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경전/법문
· ISBN : 9791198653437
· 쪽수 : 552쪽
· 출판일 : 2025-06-13
책 소개
목차
제6장 여성의 출가
1 최초의 비구니
1.1 숫도다나 왕의 임종
1.2 빠자빠띠의 옷 보시
1.3 빠자빠띠의 출가 요청
1.4 빠자빠띠의 출가 결행
1.5 아난다의 간청
1.6 빠자빠띠의 출가
2 비구니의 교계
2.1 난다까의 교계
2.2 쭐라빤타까의 신통한 교계
2.3 세존의 교계
3 교계하는 비구니
3.1 세존과 일치하는 케마
3.2 설법제일 담마딘나
3.3 까장갈라의 교계
4 비구니의 게송
5 으뜸으로 칭송받는 비구니들
제7장 교단의 완성
1 수닷따 아나타삔디까
1.1 기원정사
1.2 교계 받는 수닷따
1.3 설법 듣는 수닷따
1.4 임종하는 수닷따
2 위사카
2.1 녹자모강당
2.2 승가를 외호하는 미가라마따
2.3 교계 받는 미가라마따
3 빠세나디 왕
3.1 빠세나디 왕의 귀의
3.2 빠세나디 왕의 가족
3.3 빠세나디 왕의 통치
3.4 빠세나디 왕의 죽음
4 맛치까산다의 ㅤㅉㅣㅅ따 장자
4.1 ㅤㅉㅣㅅ따의 탁마
4.2 ㅤㅉㅣㅅ따의 교계
4.3 ㅤㅉㅣㅅ따의 임종
5 박가의 나꿀라 부부
6 왓지의 욱가와 욱가따
6.1 욱가 장자
6.2 욱가따 장자
7 꼬삼비의 왐사국
8 웃제니의 아완띠국
9 마두라의 수라세나국
10 기타 변방국
11 까삘라왓투의 마하나마 왕
11.1 마하나마 왕의 질문
11.2 마하나마 왕의 믿음
11.3 유학의 경지
11.4 임종시 성취하는 해탈
11.5 마하나마 왕의 사후 질문
12 꼴리야의 숩빠와사
13 알라위의 핫타까 왕자
14 기타 재가 제자들
제8장 교단의 명암
1 어둠과 밝음
1.1 비방과 칭송
1.2 죽과 사료
1.3 법을 훔치는 자들
2 투병과 간병
2.1 네 가지 출가자의 병
2.2 세 종류의 환자
2.3 간병인의 자격
2.4 병든 비구가 지키는 법
2.5 임종시 성취하는 해탈3
2.6 병문안
2.6.1 병든 재가제자
2.6.2 병든 비구
2.6.3 병든 장로비구
2.6.4 병든 세존
3 죽음과 퇴전
3.1 사고사하는 비구들
3.2 자살하는 비구들
3.3 어려움 겪는 비구들
3.3.1 퇴전하는 비구들
3.3.2 퇴전하는 ㅤㅉㅣㅅ따
3.3.3 정진을 포기하는 소나
3.3.4 애욕에 물든 왕기사
3.3.5 퇴전의 세 가지 조건
4 잘못과 범계
4.1 잘못을 범한 자들
4.2 꾸지람을 받는 자들
4.3 계와 율을 범한 자들
4.4 쫓겨나는 자들
5 분쟁과 분열
5.1 다툼과 화합
5.2 꼬삼비 분쟁
5.2.1 세존의 일차 중재
5.2.2 세존의 이차 중재
5.2.3 꼬삼비를 떠나는 세존
5.2.4 분쟁하지 않는 비구들
5.2.5 분쟁의 종식
5.2.6 분쟁에 관한 질문
5.3 데와닷따의 분열
5.3.1 데와닷따의 삿된 원
5.3.2 데와닷따의 삿된 노력
5.3.3 데와닷따의 분열
5.3.4 분열의 종식
5.3.5 분열의 교훈
5.3.6 분열에 관한 질문
5.3.7 분열의 후과
제9장 의무율의 제정
1 함께 살 수 없는 죄
1.1 제1조 살인 행위
1.2 제2조 절도 행위
1.3 제3조 성행위
1.4 제4조 높이는 거짓말
2 승가의 처벌을 받는 죄
2.1 제1조~제5조 성에 관한 조항들
2.2 제6조~제7조 개인 정사에 관한 조항들
2.3 제8조~제11조 승가에 관한 조항들
2.4 제12조~제13조 비율에 관한 조항들
3 판정받는 죄
4 반납하고 참회하는 죄
4.1 제1조~제18조 옷에 관한 조항들
4.2 제19조~제25조 깔개에 관한 조항들
4.3 제26조~제28조 발우와 약에 관한 조항들
4.4 제29조~제30조 금전에 관한 조항들
5 참회하는 죄
5.1 제1조~제6조 살생에 관한 조항들
5.2 제7조~제8조 절도에 관한 조항들
5.3 제9조~제16조 이성에 관한 조항들
5.4 제17조~제20조 구행에 관한 조항들
5.5 제21조~제23조 군대에 관한 조항들
5.6 제24조~제27조 재가자에 관한 조항들
5.7 제28조~제39조 식사와 음식에 관한 조항들
5.8 제40조~제47조 일상생활에 관한 조항들
5.9 제48조~제53조 비구니에 관한 조항들
5.10 제54조~제69조 비구에 관한 조항들
5.11 제70조~제73조 비법에 관한 조항들
5.12 제74조~제86조 비율에 관한 조항들
5.13 제87조~제92조 보칙에 관한 조항들
6 자백하는 죄
7 습득하는 죄
8 쟁사를 소멸하는 죄
9 형벌과 출죄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아난다여, 어떤 여성이라도 집을 떠나 여래의 법과 율 안으로 출가하여 여래의 법과 율에 따라 닦아서 예류과도 일래과도 불환과도 아라한과도 실현할 수 있느니라. 만일 빠자빠띠 고따미도 비구제자가 가르쳐 주는 여래의 법과 율을 의지처로 삼고 그 사람이 누구든 자식이든 남편이든 사람을 의지처로 삼지 않는다면 그녀는 출가할 수 있느니라.
장자여, 그러므로 여기서 그대는 이렇게 공부하여야 합니다. ‘나는 이 세상을 취착하지 않으리라. 그러면 나의 식은 이 세상에 의지하지 않을 것이다. 나는 저세상을 취착하지 않으리라. 그러면 나의 식은 저세상에 의지하지 않을 것이다. 나는 보고 듣고 생각하고 알고 탐구하고 마음으로 고찰한 모든 것을 취착하지 않으리라. 그러면 나의 식은 그것들에 의지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공부하여야 합니다.
이렇게 설하였을 때 장자는 흐느끼며 눈물을 흘렸다. “사리뿟따 존자시여, 그렇다면 흰옷을 입은 재가제자들에게도 이러한 법문을 설하여 주십시오. 존자시여, 눈에 먼지가 적게 들어간 우바새들이 있습니다. 이러한 법문을 듣지 않으면 그들은 타락할 것입니다. 이러한 법문을 이해할 만한 자들이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