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문화/역사기행 > 한국 문화/역사기행
· ISBN : 9791197626876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22-08-31
책 소개
목차
머리말│600여 년의 역사를 품은 한양도성 11
1 │ 도성을 품은 내사산 여행
도성의 운명을 바꾼 인왕산 18
영험한 주산 백악산 28
낙타를 닮은 낙타산 42
한반도의 중심 목멱산 48
2 │ 사소문 따라 서울 동네 한 바퀴
너럭바위에 흐르는 물길, 부암동 70
자하문 밖 별유천지, 홍지동 76
물안개 피어오르는 성북동 82
성균관의 책 읽는 소리, 혜화동 90
빗물이 모이는 곳, 광희동 96
서소문동에 없는 서소문 102
3 │ 청계천에서 한강까지 물길 여행
청계천의 진원지, 경복궁 금천 108
청계천은 오늘도 말없이 흐른다 112
수표동에는 수표교가 없다 118
만초천과 용산팔경 122
생태의 발원지, 중랑천 126
한강 3대 나루터, 양화진 130
4 │ 조선 왕조 역사 따라 추모의 길
종묘에 없는 왕 138
비운의 소나무 고개, 송현 143
사직동에는 사직단이 있다 147
꿈이 남아 있는 정동길 151
흥청망청의 진원지, 탑골공원 162
대한제국 최초의 국립현충원, 장충단 166
5 │ 위인의 흔적 찾아 도심 속으로
종로에 울리는 녹두장군의 노래 172
충무공의 이름만 남은 충무로 177
백범 김구의 순례길, 경교장 181
딜쿠샤의 비밀, 행촌동 186
6 │ 목멱산 따라 용산 여행
목멱산 아래 첫 동네, 후암동 192
용산의 수호신, 이태원 부군당 197
해방촌, 젊음의 해방구 201
잃어버린 용산을 찾아서 208
도성 밖 추모공간, 효창원 216
성지순례의 산책로, 새남터 220
맺음말│한강(漢江) 아리랑 224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한양도성 순성길 백악 구간은 한양도성에서 소실된 부분이 가장 적고, 오래된 성곽을 유지하고 있다. 도성 안을 걷다 보면 옛 조상을 만나듯 성벽에 새겨진 각자성석(刻字城石)을 만날 수 있다. 각자성석의 흔적을 눈으로 보고 손으로 더듬어 성곽을 쌓은 사람들의 거친 숨소리도 들어보자. 각자의 시기별 특징과 구간별 축성 시기를 확인할 수 있으니 한양도성은 살아 있는 박물관임에 틀림없다.
목멱산 오르는 길에 ‘한양공원(漢陽公園)’이라고 쓰인 고종의 친필 비석도 보인다. 왜성대공원으로 문을 연 후 한양공원이 되었으나 곧 남산공원으로 부르게 되었다. 일제는 역사 속 목멱산을 남쪽의 산인 보통명사 남산(南山)으로 격하하고, 순환도로를 건설할 때 벚나무 600그루를 심어 ‘남산순환도로’라고 불렀다. 해방 후 목멱산에 뚫린 터널은 모두 남산터널로 불렀다. 늦었지만 이제라도 원래 이름으로 불러 주어야 하지 않을까.
남산은 ‘목멱산’으로, 남산공원은 ‘한양공원’으로, 남산타워는 ‘목멱산 타워’로, 남산도서관은 ‘목멱산 도서관’으로 바꿔 주어야 한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목멱은 아침 해를 찬란히 비추어 줄 것 같다.
이름에는 역사가 묻어 있다. 용산공원이 새롭게 바뀌면 서울의 중심이자 한반도의 허브가 목멱산에서 한강까지 이어질 것이다. 이제 남산이 아닌 목멱산을 품어야 할 시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