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약관변천사를 알면 계약이 보인다

약관변천사를 알면 계약이 보인다

(생명보험 편)

김문정 (지은이)
리본앤컴퍼니
2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136,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약관변천사를 알면 계약이 보인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약관변천사를 알면 계약이 보인다 (생명보험 편)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보험
· ISBN : 9791198027009
· 쪽수 : 340쪽
· 출판일 : 2022-10-11

책 소개

약관은 보험회사, 보험상품, 가입시기별로 큰 차이가 있다. 그 차이를 공부하고 영업에 적용하는 똑똑한 보험설계사가 되고 싶지 않은가? 이 책은 보험설계사가 약관을 공부하며 마주하게 될 질문에 대한 답을 준다. 기본이 되는 사소한 질문부터 고객의 위험을 책임질 중대한 질문까지 가입시기별로 정리되어 있다.

목차

Ⅰ. 생명보험 주계약
1.사망보험금
-자살, 사망보험금이 지급될까?
-재해사망특약에서 자살(2년 후)을 보장하는 규정이 포함된 시기는 언제일까?
-사망보험금 지급 규정이 정신질환에서 심신상실로 변경된 시기는 언제일까?
-실종도 보험에서 보상받을 수 있을까?
-연명의료결정법에 따른 존엄사로 사망한 경우 사망보험금을 지급받을 수 있을까?
-COVID-19를 진단받고 사망하였을 때 사망보험금이 지급될까?
※기저질환이 없는 사례로 한정함.
-전염병예방법이 감염병예방법으로 개정된 시기는 언제일까?
-계약자와 피보험자가 다른 경우 피보험자는 계약을 해지할 수 있을까?

2.납입면제
-장해와 장애는 어떻게 다를까?
-동일한 원인으로 양쪽 난소를 모두 잃었을 경우 납입면제에 해당될까?
-퇴행성 관절염으로 양측 무릎 인공관절치환술 시행 시 납입면제에 해당될까?

3.계약전 알릴의무
-청약서 질문항목에 없는 사항까지 고지해야 할까?
-암 또는 사람면역결핍바이러스(HIV) 진단 사실을 숨기고 보험에 가입하면 --계약전 알릴의무 위반일까?
-계약전 알릴의무를 위반하면 5년만 버티면 될까?
-계약전 알릴의무를 위반하면 보험계약을 해지할까?

4.장해
-장해판정 시기는 무조건 180일 이후일까?
-장해판정 이후에 장해가 악화되었다면 장해보험금을 추가로 지급받을 수 있을까?
-뇌사상태 VS 식물인간상태, 장해보험금을 지급받을 수 있을까?
-한시장해 규정이 약관에 포함된 시기는 언제일까?

5. 특정신체부위?질병보장제한부 인수특약(부담보)
-간(신체부위)을 전기간 부담보 조건으로 가입하였을 때 간암으로 사망하게 되면 사망보험금을 지급받을 수 있을까?
-부담보기간 중 발생한 재해(상해) 사고는 보상받을 수 있을까?
-전기간 부담보 계약 조건은 5년이 지나면 해제될까?
-‘특정신체부위?질병보장제한부인수특약(부담보)’ 규정의 약관변천사?

Ⅱ. 생명보험 특약
1. 재해장해특약
-재해장해특약이란?
-화상을 원인으로 신체의 80%이상이 장해상태일때 재해장해보험금을 지급받을 수 있을까?
-장해지급률 최고한도는 몇 %일까?
-‘재해장해보험금 지급사유’ 규정의 약관변천사?

2. 입원특약
-입원특약에서 입원이란?
-알츠하이머에서의 치매(F00)를 원인으로 입원하였을 경우 입원보험금을 지급받을 수 있을까?
-1회 입원당 최대 보장한도는 며칠일까?

3. 수술특약 [1~3종, 1~5종 수술 분류표]
-수술특약에서 수술이란?
-수술과 시술의 차이?
-겸자를 이용한 생검(Biopsy)은 수술일까?
-신의료기술이란?
-관상동맥 조영술은 수술일까?
-맘모톰(Mammotome)시술은 약관상 수술일까?
-경막외강 유착박리술(경피적 경막외신경성형술)은 수술일까?
-동시에 두 종류 이상의 수술을 시행하게 되면 수술보험금은 몇 회 지급받을 수 있을까?
-손가락인대 봉합수술은 수술보험금을 지급받을 수 있을까?
-피부양성종양적출술(D23.9) 시행 시 근육층까지 수술하지 않았다면 -수술보험금을 지급받을 수 있을까?
-카테터를 이용한 기흉(J93.9)시술은 수술보험금이 지급될까?
-비파열뇌동맥류(I67.1) 치료를 위한 코일색전술은 수술일까?
-시아노아크릴레이트를 이용한 복재정맥 폐색술(베나실)은 수술일까?
-계류유산(O02.1)으로 자궁소파술을 시행하면 수술보험금을 지급받을 수 있을까?
-스트레스성 요실금(N39.3)으로 TVT Tension-free Vaginal Tape 수술을 시행하면 수술보험금을 지급받을 수 있을까?
-갑상선유두암(C73) 치료를 위해 방사성요오드치료(mCi-밀리퀴리)를 시행하면 수술보험금을 지급받을 수 있을까?
-치조골 이식술이 수술분류표에서 제외된 시기는 언제일까?
-안검내반증 수술이 수술분류표에서 제외된 시기는 언제일까?

