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작가론
· ISBN : 9791197687716
· 쪽수 : 494쪽
· 출판일 : 2022-05-10
목차
제1부 노계박인로와 시가문학
1 장. 노계 박인로의 생애
1. 머리말
2. 노계 박인로의 삶, 실천궁행의 긴 여정
3. 노계 박인로의 교유 관계
2 장. 노계 문학의 개관
1. 노계의 한시문
2. 노계의 가사와 시조
제2부 노계 가사문학의 겉과속
1 장. [상사곡]과 일편단심의 우국충정
1. 머리말
2. [상사곡]의 창작 경위
3. [상사곡]의 구성과 특징
4. [상사곡]의 작품세계
5. 맺음말
2 장. [권주가]와 인생무상
1. 머리말
2. 노계 [권주가]의 특징
3. 노계 [권주가]의 전승 양상
4. 맺음말
3 장. [태평사] 이해의 몇 가지문제
1. 머리말
2. [태평사]의 창작 배경과 임진왜란
3. [태평사] 이해의 몇 가지 문제
4. 맺음말
4 장. [독락당]의 창작 시기와 주변의 장소
1. 머리말
2. [독락당]의 창작과 관련된 인물
3. [독락당]의 창작 시기
4. [독락당]일원의 장소 위치
5. 맺음말
5 장 [영남가] 다시 읽기
1.머리말
2. [영남가]의 찬ㄴ양 대상
3. [영남가]의 단락 구성
4. [영남가]의 주석 보완
5. 맺음말
6 장. [사제곡]과 [누항사]의 문헌적 고찰
1. 머리말
2. [사제곡]의 문헌적 고찰
3. [누항사]의 문헌적 고찰
4. 맺음말
7 장. 여헌 장현광과 노계 시가
1. 머리말
2. 여헌과 노계의 [조홍시가]와 [입암이십구곡]
3. 여헌의 입암 시문과 노계시가
4. 여헌의 [무하옹전기인산기발]과 노계시가
5. 맺음말
제3부 노계 시조 문학의 세계(지형)
1 장. [조홍시가]에대한오해, 그리고 진실
1. 머리말
2. 선행 연구 검토
3. [조홍시가]의 창작 경위
4. [조홍시가]의 변이 양상
5. [조홍시가]의 내용 분석
6. 맺음말
2 장. 노계 [오륜가]와사람의 길
1. [오륜가]의 전통
2. 노계 [오륜가], 그리고 인간다움
3. 맺음말
3 장. 노계 시가와 후대의 시조문학
1. 머리말
2. 노계 시가와 김천택의 시조
3. 노계 시가와 여타 시조
4. 맺음말
제4부 『노계선생문집』 판본 연구
1 장. 초간본 『노계선생문집』의 간행
1. 머리말
2. 『노계선생문집』에 대한 여러 견해
3. 초간본 『노계선생문집』의 변화 양상
4. 맺음말
2 장. 후대본 『노계선생문집』의 변화
1. 머리말
2. 후대본 『노계선생문집』의 변화 양상
3. 맺음말
3 장. 『노계선생문집』의 책판
1. 머리말
2. 『노계선생문집』의 책판 현황
3.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