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새로운 AI, 새로운 사람들

새로운 AI, 새로운 사람들

문혜진, 박상용, 박소영, 이정현, 황서이 (지은이)
마이북하우스
15,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220원 -10% 2,500원
790원
15,9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새로운 AI, 새로운 사람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새로운 AI, 새로운 사람들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98230201
· 쪽수 : 188쪽
· 출판일 : 2023-02-28

책 소개

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 연구소에서 AI가 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다. 이 책을 통해 인공지능과 인문학의 흥미로운 접점을 탐구할 수 있다. 인간의 삶과 사회의 미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AI 인문학의 관점에서 연구팀이 조사한 내용을 담고 있는 책이다.

목차

들어가는 말 • 5

<1장> 면접관님, 저는 합격인가요? • 13
구직자 관점에서 바라본 AI 면접 • 15
AI 면접관, 이 답변은 이상한가요 아니면 창의적인가요? • 21
비동시적 AI 면접의 한계 • 27
인공지능 면접관의 취향을 찾아서 • 33
인공지능 면접의 학습과 편향 • 39

<2장> 세상의 확장, 메타버스 • 45
“메타버스, 새로운 기술 아냐” 최적 타이밍 맞았을 뿐 • 47
메타버스 동향 • 52
메타버스 분류 • 56
가상현실 • 60
증강현실 • 64

<3장> 웹 3.0 플랫폼 시대의 명암 • 71
웹 2.n 시대 • 73
NFT는 플랫폼의 미래일까 • 79
이용자의 다양한 얼굴과 공동체의 미래 • 86
수익형 플랫폼과 플랫폼 생산성의 역설 • 93
창작자 패러다임과 집단지성의 내일 • 99

<4장> ‘기록’하는 인간, ‘기억’하는 기계 • 105
인공지능의 ‘기억’ • 107
마음의 패턴 • 112
감정의 (유사)과학 • 117
기록의 미래 • 123
인공지능의 ‘망각’ • 129

<5장> The VIRTUαL • 133
메타버스, 한류 앞에 놓인 새로운 길 • 135
메타버스와 한류 문화콘텐츠의 융합 • 139
메타버스를 통해 우리 사회와 삶은 어떻게 달라질 수 있을까? • 145
‘Virtual Human’이 휘어잡은 온라인 세계 • 151
‘광고’를 위한 ‘Virtual Human’인가? ‘Virtual Human’을 위한
‘광고’인가? • 159
‘Entertainment Scene’에 등장한 ‘Virtual Human’ • 163
위드 코로나 속 공연예술, 그리고 메타버스 • 169

에 필 로 그 • 173
그 림 출 처 • 182
참 고 자 료 • 183

저자소개

문혜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문콘텐츠연구소 HK+인공지능인문학단에서 HK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조직심리학을 전공하였으며, 창의성, 정서, 인공지능 면접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펼치기
박상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며, 중앙대학교에서 전자전기공학 학사, 컴퓨터공학 석사, 영상학(게임 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다양한 공학 분야와 인문학 융합에 대한 관심이 있으며, 주요 관심 분야는 인공지능과 UX이다. 파이썬, 자바, 자바 스크립트 교육 등의 경험이 있으며 《새로운 AI, 새로운 사람들》, 《인공지능 기술비평학》의 공동 저자로 참여했다.
펼치기
박소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텍사스대학교 오스틴 캠퍼스(UT Austin)에서 미디어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UT Austin 부속 연구소 Technology and Information Policy Institute(TIPI) 객원연구원, 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 HK 연구교수로 재직하면서 AI와 블록체인, 빅데이터 등 신기술의 사회적 함의에 대해 연구해 왔다. 현재 조선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이정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문콘텐츠연구소 HK+인공지능인문학단에서 HK+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미디어문화연구를 전공했으며, 인공지능 매체 및 기술비평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펼치기
황서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부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조교수다. 중앙대학교에서 예술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에서 HK연구교수로 인공지능인문학 연구를 수행했다(2019∼2024). 주요 저서로 AI와 엔터테인먼트??(2024), 《가상과 현실의 융합 버추얼×문화콘텐츠》(2024), 《인공지능 사회문화학》(2024) 등이 있다. 주요 연구로는 “Art Marketing in the Metaverse World: Evidence from South Korea”(2023), “버추얼 아이돌 특성이 버추얼 아이돌 공연 수용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2023) 등이 있으며, “국내 언론을 통해 본 ‘한류’ 경향에 관한 연구”(2020)는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에서 우수 논문상을 받았다.
펼치기

책속에서

비대면 면접은 낯설고, AI 면접의 채점 메커니즘과 데이터 활용 방법이 투명하게 공개될 수 없는 탓에 구직자들은 물론 제삼자의 공포심이 커지는 듯하다. 그러나 아마도 AI 면접은 대면 면접이 진화한 것 이상으로 진화하여 세상에 없던 똑똑한 면접 시스템이 될 것이다. AI 면접 시스템이 고용주의 니즈만 채우는 것이 아니라 정말 ‘똑똑하게’ 기존의 면접 이상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이해관계자들은 취업이라는 목표를 위해 목소리를 낮춘 구직자들의 의견에 귀를 기울이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기업의 효율과 구직자의 안녕을 동시에 챙길 방안을 고민해야 할 것이다.


AI 면접 프로그램이 얼마나 발전할 수 있고, 또 얼마나 객관적인 형태로 진화할 수 있을지는 머신러닝 또는 딥러닝 기술 발전에 달린 문제가 아니다. 많은 미래 학자들의 주장과 같이 신기술들이 맡은 일을 더 잘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인간의 몫인 것이다.


증강현실이 지금보다 대중화되기 위해서는 높은 성능의 저렴한 기기가 필요하다. 현재 다양한 IT 기업에서 증강현실 기기를 대중화하기 위한 개발을 하고 있으나 성공한 경우는 아직 없다. 증강 현실 기기는 스마트폰과 같이 생활 밀착형 도구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 향후 비약적 발전이 기대되는 분야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