용
5. 겁재의 직업 특징
6. 겁재의 배속
7. 겁재의 간명과 용도
8. 겁재 월령의 간명
9. 양인격의 특징
제4장 식신(食神)
1. 식신이란
2. 식신의 특성
3. 식신의 성격
4. 식신의 직업 특징
5. 식신의 배속
6. 식신의 간명과 용도
7. 식신의 간명 해설
8. 식신 월령의 간명
9. 식신격의 특징
제5장 상관(傷官)
1. 상관이란
2. 상관의 특성
3. 상관의 성격
4. 상관의 직업 특징
5. 상관의 배속
6. 상관의 간명과 용도
7. 상관의 간명 해설
8. 상관 월령의 간명
9. 상관격의 특징
제6장 정재(正財)
1. 정재란
2. 정재의 특성
3. 정재의 성격
4. 정재의 직업 특징
5. 정재의 배속
6. 재성의 간명과 용도
7. 정재 월령의 간명
8. 정재격의 특징
제7장 편재(偏財)
1. 편재란
2. 편재의 특성
3. 편재의 성격
4. 편재의 직업 특징
5. 편재의 배속
6. 편성의 간명과 용도
7. 편재 월령의 간명
8. 편재격의 특징
제8장 정관(正官)
1. 정관이란
2. 정관의 특성
3. 정관의 성격
4. 정관의 직업 특징
5. 정관의 배속
6. 정관의 간명과 용도
7. 정관의 간명 해설
8. 정관 월령의 간명
9. 정관격의 특징
제9장 편관(偏官)
1. 편관이란
2. 편관의 특성
3. 편관의 성격
4. 편관의 직업 특징
5. 편관의 배속
6. 편관의 간명과 용도
7. 편관의 간명 해설
8. 편관 월령의 간명
9. 편관격의 특징
제10장 정인(正印)
1. 정인이란
2. 정인의 특성
3. 정인의 성격
4. 정인의 직업 특징
5. 정인의 배속
6. 정인의 간명과 용도
7. 정인의 간명 해설
8. 정인 월령의 간명
9. 정인격의 특징
제11장 편인(偏印)
1. 편인이란
2. 편인의 특성
3. 편인의 성격
4. 편인의 직업 특징
5. 편인의 배속
6. 편인의 간명과 용도
7. 편인 월령의 간명
8. 편인격의 특징
저자소개
책속에서
음양(陰陽)으로 나눠진 십신(十神)은 각각의 목적에 따라 임무를 수행한다.
관(官)을 기준으로 지위와 체제를 다루는 분야를 관인상생(官印相生)이라 하고,
재(財)를 중심으로 기본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수단과 결집을 다루는 분야를 식상생재(食傷生財)라고 한다. 일간을 기준으로 자신의 능력을 키워서 자기중심으로 생활하는 것을 인아식(印我食)이라 하고,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타인 중심으로 활동하는 것을 재생관(財生官)이라 한다.
간지(干支)로는 태어난 날을 일주(日柱)라 하고, 일주(日柱)의 천간(天干)을 일간(日干)이라 한다. 육신(六神)에서는 일주(日柱)의 천간(天干)을 아(我)라고 말하는데, 태어난 그대로 정체되어 있지 않고 가치관을 정립하며 성장하기 때문이다. 흔히 체(體)로는 신(身)이라고 하는데, 이는 신체적인 역량을 구분할 때 쓰는 말이다.
비(比)란 備(갖출 비)라는 어원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인간이 살아가는 데 갖춰야 할 것들을 말한다. 견(肩)이란 동등한 관계에서 서로를 책임져 주고 상대의 아픔을 대신해서 이겨내는 모양이다. 그러므로 비견(比肩)이란 동등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서로 돕는 모양을 하고 있으니 상부상조의 개념이 내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