4. 허혈심장질환 · 뇌혈관질환 진단특약
-I21.9(상세불명의 급성심근경색증)는 급성심근경색증 진단특약에서 보장하는 질병일까?
-사체검안서(급성심근경색증 추정)로 급성심근경색증 진단보험금을 청구할 수 있을까?
-‘급성심근경색증의 정의 및 진단’ 규정의 약관변천사?
-‘허혈심장질환의 정의 및 진단’ 규정의 약관변천사?
-‘뇌출혈·뇌경색의 정의 및 진단’ 규정의 약관변천사?
-‘뇌혈관 질환의 정의 및 진단’ 규정의 약관변천사?

5. 암진단 특약
-악성신생물(암)이란?
-암보험의 보장개시일은 언제일까?
-암 진단 확정일은 언제일까?
-미세침흡인검사 fine needle aspiration biopsy, FNAB 가 약관에 포함된 시기는 언제일까?
-보험금을 지급할 때 가입시점 약관을 적용할까? 진단시점 KCD 기준을 적용할까? (2020. 4. 1. 약관개정)
-L41.2(림프종모양구진증)는 악성신생물(암)에 포함될까?
-D코드 중 악성신생물(암)에 포함되는 질병이 있을까? (D45, D46, D47.1, D47.3)
-D코드 중 악성신생물(암)에 포함되는 질병이 있을까? (D47.4, D47.5)
-D76.0(랑게르한스세포 조직구증)은 경계성종양일까? 악성신생물(암)일까?
-‘원발부위 기준 조항’인 [유의사항] 규정이 약관에 포함된 시기는 언제일까?
-‘암의 정의 및 진단’ 규정의 약관변천사?
-‘제자리암(=상피내암)의 정의 및 진단’ 규정의 약관변천사?
-‘경계성종양의 정의 및 진단’ 규정의 약관변천사?

Ⅲ. 각종 분류표 변천사
1. 재해분류표 약관변천사
-1988. 9. ~ 1991. 7. 대상이 되는 불의의 사고
-1991. 8. ~ 1995. 12. 재해분류표
-1996. 1. ~ 2006. 3. 재해분류표
-2006. 4. ~ 2008. 3. 재해분류표
-2008. 4. ~ 2011. 3. 재해분류표
-2011. 4. ~ 2020. 3. 재해분류표
-2020. 4. ~ 2020. 12. 재해분류표
-2021. 1. ~ 2022. 6. 재해분류표

2. 장해등급분류표·장해분류표 약관변천사
-1988. 9. ~ 1995. 1. 장해등급분류표
-1995. 2. ~ 1999. 1. 장해등급분류표
-1999. 2. ~ 2005. 3. 장해등급분류표
-2005. 4. ~ 2018. 3. 31. 장해분류표
-2018. 4. 1. ~ 2022. 6. 장해분류표

3. 특정신체부위?질병분류표 약관변천사
3-1 특정신체부위 분류표 약관변천사
-2000. 3. ~ 2005. 3. 특정부위 분류표
-2005. 4. ~ 2009. 5. 특정부위 분류표
-2009. 6. ~ 2014. 6. 특정부위 분류표
-2014. 7. ~ 2022. 6. 특정신체부위 분류표
3-2특정질병 분류표 약관변천사
-2000. 3. ~ 2005. 3. 특정질병 분류표
-2005. 4. ~ 2011. 3. 특정질병 분류표
-2011. 4. ~ 2022. 6. 특정질병 분류표

4. 입원특약 - 질병 및 재해분류표 약관변천사
-1988. 10. ~ 2001. 4. 질병 및 재해분류표(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2001. 5. ~ 2004. 6. 질병 및 재해분류표
-2003. 10. ~ 2006. 3. 질병 및 재해분류표
-2006. 4. ~ 2011. 3. 질병 및 재해분류표
-2011. 4. ~ 2020. 3. 질병 및 재해분류표
-2020. 4. ~ 2020. 12. 질병 및 재해분류표
-2021. 1. ~ 2022. 6. 질병 및 재해분류표

5. 수술특약 - 1~3종, 1~5종 수술분류표 약관변천사
-2000. 3. ~ 2008. 3. 1~3종 수술분류표
-2008. 4. ~ 2009. 9. 1~5종 수술·신생물근치 방사선조사분류표
-2009. 10. ~ 2022. 6. 1~5종 수술분류표

6. 급성심근경색증 분류표 약관변천사
-2002. 5. ~ 2003. 3. 급성심근경색증 분류표
-2003. 4. ~ 2008. 3. 급성심근경색증 분류표
-2008. 4. ~ 2011. 3. 급성심근경색증 분류표
-2011. 4. ~ 2016. 3. 급성심근경색증 분류표
-2016. 4. ~ 2019. 3. 급성심근경색증 분류표
-2019. 4. ~ 2020. 3. 급성심근경색증 분류표
-2020. 4. ~ 2020. 12. 급성심근경색증 분류표
-2021. 1. ~ 2022. 6. 급성심근경색증 분류표

