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포항의 길

포항의 길

송호근, 서명숙, 노승욱, 이재원, 김명훈, 김일광, 김철식, 이상준, 구자현, 박경숙, 고우련, 김새미, 김응수, 김준범, 남주엽, 박은숙, 박하서, 서종숙, 서희정, 안기숙, 유명리, 장현우, 장호근, 하윤정 (지은이)
글누림
1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300원 -5% 2,500원
400원
15,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포항의 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포항의 길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88963276526
· 쪽수 : 244쪽
· 출판일 : 2021-11-01

책 소개

모두 24개의‘포항의 길’이 새로운 이야기의 주인공으로 등장했다. 이름 없는 꽃과 별처럼 존재하던 길들이 이제는 저마다의 이름을 가진 꽃으로 피고 별처럼 떠올라 시민들을 새롭게 맞이하게 된 것이다. 24개의 ‘포항의 길’의 이름과 위치를 표시한 지도도 부록으로 제작되었다.

목차

축사 4
발간사 6
지도로 보는〈2021 포항의 길〉 12
특별 기고
송호근 인생은 그저 길인데 15
― 포항에 ‘창업가의 길’을 제안하며


제1부 포항에서 길을 찾다 25

서명숙 산티아고길, 제주올레길, 그리고 포항의 길 27

노승욱 이육사의 길 38
― ‘청포도’가 이끄는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삶

이재원 청하의 길 55
― ‘아시아의 피를 잇는 사람’을 찾아서

김명훈 포항 옛 철길 64
― 기억할 만한 지나침

김일광 장기목장성 가는 길 73
― 지역의 이야기가 어떻게 문학이 되는가

김철식 괴동역 기찻길 84
― 성장의 이면에서 흘린 노동자들의 땀과 눈물

이상준 우암과 다산의 장기 유배길 91
― 삶이 힘들 때 걸어보는 사색의 공간

구자현 의인(醫人) 김종원의 길 100
― 선린(善隣)의 발자취를 따라서

박경숙 꿈틀로, 우리들의 영원한 화양연화길 108

제2부 포항의 길을 이야기하다 121

고우련 덕동마을 숲길 123
― ‘자연을 통한 교육’을 회상하며

김새미 효리단길 132
― 포항의 뉴트로 힙 플레이스

김응수 포항 철길숲(Forail) 139
― 도심 속 그린웨이가 펼쳐졌다

김준범 지곡동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길 148
― 영원한 친구, ‘배움’을 만나다

