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98817310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24-11-20
책 소개
목차
대한민국 인구 상황판
추천사 | ‘공생의 미래 교육’을 이끄는 지침서
머리말
1장 붕괴하는 대한민국, 인구 구조가 가져올 재앙
1. 무너지는 인구 구조, 불투명한 미래
2. 선진국 공통, 저출산
3. 심각한 저출산, 사라지는 지역
4. 인구 구조, 다양한 관점이 필요한 시점
2장 각 세대가 마주하고 있는 우리 사회의 인구 문제와 구조
1. 걱정과 혼란의 10대 - 미래에 대한 공포 속, 결혼을 부정하기 시작하는 세대
2. 취업과 생존의 20대 - 경쟁·혐오·갈등 속에서 결혼과 가정을 포기하는 세대
3. 결혼과 출산의 30대 - 합계출산율 0.7의 비극이 탄생한 세대
4. 부양과 소진의 40~50대 - 짊어질 것이 많아 미래를 준비하지 못하는 세대
5. 상실과 소외의 60대 - 버림받은 세대, 극단주의 세대
3장 인구 구조 변화가 가져올 미래 사회 문제
1. 이민 증가와 문화 갈등
2. 불안한 국방, 대한민국 안보
3. 지방 소멸과 수도권 집중, 예견된 국가 공동화
4. 사회보험 붕괴와 세대 간 갈등
4장 잿빛 미래를 준비해야 하는 우리, 지금부터 할 수 있는 것들
1. 얼마 남지 않은, 인구 회복의 골든 아워
2. 오늘의 출산이 미래의 복지, 지속 가능보다 생존 가능을 꿈꾸자
리뷰
책속에서
현장에서 직접 겪은 이야기, 특히 인구 구조 변화를 온몸으로 받아내고 있는 지방 학교와 청년들의 이야기, 수도권에서 치열하게 살아가고 있는 청년과 중년들의 이야기, 세대 담론에서 조직적으로 배제당하고 상실감을 느끼는 노년층의 이야기를 통해 인구 구조가 어떤 문제를 야기하는지 구조화하려고 노력했습니다. 본서 말미에는 다문화가정, 국방, 지방 소멸, 사회보험의 붕괴 등 어느 정도 분석이 진행된 사회 문제에 대해 전문가들의 견해를 바탕으로 정리해 보고 우리가 앞으로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를 생각해 보았습니다.
- ‘머리말’ 중에서
이처럼 지방 학교에 저경력 교사 위주 배치 추세가 일반화된다면 이는 다시 교육의 질 저하로 이어집니다. 교육의 질 저하는 교사로 하여금 교육 현장에서의 성취감을 느끼기 어렵게 만들고, 결국 교사들도 지방 학교에서 벗어나려는 분위기가 형성됩니다. 부정적인 분위기 가운데 교사들에게 교육적 사명감만으로 지방 교육에 헌신하길 요구하는 것은 어려운 일입니다.
실제로 지역 소규모 학교에서 근무하는 대부분 교사들은 짧으면 1년, 늦어도 3년 이내에 근무를 마치고 그 지역을 떠납니다. 교사의 교육 연속성이 담보되지 않는 상황에서 양질의 교육 서비스가 안정적으로 제공되기를 바라는 것은 욕심이죠
- 2장 ‘각 세대가 마주하고 있는 우리 사회의 인구 문제와 구조’ 중에서
생물학자인 최재천 박사는 『통섭의 식탁』이라는 책에서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들이 생존의 어려움에 봉착했을 때 가장 먼저 하는 행동이 출산을 포기하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지금도 청년층 입장에서는 충분히 생존이 어려운 상황이지만, 그마저도 ‘현재가 가장 살만한 상황’이라는 평가를 내리면서 미래를 비관적으로 바라보고 있죠. 인구 구조가 우리에게 큰 충격을 줄 것은 정해진 사실이지만, 그 충격을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해 노력해 볼 수 있는 시간이 그나마 조금이라도 남아 있다는 점은 불행 중 다행입니다.
- 4장 ‘잿빛 미래를 준비해야 하는 우리, 지금부터 할 수 있는 것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