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후기(영조~순종)
· ISBN : 9791197694370
· 쪽수 : 496쪽
· 출판일 : 2025-09-30
책 소개
목차
1. 조선 후기 풍속화의 풍류정신과 미의식
2. 한·중 풍류의 예술적 발현과 전개
3. 조선 후기 풍속화의 도가적 풍류 미의식
4. 조선 후기 풍속화의 도가적 풍류
5. 조선 후기 회화와 도가(道家) 지향 풍류의 낭만성
6. 조선 후기 풍속화로 본 신분계층별 놀이문화
7. 조선 후기 화중유악(畵中有樂) 풍속화의 풍류상
8. 조선 후기 풍속화의 주색춘의(酒色春意)적 풍류상
9. 조선 후기 풍속화를 통해 본 한국 전통예술 문화의 융합적 특성
10. 조선 후기 풍속화의 근대성과 국제적 보편성
11. 근세기 동아시아 삼국의 서양화법 특색
12. 근세기 동아시아 삼국 문인화 비교
13. 일본 에도시대 회화와 근대성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 책이 주목한 것은 풍속화에 표현된 풍류였다. 풍류는 본질상 노는 것이나 예술성·심미성을 추구하며, 자연친화적인 한정적·은일적 풍류와 정감적, 신명적, 해학적, 춘의적 풍류 등의 다양한 미적인 삶의 풍류에 멋, 신명, 해학, 정한, 낭만 등의 미의식이 내재하고 있음을 조선 후기 풍속화를 통해 확인한 것이다.
조선 후기 풍속화에는 풍류정신이 다양한 방식으로 담겨 있다. 풍류는 단순한 놀이가 아니라 예술성과 심미성을 추구하며, 멋·신명·해학·정한 등 한국적 미의식을 표현한다. 신명은 자유와 흥, 즉흥성과 초탈성, 긍정성을 지닌 대표적 미적 범주이고, 풍류의 본질은 개방성과 자유, 융통성에 있다. 풍속화에서 한이나 정한의 미의식을 형상화한 작품은 희귀하다.
조선 후기에는 유교적 상층문화와 무교적 기층문화, 그리고 여항문화가 융합되며 아속겸비적인 독특한 한국미가 드러났고, 이는 풍속화 속에 반영되었다. 풍류는 한국 전통예술 발전의 근원이자 국제적·보편적 가치를 지닌 동아시아 공통 미학 개념으로 확인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