남주엽 지곡동 황톳길 156
― 우리, 함께, 치유를 바라며

박은숙 포항스틸아트로드(Pohang Steel Art Road) 162

박하서 대한민국 해병대의 길(Marine Road) 171
― 운제산 대왕암(천자봉) 등반로

서종숙 동빈바다길 180
― 아트로드 동빈

서희정 구룡포 광남서원길 188
― 성동 메뚜기마을을 그리며

안기숙 한수골 순례길 195

유명리 청송대 감사 둘레길 203
― 내 인생의 시크릿 가든

장현우 연오세오길 212
― 포항의 낮과 밤을 잇다

장호근 포항 ‘강따라 해따라’ 마라톤길 219

하윤정 형산강 둔치길 229
― 친환경 그린웨이를 꿈꾸며

저자 소개 236

저자소개

김일광 (지은이)    정보 더보기
포항남부 초등학교를 졸업하였으며, 40년 가까이 초등학교에서 아이들과 함께 역사와 사람 사는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그동안 쓴 동화가 교과서에 실리기도 했으며, 영어, 스페인어로 번역 출판되기도 했습니다. 그동안 낸 책으로는 《친구가 생길 것 같아》, 《동남제도 수호검》, 《강치야, 독도 강치야》, 《물새처럼》, 《상괭이 우리 반쪽이》 등 40여 편이 있습니다.
펼치기
송호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림대 도헌학술원 원장 겸 석좌교수. 정치·경제·사회 현상, 정책에 대한 정교한 분석으로 정평이 난 사회학자이자 칼럼니스트. 서울대 석좌교수를 지냈다. 《21세기 지성의 몰락》(2023), 《정의보다 더 소중한 것》(2021), 《국민의 탄생》(2020), 《시민의 탄생》(2013), 《인민의 탄생》(2011) 등의 저서를 펴냈다.
펼치기
서명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23년에 걸친 기자생활을 때려치우고 길 위에 서다. 산티아고 길 위에서 고향 제주를 떠올리다. 산티아고 길보다 더 아름답고 평화로운 길을 제주에도 만들 수 있음을 깨닫고, ‘나만의 길을 만들리라’ 다짐하다. 귀국 후 사단법인 ‘제주올레’를 발족하고 걷는 길을 내기 시작하다. 제주의 구석구석을 느리게 걸어 여행하는 제주올레 길은 여행자들이 제주의 가치와 아름다움을 재발견하게 했을 뿐 아니라 대한민국 전역에 ‘올레 신드롬’을 일으키며 ‘걷기 여행’ 열풍을 불러왔다. 제주올레의 성공신화는 한국을 넘어서 세계의 주목을 받게 되었으며, 한국 최초로 사회적 기업가의 최고 영예인 아쇼카 펠로에 선정되었다. 지은 책으로는 『꼬닥꼬닥 걸어가는 이 길처럼』 『식탐』 『숨, 나와 마주 서는 순간』 『영초언니』 등이 있다. 1957년|제주도 성산읍 고성리 출생 1964〜1976년|서귀포초등학교, 서귀여자중학교, 신성여자고등학교 1980년|고려대학교 교육학과 졸업 1983〜1989년|월간 <마당> <한국인> 기자 1989〜2001년|<시사저널> 정치부 기자, 취재1부장 2001〜2003년|<시사저널> 편집장 2005〜2006년|<오마이뉴스> 편집국장 2013년 | 한국 최초 아쇼카 펠로 선정 2014년~현재 | 아시아트레일연합(ATN) 상임대표 2018년 | 스페인에서 개최된 세계트레일연합(WTN) 총회 첫 국제홍보대사 위촉 현재|(사)제주올레 이사장
펼치기
노승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림대학교 도헌학술원 교수 및 R&D 기획단 실장으로 재직 중인 저자는 고향인 서울을 떠나 포항과 춘천 등의 도시에서 새로운 경험을 즐기며 살고 있다. 서울과 지방으로 양극화되어 가는 이분법적 구도를 넘어서기 위해서는 글로컬 시민의 양성이 중요하다는 생각에 포항공과대학교 인문사회학부 재직 시절에 시민들을 상대로 〈일상의 글쓰기〉 강좌를 기획해 『포항의 길』을 비롯한 세 권의 책을 시민들과 함께 출간했다. 한림대학교로 자리를 옮긴 후에도 시민강좌인 〈시민지성 한림연단〉을 운영하면서 글로컬 지성시민 양성에 힘을 쏟고 있다. 포스텍 평화연구소 부소장, 포항학위원회 위원, 《문명과 경계》 기획위 원장 및 편집위원 등을 지낸 저자는 경북매일신문 고정칼럼니스트, 경북교통방송 〈노승욱의 문화 읽기〉 진행자로 시민들과 소통했으며, 현재 한국디지털문인협회에서 학술위원장을 맡 고 있다. 서울대학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한 저자는 『황순원 문학의 수사학과 서사학』 외 여러 권의 저서를 집필했고, 『AI의 세상에서 인간을 찾다』, 『총장의 고뇌: 대학의 혁신을 말하다』 등 다수의 저서를 공저했다. 초판본에 주해를 붙여서 『윤동주 시선』, 『박목월 시선』 등을 편저했고, 「황순원의 〈신神들의 주사위〉에 나타난 양자론적 세계관」과 「윤동주 시에 나타난 고백의 기독교적 성격 연구」 등 다수의 논문을 썼다.
펼치기
이재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포스텍 융합문명연구원 교수, 포항지역학연구회 대표. 의사, 칼럼니스트, 방송인 등 다양한 활동으로 포항의 숨은 가치를 찾아내 동시대를 살아가는 지역민과 나누는 일에 즐거움을 느낀다. 주요 저서로 《포항의 문화유산》 등이 있다.
펼치기
이상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포항문화원 부원장. 지역사학자. 수필가. 영남대학교 한국학 전공. 포항문화연구소 연구위원이며, 국가공무원(서기관), 포항대학교 외래교수(한국사)로 재직했다. 저서로 『장기고을 장기사람 이야기』, 『포항에 뿌리박힌 포은의 자취』, 『영일유배문학산책』, 『포항의 3・1운동사』, 『장기고을에 가면 조선왕조 500년이 있다』 등이 있고, 공저로는 『포항시사』, 『포항체육100년사』, 『포항의 독립운동사』, 『포항 6・25』 등이 있다. 녹조근정훈장, 애린문화상, 경북도지사표창, 법무부장관표창, 행자부장관상, 포항시장표창, 검찰총장표창 등을 수상한 바 있다.
펼치기
