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선거전략/대통령 만들기
· ISBN : 9791198331212
· 쪽수 : 406쪽
· 출판일 : 2023-06-05
목차
제Ⅰ장 선거의 역사 20
제1절 선거의 정의와 역사 22
1. 고대국가들의 선거
1) 그리스의 선거
2) 스파르타의 선거
3) 로마의 선거
2. 중세국가들의 선거
1) 기독교에 있어서의 선거
2) 봉건국가에서의 선거
제2절 한국 선거의 역사 35
1. 삼국시대의 선거
2. 고려시대의 선거
3. 조선시대의 선거
제Ⅱ장 선거의 종류와 투·개표 41
제1절 선거의 종류 42
1. 대통령과 국회의원 선거
1) 대통령의 선거
2) 국회의원 선거
3) 비례대표 선거
2. 지방선거
1) 지방의원 및 지방단체장 선거
(1) 지방선거 출마자들의 요건
(2) 시도 및 기초의원의 선거
(3) 광역 및 시군 단체장 선거
2) 지방 교육감 선거
3) 조합장 선거
제2절 투표와 개표 67
1. 투표 전후의 선거업무
2. 개표 전후의 선거업무
3. 사전투표와 선상투표
1) 사전투표와 선상투표
(1) 사전투표의 이유
(2) 사전투표 절차와 방식
(3) 기존 부재자 투표와 차이
2) 선상투표의 개념과 방식
(1) 선상투표의 개념
(2) 선상투표 절차와 방식
가) 선상투표의 절차
나) 선상투표의 방식
제Ⅲ장 선거 법규와 실무 75
제1절 선거 관련 주요 법규 76
1. 공직선거법
2. 정당법과 정치자금법
3. 선거 관련 법규
1) 선거비용
2) 선거비용의 증빙
3) 선거비용의 보전
4) 선거 관련 법규 이론
(1) 규제 태도에 대한 입법론
(2) 규제 방법에 대한 입법론
5) 한국 선거운동 규제의 특징
제2절 정치자금법 86
1. 정치자금의 이해
2. 정치후원금의 한계
3. 선거회계원칙
4. 단체선거운동의 제한
1) 단체선거운동 제한의 이유
2) 단체가 할 수 있는 선거운동
3) 단체가 할 수 없는 선거운동
제3절 기부행위 금지법 93
1. 금품수수의 금지
2. 기부행위금지
3. 기부 알선 제한
제4절 각종 선거법 관련 법원 판례 96
1. 공직선거법
2. 정당법
3. 정치자금법
4. 위탁선거법
제Ⅳ장 당선을 위한 선거운동 161
제1절 일상적인 선거운동 162
1. 선거운동의 개념과 선거 필수사항
1) 선거운동의 개념
2) 선거운동의 필수사항
2. 법적 선거운동 기간
1) 법정선거운동
2) 사전선거운동
3) 기간별 선거운동의 제한과 금지행위
3. 일상에서의 선거운동
1) 글과 말로 하는 선거운동
2) 전화와 메시지로 하는 선거운동
3) 인터넷 홈페이지를 이용한 선거운동
4) 전자우편을 이용한 선거운동
5) 언론기관의 후보자 초청 대담과 토론회 참석
6) 여론조사와 관련된 선거운동
7) 출마자가 갖춰야 하는 일상(선거운동)의 테크닉 20가지
제2절 예비후보자와 후보자의 선거운동 211
1. 예비후보자의 선거운동의 유의할 점
2. 후보자의 선거운동
1) 당내 선거운동
2) 필승을 위한 선거운동
3) 후보자가 알아야 할 선거일정
4) 유권자의 선택기준
(1) 후보자의 능력
(2) 후보자가 정직한지 여부
(3) 공약
(4) 정당 공천
3. 공약과 정책
1) 선거 공약개발
2) 정책 입안
4. 사조직과 팬클럽 운용
1) 사조직 설치 운용
2) 자원봉사자의 가용
3) 팬클럽
5. 불법선거운동의 주요 사례
6. 당선에 유리한 선거전략 기획과 구축
