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현대철학 > 자크 데리다
· ISBN : 9791128896446
· 쪽수 : 126쪽
· 출판일 : 2022-12-14
책 소개
목차
자크 데리다라는 사람
01 해체
02 음성중심주의
03 차연
04 대리 보충
05 타자
06 유령
07 환대
08 애도
09 용서
10 도래할 민주주의
저자소개
책속에서
데리다가 조심스럽게 선택한 ‘deconstruction’이라는 번역어, 그의 철학의 중심에 오게 된 그 번역어가 알려주듯이 해체는 모든 것을 ‘파괴’해버리는 허무주의나 회의주의가 아니다. 해체는 체계라는 것에는 늘 한계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드러내는 것이며, 체계 자체가 그 한계로부터만 가능하다는 것을 드러내는 작업이다. “해체는 체계를 자처하는 것들 안에서, 체계에 의한 체계의 자기 해석들 안에서 어떤 탈구(dislocation)의 힘을 드러내고, 총체화 안에서, 추론적 종합의 운동 안에서 한계를 드러내는 일입니다”.
_ “01 해체” 중에서
데리다는 라틴어 ‘differre’에서 온 프랑스어 ‘differer’가 ‘다르다’, ‘차이난다’라는 뜻과 ‘지연시키다’, ‘연기하다’라는 뜻을 모두 가지고 있다는 점에 착안해 ‘차연’이라는 개념을 만들었다. 차이를 뜻하는 프랑스어 ‘difference’는 두 의미 가운데 하나인 시간화로서의 지연 또는 연기의 의미를 가리키지 못하기 때문이다.
_ “03 차연” 중에서
타자에 대해 사유할 수 있는 모든 지반이 무너져 내렸을 때도 ‘공조’할 수 있고 ‘살아 있게’ 만들어줄 수 있는 유일한 사람은 데리다에게 레비나스인 것이다. 레비나스 역시 자신의 철학과 데리다 철학의 만남에 대해 ‘교차(chiasme)의 한 가운데에서 접촉의 즐거움’이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서로의 철학에서 이질적인 것을 남겨두면서 공조하고 교차하는 것, 그것이 바로 타자 개념에서 두 사람이 만나고 있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_ “05 타자”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