김명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교원대학교 국어교육과 조교수. 한국 현대소설을 연구하고 강의한다. 포스텍에서 2년간 대우교수로 재직하며 ‘글쓰기 클리닉’을 포함한 ‘소통과 공론 연구소’의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하였다. 논문으로 「두 가지 신화와 두 번의 돌아봄, 그리고 하나이지 않은 X」, 「1987년 한국에서 교양소설을 쓴다는 것」, 「‘학살은 재현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역사화하기」 등이 있다. 최근에는 1980년대 한국소설 및 여러 유형의 글쓰기에 관심을 갖고 공부 중이다.
펼치기
구자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좋은선린병원장. 포항문화재단 문화경작소 청포도다방 대표.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임상강사, 부산침례병원 혈관외과장, 한라병원 혈관이식외과장으로 재직했다. 대한외과학회, 대한이식외과, 대한혈관외과의 정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연구로 「생체 신장이식 후 사용한 Calcineurin Inhibitor의 종류에 따른 이식성적 비교」,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 전후의 뇌사자 신이식의 변화양상」, 「국소 분절성 사구체경화증 환자의 신장이식」 등이 있다.
펼치기
박경숙 (엮은이)    정보 더보기
박경숙아트연구소장. 다락방미술관 대표. 40년간 지역에서 화가와 큐레이터로 활동하고 있다. 1991~2004년에는 포항대백갤러리에서, 2006년부터는 포항시립미술관에서 개관 준비 학예사를 시작으로 2016년까지 근무하였다. 개인전으로 <박경숙전-1998년 대백갤러리>, <결-존재의 울림-2007년 대구 대백프라자갤러리>, <존재, 깊고 푸른-2018년 우수작가초대전, 포항시립중아트홀>을 비롯하여 200여 회의 국내외 초대 및 단체전에 출품하였다. 2023년 영국 <Cambridge open studios ‘Connection’展>에 참여하였다. 저서는 2021년 『Since 1981, 그때 그림 그 사람』이 있다. 현재는 포항지역의 근대문화예술사 자료 수집과 인문학적인 내용의 기록 작업을 펼치고 있다.
펼치기
고우련 (지은이)    정보 더보기
University of Eastern Finland에서 교육심리학 박사과정을 수료하고 논문을 준비 중입니다. 즐겁게 가르치고 재미있게 배울 수 있는 교육을 꿈꾸고 있는 학생입니다.
펼치기
김새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포스텍 융합문명연구원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소확행’을 꿈꾸는 평범한 집순이입니다.
펼치기
김응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포항시 그린웨이추진과장으로 근무하고 있습니다. 포항 시민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는 ‘포항 철길숲’을 만드는 일에 참여했습니다.
펼치기
김준범 (지은이)    정보 더보기
포스코 산학연협력실과 포스텍 기술사업화팀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가지 않은 길을 개척하는 탐험가입니다.
펼치기
남주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등 교사를 34년간 하다가 2018년에 명예퇴직한 후에 배움의 시간을 확장하고 있는 중입니다. 포항에는 1995년부터 거주하기 시작하여 현재까지 살고 있습니다.
펼치기
박은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포항시 복지정책팀장을 맡고 있습니다. 포항 시민의 행복한 일상을 위해 고민하는 사람 중 한 명입니다.
펼치기
박하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해병대 임관종합평가단장으로 근무하고 있습니다. 해병대 장교 30년 근무(중령 예편, 보국훈장 삼일장 수훈) 후에 ‘영원한 해병’이 되어 배움과 나눔의 가치를 실천하며 살고 있습니다.
펼치기
서종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문화가 밥처럼 일상이 되는 삶을 기획하는 ㈜문화밥 대표입니다.
펼치기
서희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길 위에서 길을 묻는, 즐거운 ‘딴따라’입니다.
펼치기
안기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명한 사람은 한마디면 족하다.” 요즈음은 이 글을 되새기며 삽니다.
펼치기
유명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상의 소소함을 사랑하는 아날로그 감성의 주부이며 포항에서 10년째 살고 있습니다.
펼치기
장현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2학년 휴학 중이며 현재 사회복무요원으로 근무하고 있는 포항의 청년입니다.
펼치기
장호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포항철강공단에서 일하고 있으며, 마라톤과 음악 그리고 책을 사랑하는 사람입니다.
펼치기
하윤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KBS 포항방송국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밝은 미소로 좋은 시너지를 나누는 삶을 꿈꿉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