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91198194466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24-01-18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 문학처방전, 한 사람을 위한 응원
1부 누구나 어딘가 아프다
·장르를 바꿔보자
만성피로에 정세랑의 『보건교사 안은영』 을 처방합니다
·우리는 ‘다정한’ 사람이 되기로 했다
화병에 김금희의 『나는 그것에 대해 아주 오랫동안 생각해』 를 처방합니다
·1퍼센트의 빈틈을 위해
산후우울증에 박상영의 『순도 100퍼센트의 휴식』 을 처방합니다
·나의 ‘장인’에게 보내는 마음의 소리
고혈압에 김초엽의 「나의 우주 영웅에 관하여」 을 처방합니다
·복잡한 마음, 복잡한 진실
공황장애에 최정화의 「잘못 찾아오다」 를 처방합니다
·시리얼 상자를 덧댄 스냅사진
디스크에 장류진의 「탐페레 공항」 을 처방합니다
·노바디와 섬바디, 기어 변속의 기술
알코올의존증에 김영하의 『여행의 이유』 를 처방합니다
·무사無事, 누군가가 분투한 대가
위암에 황정은의 『일기』 를 처방합니다
·출근하는 래퍼
장 트러블에 백민석의 「멍크의 음악」 을 처방합니다
·침착하고, 꼼꼼하고, 영리하게
우울증에 백수린의 「폭설」 을 처방합니다
2부 이야기는 약이 될 수 있다
·‘뻔하지’ 않은 이야기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방광염에 강화길의 「음복」 을 처방합니다
·우정에 ‘금’ 가는 소리
치매 걱정에 윤이형의 「루카」 를 처방합니다
·초년의 맛
거북목에 김세희의 「가만한 나날」 을 처방합니다
·마음의 롤러코스터
만성신부전에 권여선의 「재」 를 처방합니다
·조동진의 노래를 듣는 시간
유방암에 하명희의 「종달리」 를 처방합니다
·월간 부끄러움
이석증에 이주란의 「넌 쉽게 말했지만」 을 처방합니다
·별것 아닌 것 같지만, 도움이 되는
원형탈모에 레이먼드 카버의 『대성당』 을 처방합니다
·너는 여행을 떠나게 될 거야
수면장애에 배수아의 「어느 하루가 다르다면, 그것은 왜 일까」 를 처방합니다
·루틴의 ‘힘’
알레르기성 피부발진에 나수경의 「구르기 클럽」 을 처방합니다
·준비하기· 포기하기
퇴직을 준비하는 K에게 장강명의 『아무튼, 현수동』 을 처방합니다
에필로그 ·· 질병은 인생의 우선순위를 바꾸게 한다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우리는 건강과 생활을 ‘시장’에 맡기지 않고 스스로 돌보기 위해 좌충우돌하고 있다. 우리가 진행했던 팟캐스트의 이름이 〈인문약방, 호모큐라스를 위한 처방전〉이다. 호모큐라스는 ‘스스로 치유하는 인간’이라는 의미이다. 병원과 약국에 가지 말고 자가 치료하자는 의미가 아니라 병원과 약국에 가더라도 치료의 ‘자기주도권’을 놓치지 말자는 의미가 더 크다. 그러려면 내 질병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한다. 그러한 질병이 생기게 된 생활습관에 대한 성찰도 필요하다.
<프롤로그> 중
워킹맘 수연의 만성피로도 ‘불량 교사’, ‘불량 주부’라는 캐릭터가 살아 있는 코믹 장르로 풀어보면 어떨까? 학생들의 고민을 함께 해결해 주는 교사가 아니라 학생들에게 고민 상담을 일삼는 교사로. 엄마라기보다는 룸메이트에 가까운 가족의 일원으로. 자신의 캐릭터를 새로 설정하고 세계관을 구축하면 이제까지와 다른 ‘수연월드’가 만들어 지리라. 요즘 유행하는 미스터리 장르를 선택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 도대체 수연의 정체가 무엇인지 양파 껍질처럼 파헤쳐 가는 스토리도 주위 사람들의 관심을 불러올 수 있다.
물론 쉽지 않다. 그래도 이런 헛소리에 어이없어하며 실소를 터뜨린다면 좋겠다.
<만성피로에 정세랑의 『보건교사 안은영』을 처방합니다> 중
그녀의 육아휴직은 올해로 2년차에 접어들었다. 올해 아기는 어린이집에 등원하기 시작했고 그녀도 자기 시간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때쯤, 그녀의 남편은 몇 번의 실패 후 이직에 성공해 교육 기간에 접어들었다. 교육은 재택근무로 진행되니 남편이 아기 어린이집 등하원을 맡고 그녀는 치질 시술을 받기로 했다. 이십 대에도 시술을 받았던 유경험자답게 그녀는 모든 것을 낙관했다. 시술은 간단하고 회복은 빠를 것이다.
물론 인생은 뜻대로 되지 않았다. 어린이집에 다니기 시작하면서 아기는 자주 감기에 걸렸고 어린이집에 가지 못하는 날이 많아졌다. 칭얼대는 아기를 어르고 달래려니 그녀의 몸은 회복이 더뎠다. 이 와중에 남편은 줌으로 진행되는 교육임에도 불구하고 원칙대로 책상 앞을 떠나지 않았다. 잠시 카메라 위치를 옮겨놓고 아기를 봐줘도 될 텐데 그러지 않았다. 이건 융통성이 없는 건가, 인정머리가 없는 건가?
<산후우울증에 박상영의 『순도 100퍼센트의 휴식』 을 처방합니다>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