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한국정치사정/정치사 > 한국정치사정/정치사-일반
· ISBN : 9791198896407
· 쪽수 : 188쪽
· 출판일 : 2025-03-31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 그날 새벽, 여의도에서 광주를 보았다
1장. 핵심 키워드 갈아엎기
부동산에 관한 인간 본성을 인정하자
플랫폼 노동자를 위한 올바른 노동 환경을 만들자
지방엔 먹이를, 서울엔 둥지를 만들자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현실적 대안을 찾자
통일과 통이(統二)를 함께 생각하자
천장을 향해 오를 사다리를 만들자
2장. 한계와 금기 갈아엎기
이제 과학고를 말하자
애국 페이를 버리자
8,500만 원이라는 천장을 뚫자
민주당의 벨을 누구나 누를 수 있도록 하자
비욘드 재팬을 생각하자
거리로 나온 넷우익, 극단적 혐오를 단죄하자
3장. 실패 갈아엎기
숫자놀음을 따라가지 말자
공약의 언어를 세심히 설계하자
인재 영입의 시스템을 구축하자
호남의 목소리에 더욱 귀 기울이자
4장. 정책 넘어 태도 갈아엎기
서민 코스프레를 멈추자
말 좀 쉽게 하자
김대중과 노무현을 통해 현실을 말하자
인간의 본능을 외면하지 말자
5장. 함께 갈아엎은 것들
출퇴근 지옥 해소 선언
법인세 인하 선언
전기 자동차 주차장 확보 선언
에필로그 | 나는 또 지고 싶지 않다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과거 광주에서는 정보 통제와 언론 검열로 진실이 왜곡되었지만, 현대의 서울에서는 진실이 실시간으로 전달됨에도 무감각한 반응이 나온 것이다.
이는 우리가 얼마나 쉽게 ‘잔인한 평화’에 안주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2018년 대법원이 유신체제를 위법이라고 판결했음에도, 불과 몇 년 만에 비슷한 상황이 재현될 수 있었다는 사실은 충격적이다. 더구나 당시 판결에 참여했던 현 대법원장이 있음에도 이런 일이 발생했다는 점은 법치주의와 민주주의의 근간이 얼마나 취약한지를 여실히 보여준다.
_「그날 새벽, 여의도에서 광주를 보았다」 중에서
부동산의 문제는 사는 것과 사는 곳의 문제, 평생직장이 사라진 현실을 넘어선 문제도 담고 있다. 바로 ‘부의 세습 문제’다. 부모의 경제력은 단순히 초중고 진학과 대학교의 입시 준비, 그리고 유학에서 졸업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다. 결국은 부동산이다. 사실상 결혼의 전제 조건이 되어버린 ‘내 집 마련’에도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
_「부동산에 관한 인간 본성을 인정하자」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