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들뢰즈와 칸트

들뢰즈와 칸트

(차이와 이념의 철학)

강선형 (지은이)
에디스코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들뢰즈와 칸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들뢰즈와 칸트 (차이와 이념의 철학)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현대철학 > 질 들뢰즈/펠릭스 가타리
· ISBN : 9791198343338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24-09-12

책 소개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영화과를 졸업하고 서강대 철학과에서 「들뢰즈 철학에서 시간의 종합과 영화」로 석사 학위를, 「들뢰즈와 칸트: 들뢰즈 철학의 형성에서 칸트 삼비판서의 역할」로 박사 학위를 받은 강선형 저자의 박사 논문을 책으로 엮었다.

목차

일러두기 8

서문 철학의 초상화 10
철학이라는 연습 10 /칸트의 초상화 13 /개념의 변신 17

1장 『순수이성비판』의 체계 21
사실과 권리 23 / 『순수이성비판』이라는 법정 27 / 이성의 권리 29 /문제성 있는 이념 32 /이념의 규제적 사용 34 /마치 ~처럼 36

2장 『실천이성비판』의 체계 41
자유의 실재성 43 / 자유의 인식근거인 도덕법칙 47 / 우리에게 맨 처음 주어지는 도덕법칙 49 /이념들의 실재성: 영혼의 불사성 53 / 이념들의 실재성: 신 54 / 『실천이성비판』의 코페르니쿠스적 혁명 58 /플라톤과 칸트 60

3장 『판단력비판』의 체계 65
삼비판서의 종합적 관계 67 / 취미판단의 무관심성 70 / 취미판단의 보편성 73 / 취미판단의 합목적성 74 / 취미판단의 필연성 77 /목적론적 판단 82 /칸트의 숭고론 86 /숭고론이 알려주는 것 90

4장 칸트적 이념과 들뢰즈적 이념 97
문제성 있는 이념 99 / 본질적인 것과 비본질적인 것 102 / 차이로서의 이념 105 / 문제제기적 이념 107 / 이념의 세 계기들 110 / 이념의 세 계기들 사이의 관계 116 / 차이의 실재성 121

5장 칸트적 자아와 들뢰즈적 자아 125
칸트적 종합 127 / 나는 생각한다 133 / 내감의 역설 138 / 분열된 자아를 위한 코기토 141

6장 시간의 세 가지 종합 147
시간의 수동적 종합 149 /시간의 첫 번째 종합 152 /시간의 두 번째 종합 154 /시간의세 번째 종합 158

7장 칸트의 도식과 들뢰즈의 드라마화 163
칸트 철학에서 도식론의 지위 165 /도식론의 문제 169 /들뢰즈의 드라마화 172

8장 차이와 강도 177
지각의 예취들 179 / 강도적 크기 183 / 라이프니츠의 미세지각 185 / 라이프니츠와 칸트 190 / 차이와 강도 194 / 강도와 영원회귀 195 /강도의세 가지 특성 198

9장 이념의 현실화 205
이념의 현실화 207 / 초감성계와 감성계 사이의 심연 211 /범형성 214 /상상력의 개입 218

10장 칸트와 들뢰즈의 법(칙) 개념 221
‘텅 빈 형식’으로서의 법 개념 223 / 양심의 역설 226 / 우울증적 법 의식 230 / 분열증적 법 의식 233 / 성의 횡단성 235 / 판례법 239

11장 법과 시간 243
무죄 판결과 칸트 245 / 칸트에서 칸트로 249 / 칸트적 시간과 아리스토텔레스적 시간 252 / 칸트적 시간과 니체적 시간 258 / 행위의 조건인 반복 263 /시간의 해방 265

12장 『판단력비판』으로 삼비판서 다시 읽기 273
공통감각의 전제 275 / 공통감각의 문제 280 / 공통감각과 양식 283 / 역설감각para-sens 285 / 역설감각과 시간 286 / 칸트의 숭고론이알려주는 것 288 /사슬 풀린 작품 290

13장 들뢰즈의 초월적 경험론 295
『순수이성비판』의 상상력의 해방 297 / 『실천이성비판』의 상상력의 해방 301 / 능력들의 초재적 실행 303 / 기호론과 배움론 306 / 능력들의 해방 310 / 초월적 경험론 311 / 감성적인 것의 존재 315 / 감각의 논리 317 / 프루스트와 베이컨 320 / 이론에서는 옳을지 모르지만 실천에는 쓸모없다고 하는 속설 324

참고문헌 330
찾아보기 338

저자소개

강선형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영화과를 졸업하고 서강대학교 철학과에서 「들뢰즈 철학에서 시간의 종합과 영화」로 석사 학위를, 「들뢰즈와 칸트: 들뢰즈 철학의 형성에서 칸트 삼비판서의 역할」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제40회 영평상 신인평론상으로 등단하였으며, 한국프랑스철학회 총무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논문으로는 「칸트와 들뢰즈에서 자아의 동일성 문제」, 「영화의 사운드와 자유간접적 역량」, 「들뢰즈와 아감벤의 법 개념」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철학극장: 철학과 영화의 마주침』, 『자크 데리다』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들뢰즈의 칸트 연구는 바로 그러한 철학의 초상화를 그리는 작업이었다. 시간을 들여 철학에 도달하는 작업 말이다. 그렇다고 해서 들뢰즈가 칸트를 자신의 고유한 철학에 도달하기 위해 지나치는 건널목에 불과하다고 생각했던 것은 아니다. 들뢰즈는 칸트의 글에서 ‘문제’들을 발견하고, 늘 그 문제들과 함께 나아가기 때문이다.


들뢰즈에게 철학은 언제나 개념의 창조를 통해 구체적인 질문들을 던지는 것이지, 고전적인 진리 개념처럼 참이나 진실을 발견해 내는 것이 아니었다. 그래서 그는 철학적 개념은 하늘의 별처럼 그 자리에 있고 우리가 발견하면 되는 것이 아니라 창조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