7. 허혈심장질환 분류표 약관변천사
-2019. ~ 2020. 3. 허혈심장질환 분류표
-2020. 4. ~ 2020. 12. 허혈심장질환 분류표
-2021. 1. ~ 2022. 6. 허혈심장질환 분류표

8. 뇌출혈· 뇌경색증 분류표 약관변천사
-2002. 5. ~ 2003. 3. 뇌출혈·뇌경색증 분류표
-2003. 4. ~ 2006. 3. 뇌출혈·뇌경색증 분류표
-2006. 4. ~ 2008. 3. 뇌출혈 분류표
-2008. 4. ~ 2011. 3. 뇌출혈 분류표
-2011. 4. ~ 2016. 3. 뇌출혈 분류표
-2016. 4. ~ 2020. 3. 뇌출혈 분류표
-2020. 4. ~ 2020. 12. 뇌출혈 분류표
-2021. 1. ~ 2022. 6. 뇌출혈 분류표

9. 뇌혈관질환 분류표 약관변천사
-2019. ~ 2020. 3. 뇌혈관질환 분류표
-2020. 4. ~ 2020. 12. 뇌혈관질환 분류표
-2021. 1. ~ 2022. 6. 뇌혈관질환 분류표

10. 악성신생물(암) 분류표 약관변천사
-1991. 9. ~ 1992. 3. 악성신생물(암) 분류표
-1992. 4. ~ 1995. 1. 악성신생물(암) 분류표
-1995. 2. ~ 1997. 3. 악성신생물(암) 분류표
-1997. 4. ~ 2002. 9. 악성신생물(암) 분류표
-2002. 10. ~ 2003. 3. 악성신생물(암) 분류표
-2003. 4. ~ 2008. 3. 악성신생물(암) 분류표(기타피부암 제외)
-2008. 4. ~ 2011. 3. 악성신생물(암) 분류표(기타피부암 및 갑상샘암 제외)
-2011. 4. ~ 2016. 3. 악성신생물(암) 분류표(기타피부암 및 갑상선암 제외)
-2016. 4. ~ 2020. 3. 악성신생물(암) 분류표(기타피부암, 갑상선암 및
대장점막내암 제외)
-2020. 4. ~ 2020. 12. 악성신생물(암) 분류표(기타피부암, 갑상선암 및 대장점막내암 제외)
-2021. 1. ~ 2022. 6. 악성신생물(암) 분류표(기타피부암, 갑상선암 및 대장점막내암 제외)

11. 제자리암(상피내암)분류표 약관변천사
-1997. 4. ~ 2002. 9. 상피내암 분류표
-2002. 10. ~ 2003. 3. 상피내암 분류표
-2003. 4. ~ 2008. 3. 상피내암 분류표
-2008. 4. ~ 2011. 3. 상피내암 분류표
-2011. 4. ~ 2020. 3. 제자리암 분류표
-2020. 4. ~ 2020. 12. 제자리암 분류표
-2021. 1. ~ 2022. 6. 제자리암 분류표

12. 행동양식불명 또는 미상의 신생물 분류표 약관변천사
-2002. 10. ~ 2008. 3. 행동양식 불명 또는 미상의 신생물 분류표
-2008. 4. ~ 2011. 3. 행동양식 불명 또는 미상의 신생물 분류표
-2011. 4. ~ 2016. 3. 행동양식 불명 또는 미상의 신생물 분류표
-2016. 4. ~ 2020. 3. 행동양식 불명 또는 미상의 신생물 분류표
-2020. 4. ~ 2020. 12. 행동양식 불명 또는 미상의 신생물 분류표
-2021. 1. ~ 2022. 6. 행동양식 불명 또는 미상의 신생물 분류표

참고자료

저자소개

김문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유아교육과를 졸업하고 어린이집에서 10년간 교사 생활을 했다. 보험설계사가 된 후에는 3W 200주를 달성하고, MDRT 회원이 되기도 했다. 현재 보험약관의 중요한 내용을 보험설계사들에게 교육하는 <약관스쿨>을 운영하고 있다. 인생의 가장 힘든 시기에 만나 새로운 삶을 살게 해준 '보험'에게 감사한 마음을 가지고 강의한다. 대한민국에서 보험설계사가 대우받는 그날이 오길 누구보다 진심으로 바라고 있다. 강의 경력 -MetLife, 푸르덴셜생명, 신한라이프, DB생명, 삼성생명, 교보생명, 농협생명, 미래에셋생명, AIA생명, 한화생명, 농협손해보험, 인카금융서비스, IFA, W에셋, 프라임에셋, 피플라이프, GA코리아, 글로벌금융판매, MDRT협회, 다수 보험대리점. 강의 문의 이메일 reborn_company@naver.com 인스타 @reborn_company815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