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박물관 경험 이론

박물관 경험 이론

(아이들이 담아낸 박물관 경험)

엘리커크, 윌 버킹엄 (지은이), 이정은, 최고운 (옮긴이)
뮤즈앤로직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400원 -10% 2,500원
카드할인 500원
500원
16,400원 >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박물관 경험 이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박물관 경험 이론 (아이들이 담아낸 박물관 경험)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화연구/문화이론
· ISBN : 9791197358609
· 쪽수 : 250쪽
· 출판일 : 2022-02-28

책 소개

아이들은 박물관의 주요 관람객이다. 그러나 우리는 아이들을 박물관 학습의 관점으로만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 이 책에서 윌 버킹엄은학습의 관점에서 벗어난 아이들의 경험을 다루기 위해 옥스퍼드대학교 자연사 박물관을 배경으로 진행된 엘리커크의 연구를 소개한다.

목차

그림 목록 16
표 목록 17
서문: 엘리 커크를 기리며 18

1 서론 22
박물관 속 아이들 24
박물관에서의 경험이란? 26
옥스퍼드대학교 자연사 박물관 30
개요 33

2 배울 수 없는 것 38
아이들과 이야기하기 39
아이들의 선호도와관점 43
아이들의 경험: 시각을 확장시키다 45
삶의 주체자로서의 아이들: 관점을변화시키다 48
자료의 풍부함 53
존 듀이, 경험, 교육 그리고 박물관 54

3 어린이 경험 연구 62
모자이크 접근법 64
그림 그리기 66
전시 설명하기 67
사진 설명하기 69
사전 연구 71
수영하는 공룡 골격 76
관점 낮추기: 사진을 통한 아이들의 경험 연구 86

4 박물관 경험 순간포착 97
사진작가 아이들 98
사진을 자료로 평가하기 100
사회적 맥락에서의 박물관 사진 촬영 103
인터뷰 106
자료 속 연구자의 존재 112
관찰하기 113
경험 모델 118

5 탐색과 협상하기 121
물리적 탐색 123
전시물 찾기 전략 125
만지면서 탐색하기 130
사회적 협상 135
독립성과 안전 135
통제와 영향 139
박물관 사회 규칙 142
갈등 144
박물관을 탐색하는 것 148

6 집중 조명하기 150
다양한 박물관 경험 150
관심 유형이란? 152
집중 조명 연출하기 160
아이들 스스로 연출한 조명 160
타인이 연출한 조명 164
박물관이 연출한 조명 168
집중 조명하기의 강도와 깊이 173
관심유형 184

7 이해하기 187
사회적 학습 189
분류하기 193
이름 짓기 194
묘사하기 200
연관 짓기 206
관찰을 통한 연관 짓기 208
경험과 선지식으로의 연관 짓기 209
전시물 간의 연관 짓기 213
박제 동물과 살아있는 동물 연관 짓기 214
창의적으로 연관 짓기 220
박물관 경험자 되기 222

8 결론 226
박물관 경험의 유연함 227
박물관은 학습 장소? 228
박물관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230
미래의 박물관, 미래의 연구 232

참고문헌 237

저자소개

엘리커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영국 UCL (University College London) 교육연구소 수석 강사 영국 University of Leicester박물관학 박사
펼치기
윌 버킹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미얀마 양곤 파라미연구소 인문학과 객원교수
펼치기
이정은 (옮긴이)    정보 더보기
현)동아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조교수 전)부산박물관 학예연구사 전)울산박물관 학예연구사
펼치기
최고운 (옮긴이)    정보 더보기
현)울산대학교 미술학부 강사 전)김만덕기념관 학예연구사 전)한국대중음악박물관 학예연구사
펼치기

책속에서

2000년대 이후 박물관학에서는 박물관을 방문한 아이들의 경험과 관점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아이들의 박물관 방문을 교육적인 관점에서만 보는 것에서 벗어나, 더욱 풍부한 관점에서 박물관 속 아이들을 연구할 수 있도록 이끌었다.


박물관에서 사진촬영의 ‘일상성’은 ‘좋아하거나 흥미롭게 발견한 것’을 촬영하는 것 외에도 전시물을 들고 포즈를 취하고 있는 가족들의 사진을 촬영하는 관광용 사진에서도 보인다. 중략... 그림 그리기와 전시 설명하기보다는 사진 설명하기가 훨씬 유용한 것은 분명했으며, 학교가 아닌 박물관에서는 특히 더 효율적인 것이 바로 사진촬영이었다. 결국 연구자들은 연 구 진행 환경에 맞는 방법론을 고안해야 하며 동시에 아이들의 기대치와 행동에 맞는 연구 방법을 찾아야 하는 것이다.


아이들이 전시물을 만져볼 때 지질 표본과 동물 표본에 반응하는 방식에 뚜렷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사진을 보면 지질 표본이 튼튼하고 힘이 있게 만 져도 견딜 수 있다고 사람들이 추정하고 있음이 분명하다. 아이들이 찍은 사진을 보면 관람객들이 받침대에서 표본을 움켜쥐거나, 쥐어짜거나, 찌르거나 심지어 들어 올리려고 하는 모습이 다수 보인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