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98607409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24-02-23
책 소개
목차
추천사
· 함께, 평화의 세상으로 나아가는 경계에 서기를
· 내 것으로 해석이 가능한 학급 솔루션의 정석
프롤로그: 이른 아침, 학교 갈 준비를 하고 있다.
1부. 학교 가는 길에서 만난 사람들
· 당신이라면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1장. 아이와 아빠의 선택
2장. 평화를 선택한다는 것은 고통스러운 것일까?
3장. 내가 사건의 당사자가 되었을 때
2부. 학교 정문을 들어서며 생각한 것들
· 학교에서 어떻게 관계를 배울 수 있을까?
1장. 관계의 나침반, 회복적 생활교육
2장. 관계 형성과 관계 회복의 모형
3장. 회복적 교육은 평화교육이다.
3부. 우리 교실에는 ‘관계공감소통’가 있다
· 관계 형성에는 연습이 필요하다.
1장. 환대의 교실 만들기
2장. 우리 교실에는 ‘관공소’가 있다.
3장. 학급의 관계를 만드는 Mom 놀이+Mam 놀이
4부. 관계의 로드맵을 만드는 대화
· 교실 관계망을 ‘인수분해’하다
1장. 우리는 매일 대화를 연습한다.
2장. 모두에 의한, 모두를 위한 서클 대화
3장. 정작 아이들 가정에 대화가 필요해요
4장. 교육전문가로서 학부모와 대화로 협업하기
5부. 갈등전환으로 가는 길
· 갈등은 문제가 아니다.
1장. 갈등은 새로운 관계를 만든다.
2장. 갈등 해결을 위한 분석의 기술
3장. 교실 갈등에 필요한 핵심 질문들
에필로그: 퇴근길, 학교의 매트릭스를 통과하며
참고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교사의 수업과, 관계 형성을 위한 지침이 주어지더라도 아이들은 본성에 따라 감각적으로 움직이는 것이 먼저이기 때문에 선생님 목소리에 대한 반응보다 또래 집단의 시선을 더 중요하게 여깁니다. 그래서 학년 초 학급의 ‘관계 형성 주간’이 지나고 나면 또래 관계의 점성이 느슨해지면서 이러한 틈을 타고 폭력적 하위문화가 자리하게 됩니다.
- 프롤로그 중에서
“피해를 회복하기 위해 어떡해야 하나 막연했지만, 제가 하고 싶던 말을 진실하게 다 드러내고, 관계 회복을 위해 반드시 책임질 것을 함께 논의할 수 있어서 이 대화모임이 감사했습니다. 이제 마음 편하게 지낼 수 있을 것 같아요.”
소감을 묻는 조정자에게 선생님은 그렇게 담담하게 답했습니다.
또한 아이 부모는 죄송하다며, 선생님의 피해 회복을 위해 책임을 다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이처럼 회복적 정의는 문제해결을 위해 서로 다른 선택의 갈래에 놓였을 때 실질적 회복의 길을 제시해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