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주식/펀드
· ISBN : 9791197516504
· 쪽수 : 260쪽
· 출판일 : 2021-07-05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 바이오 섹터가 매력적인 이유
제1장 사람들은 왜 바이오에 열광하는가?
-한국의 바이오 산업, 그 태동은 언제인가?
-바이오 기업은 과연 어떤 것을 만드는가?
-바이오 산업이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이유는?
제2장 한국은 이제 반도체보다 바이오시밀러 강국?
-바이오시밀러란 무엇인가?
-많은 의료 선진국 중에 어떻게 한국이 바이오시밀러 강국이 되었을까?
-바이오시밀러와 바이오베터의 차이는 무엇인가?
제3장 위탁 생산(CMO), 수탁 개발(CDO), 신약 개발은 무엇인가?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론자를 꺾고 세계 1위를 차지한 분야는?
-한미약품이 강세를 보이는 개량 신약은?
-아모잘탄은 세계화에 성공할 수 있을까?
제4장 약물 재창출이 제약사의 수익 재창출로 이어진다고?
-말라리아 치료제를 코로나19 치료제로 과연 쓸 수 있을까?
-약물 재창출 기업에 대한 투자의 주의점은?
제5장 이제 막 줄기가 자라기 시작한 줄기세포 치료?
-난치병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 한 줄기 빛이 되고 있는 줄기세포 치료란?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기업들은 어디?
제6장 눈 먼 생쥐도 다시 눈을 뜬다고?
-희귀 난치병 치료의 열쇠라 불리는 유전자 치료는 무엇인가?
-유전자 치료의 문을 연 기업은 어디?
제7장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 누가누가 잘 만드나?
-국내 바이오 시가 총액 1위, 셀트리온의 렉키로나의 시장 가치는?
-혈장 치료제로 승부를 보려 했던 GC녹십자의 다음 행보는?
-코로나19 퇴치를 위한 첫 번째 발걸음 화이자 백신
-하버드대 출신 초엘리트들이 모인 모더나
제8장 바이오에 투자하기 더 좋은 시장은 국내? 해외?
-동학 개미들이 국내 바이오 시장에 머무르는 이유는?
-서학 개미들이 해외 바이오 시장으로 유학 간 이유는?
제9장 바이오 기업의 청약 열기는 왜 그렇게 뜨거웠을까?
-뇌전증 치료제를 앞세운 SK바이오팜의 공모주 청약의 비밀
-코로나19 백신 치료제를 앞세운 SK 바이오사이언스 공모주 청약 스토리
제10장 바이오에 어떻게 투자해야 할까?
-바이오 기업을 분석할 때 가장 먼저 봐야 하는 것은 무엇인가?
-바이오 기업의 재무제표에서 1픽으로 검토해야 하는 것들
-2021년 하반기 이후 바이오 산업에서의 굵직한 모멘텀은?
-바이오 시장에서 투자자는 어떤 마음으로 투자해야 하는가?
제11장 디지털 헬스케어는 코로나19가 쏘아올린 거대한 공이 될까?
-아마존도 관심 갖는 디지털 헬스케어는?
-디지털 헬스케어 국내외 시장 현재 성장 단계는?
제12장 주목받지 못한 글로벌 의료 기기 시장의 성장은 지금부터?
-코로나19 검사 방법으로 대표되는 PCR이라는 것은 과연 무엇인가?
-암병동의 필수품이다. 면역 진단 기기는?
-휴대용으로 코로나19 검사가 가능하다. 분자 진단 기기는?
-의료 기기에는 진단 키트만 있나? 다빈치와 같은 의료용 로봇처럼 치료용 의료 기기는 어떨까?
제13장 100조 개의 미생물이 내 몸을 살린다? 마이크로바이옴!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이란 무엇인가?
-마이크로바이옴, 현 위치는 어디인가?
-마이크로바이옴 관련 투자처로 어떤 기업이 좋을까?
-유산균과 마이크로바이옴의 차이는?
제14장 이세돌 9단을 이긴 알파고가 의료계에도? AI 의료
-AI 의료는 정말 사람이 보는 의료만큼 믿을 수 있을까?
-현재 AI 의료의 선두 주자는 어떤 기업들일까?
제15장 바이오 투자와 관련된 이런 질문 저런 질문
-임상 시험은 반드시 미국 FDA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가?
-개인 투자자는 구체적으로 어떤 바이오 기업에 투자를 하는 게 좋을까?
-K바이오 기업 가운데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할 기업이 있을까?
-국내 바이오 기업의 성장세는 언제까지 이어질까?
에필로그-어떤 도전이든 겁먹지 마십시오. 물론 공부는 좀 해야 합니다
부록| 차세대 유망 바이오 기업을 찾아라! 투자 레전드의 TOP PICK 33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국내 바이오 산업의 태동에 대해 말씀드리기 전에 독자 여러분께 질문을 하나 던지고자 합니다. 의약품 시장이 클까요, 반도체 시장이 클까요? 의약품 시장이 세 배 정도 크다가 정답입니다. 정부든 민간이든 바이오 산업을 육성하는 일에 많은 돈은 투자하는 이유가 거기에 있습니다.
_<사람들은 왜 바이오에 열광하는가?> 중에서
최근 들어 바이오 기업의 성장 속도가 더욱 빨라지고 있습니다. 이는 높은 실적 성장세 및 R&D 성과 등을 바탕으로 코로나19 관련 치료제 및 백신 개발로 인해 더욱 수혜를 받는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국내의 경우 코로나 치료제 및 백신에 대한 높은 수요로 CMO 및 진단 키트 업체들에게 큰 성장 원동력을 불어넣어주었습니다.
_<바이오 산업이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이유는?>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