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91197607578
· 쪽수 : 367쪽
· 출판일 : 2023-08-18
책 소개
목차
1장 예언적 실천의 설교학 11
설교를 잘 한다는 기준 * 11
예언적 실천의 설교학적 정의 * 12
예언적 실천의 설교학의 3기둥 * 13
예언적 상상력과 창의력으로 만들어 가는
설교학적 토대 * 29
2장 글과 글쓰기의 이해 37
망치를 든 창조자 * 37
예언자들의 언어 이해 * 38
황금기 시대의 언어 * 41
사유와 글의 이해 * 44
우리의 과제 * 54
3장 새로운 설교학 운동과 들려지는 설교 56
시인과 화가 그리고 설교자의 공통점 * 56
설교에서 은유의 필요성 * 58
새로운 방식의 설교 요구 * 61
그림언어의 힘 * 70
은유 설교의 예시 * 72
은유의 다리 * 77
4장 수사학과 수사법 80
수사학에 대한 오해 * 80
수사학에 대한 정의 * 81
수사법의 종류 * 82
비유에 대한 이해 * 88
은유와 환유 * 92
시적 은유의 유형 * 94
천로역정에 나타난 은유 * 97
성경에 나타난 은유 * 100
설교자의 과제 * 108
5장 논리적 글쓰기와 인문학적 통찰력 109
설교자의 통찰력 * 109
글쓰기의 핵심 * 111
사고력 향상을 위한 방법 * 112
글쓰기의 실제 * 125
인문학적 통찰력 훈련 * 134
6장 설교 신학과 분류 156
신학의 부재 * 156
설교 신학의 역할 * 157
설교 신학과 정의 * 159
설교 분류/유형 * 162
설교 분류/목적 * 166
설교 분류/형태 * 168
7장 설교 형태와 그 샘플 174
대지 설교 샘플 1 * 174
대지 설교 샘플 2 * 188
분석 설교에 대한 이해 * 202
한눈에 보는 분석 설교의 틀 * 206
분석 설교 샘플 1 * 208
분석설교 샘플2 * 225
이야기 설교에 대한 이해 * 241
설화체 설교 샘플 1 * 244
이야기 설교 샘플2 * 254
현상학적 전개식 설교에 대한 이해 * 270
현상학적 전개식 설교 샘플 1 * 275
현상학적 전개식 설교 샘플 2 * 294
네 페이지 설교 이해 * 310
네 페이지 설교 샘플 1 * 317
4TS 설교에 대한 이해 * 332
4TS 설교 샘플 1 * 335
4TS 설교 샘플 2 * 350
저자소개
책속에서
‘예언적 실천의 설교학’은 그리스도인들이 행동으로 옮기도록 촉구하는 실천 신학이자윤리 신학이다. 스탠리 하우어워스는 기독교 윤리에 대해 “기독교 윤리의 첫 번째 임무는 우리가 세상에 비전을 심어주는 것을 바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데 있다”라고 말한다. 따라서 ‘예언적 실천의 설교학’은 기독교 윤리적 삶을 살지 못하도록 강요하는 타락한 권세에 대한 정체를 드러내면서 사람들을 복음적 삶으로 이끄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예언적 실천의 설교학’은 다원화되고, 계급화되고, 차별과 혐오그리고 배제가 난무한 세상의 한복판에서 하나님 나라의 관점과십자가 윤리의 관점에서 포용적 실천을 하도록 촉구하는 것을 제시한다. ‘예언적 실천의 설교학’은 개인에 대하여, 타인에 대하여, 민족과 민족 간에 포용적 삶을 강조한다. 다시 말해서, 설교를 통해서 하나님 창조의 질서와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사건을 들은 회중은 공적 삶의 영역에까지 그 영향을 미쳐야 한다. 포용적 실천은 신앙의 감상주의가 아니다. 오늘 그리스도인들이 듣고 실천해야 할 하나님 나라 삶의 태도이다.
‘망치’에 대한 이야기를 한 번 나누어 보고자 한다. 망치 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는가? 망치가 어떤 사람에게 들려지느냐에 따라 그 쓰임새가 달라진다. 폭군에게 들려지면 사람을 해치는 도구가 될 수 있다. 그런데 미켈란젤로와 같은 조각가들에게 들려 지면 위대한 작품을 만드는 도구로 사용 된다. 그래서 망치는 파괴를 의미한다기보다 새로운 창조의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글을 쓴다는 것은 일종의 망치를 드는 행위와 같다. 새로움을 창조하기 위해서 망치가 원석인 돌을 향해 쉬지 않고 몰아치듯, 새로운 이미지와 개념을 만들어 내려고 내 사유함에 망치질을 해야한다. 그럴 때 새로움을 창조할 수 있다. 이제 우리에게 주어진 과제는 창조하고 창작하는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