7. 선거별 당선 결정 규정
제Ⅴ장 당선을 위한 선거 홍보전략과 전술 257
제1절 일반적 홍보전략 258
제2절 인터넷과 선거운동 260
1. 인터넷 선거운동의 특성
2. 인터넷을 통한 정치커뮤니케이션
3. 인터넷 선거운동의 규제
제3절 TV 토론 274
1. 라디오 및 TV 토론
2. TV 토론
1) TV 토론의 역할
2) TV 토론의 순기능과 역기능
3) TV 토론의 반박의 중요성
4) 선거방송 토론의 전략
5) 확보해야 할 TV 토론의 일반적인 기술
3. 구글의 유튜브(Youtube)
제4절 신문 매체 PR과 게릴라 홍보 295
1. 신문 매체를 활용한 PR
2. 각종 SNS 등 게릴라 홍보전술
3. 개인 PR의 기본
4. 정치광고
제5절 장·단기 홍보전략 321
1. 장기적인 홍보전략
2. 선거기간중 단기 홍보전략
3. 선거전과 유관해 알고 있어야 할 언론 관련 법규
제Ⅵ장 역대 주요 선거 분석과 선거 발전을 위한 제언 347
제1절 한국의 대통령과 국회의원 선거 분석 348
1. 대통령 선거 분석
2 국회의원 선거 분석
제2절 한국 선거운동의 발전을 위한 제언 353
1. 선거 전문 전담 법원
2. 완벽한 별도의 독립기구 선관위
3. 완전한 전자투표 방식 도입
4. 중립적인 선거전문교육원 설립 시급
참고문헌 393
표 목차
■ 〈표2-1〉 역대 대통령 선거제도의 변천사 43
■ 〈표2-2〉 한국 교육감 선출제도의 변천 65
■ 〈표3-1〉 정치자금법에서 투명성 확보를 위한 법규변화 주요 내역 87
■ 〈표4-1〉 예비후보자가 후보 등록을 위해 준비해야 할 서류 215
■ 〈표4-2〉 예비후보자와 입후보예정자(예비후보자가 아닌자)와의 차이 216
■ 〈표4-3〉 유권자가 지지 후보를 결정하는 시점 220
■ 〈표4-4〉 지방선거 광역단체장의 선심성 공약 선정 내역 226
■ 〈표4-5〉 당선인 결정에 대한 규정 255
■ 〈표5-1〉 커뮤니케이션 수단과 선거운동의 형태 265
■ 〈표5-2〉 선거운동의 방법 규제 273
■ 〈표5-3〉 TV 토론 형태 276
■ 〈표5-4〉 선호하는 후보자 토론회 유형(사후조사) 277
■ 〈표5-5〉 선거별 후보자 토론회 초청 기준 278
■ 〈표5-6〉 선거방송토론위 주관 토론의 주요 규정 286
■ 〈표5-7〉 언론의 뉴스 프레임에 대한 정의 304
■ 〈표5-8〉 기업 마케팅과 정치 마케팅의 유사점과 차이점 비교 322
부록1 : (예비)후보자가 알고 있어야 할 선거 관련 주요 서류 260
▣ 국회의원(후원회) 회계책임자 선임·겸임·변경 신고 관련 서류
▣ 국회의원·지방의원·조합장·금융단체장 예비후보자 주요 등록 서류
▣ (예비)후보자가 알고 있어야 할 정치자금법 관련 주요 서류
부록2 : 당선자 통계 381
▣ 21대 국회의원선거 당선자(정당별)
▣ 21대 국회의원선거 당선자(성별)
▣ 21대 국회의원선거 당선자(학력별)
▣ 21대 국회의원선거 당선자(직업별)
▣ 제8회 지방선거 시·도지사 당선자(정당별)
▣ 제8회 지방선거 시·군·구의장 당선자(정당별)
▣ 제8회 지방선거 시·도의원 당선자(정당별)
▣ 제8회 지방선거 구·시·군의원 당선자(정당별)
▣ 제8회 지방선거 광역의원비례대표 당선자(정당별)
▣ 제8회 지방선거 기초의원비례대표 당선자(정당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