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가톨릭 > 가톨릭 신학
· ISBN : 9791199051997
· 쪽수 : 198쪽
· 출판일 : 2025-11-03
책 소개
목차
프란치스코 교황 강복장
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의 격려와 축복의 말씀
교황 레오 13세의 회칙 발췌문
성 바오로 6세 교황의 교황교서 발췌문
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의 회칙 발췌문
『신학대전』 완간을 꿈꾸며
『신학대전』 간행계획
일러두기
일반 약어표
성 토마스 작품 약어표
‘활동과 관상’ 입문
제179문 활동 생활과 관상 생활에 대하여
제1절 생활을 활동 생활과 관상 생활로 구분하는 것은 적절한가
제2절 생활을 활동 생활과 관상 생활로 구분하는 것은 충분한가
제180문 관상 생활에 대하여
제1절 관상 생활은 감정과는 무관하고 온전히 지성 안에서만 이루어지는가
제2절 윤리덕들은 관상 생활에 관련되는가
제3절 다양한 행위들이 관상 생활에 속하는가
제4절 관상 생활은 오직 하느님만을 관상하는 것인가, 아니면 어떤 진리든 다 고찰하는 것인가
제5절 현세의 삶의 상태에서 관상 생활이 신적 본질을 보는 데에 이를 수 있는가
제6절 관상의 작용은 원형, 직선형, 나선형의 세 가지 움직임으로 적절하게 구별되는가
제7절 관상에 쾌락이 있는가
제8절 관상 생활은 지속되는가
제181문 활동 생활에 대하여
제1절 윤리덕의 모든 행위는 활동 생활에 속하는가
제2절 현명은 활동 생활에 속하는가
제3절 가르치는 것은 활동 생활의 행위인가, 관상 생활의 행위인가
제4절 현세의 삶이 끝난 다음 활동 생활은 남아 있을 것인가
제182문 활동 생활과 관상 생활의 비교에 대하여
제1절 활동 생활은 관상 생활보다 우월한가
제2절 활동 생활은 관상 생활보다 공로가 큰가
제3절 관상 생활은 활동 생활로 방해를 받는가
제4절 활동 생활은 관상 생활에 선행하는가
주제 색인
인명 색인
고전작품 색인
성 토마스 작품 색인
성경 색인
책속에서
생활을 활동 생활과 관상 생활로 구분하는 것은 적절한가?(a.1) 이에 대하여 제기되는 반론들에 답하기 위하여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은, 이 구분이 모든 생명체가 아니라 인간의 삶(생명, 생활)에 관련된다는 점이다. 모든 생명체 가운데 인간을 특징짓는 것은 지성이고, 그래서 활동과 관상, 사변과 실천이 모두 지성과 관계되는 것이라 하더라도 이 구분은 인간의 생활을 구분하기에 합당하다. 또한 관상에 외적인 움직임이 없다 하더라도, 관상 자체가 지성의 움직임이기에 그것은 생명의 특성과 충돌하지 않는다. 활동 생활과 관상 생활이 일부 사람들에게 해당되는 것이라 할 때 “어떤 이들은 특히 진리의 관상을 지향하고 다른 이들은 주로 외적 행위들을 지향하므로, 인간의 생활은 활동 생활과 관상 생활로 적절하게 구분된다.”
-xxxix-xxxviii쪽, ‘활동과 관상’ 입문
관상 생활이 인간에게 유쾌함을 주는 것은(a.7), 진리의 관상이 이성적 동물인 인간의 본성에 부합하고 또한 관상의 대상인 하느님과 그 하느님을 관상하게 하는 사랑이 인간을 즐겁게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상의 쾌락은 인간적인 모든 쾌락을 능가한다. 관상은 그레고리우스가 말하듯이 이 세상에서 시작되고 천상 본향에서 완성되는 것으로서, 현세의 삶이 끝난 다음에도 지속된다(a.8).
-xxxix쪽, ‘활동과 관상’ 입문
활동 생활은 외적인 일들에 종사한다는 점에서 관상 생활을 방해하는 요소가 될 수 있으나(a.3), 다른 한편으로는 관상을 가로막는 정념들을 가라앉힌다는 점에서 관상을 준비하고 관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시간적인 순서를 생각할 때도 이 점을 고려해야 한다. 본성에 따라서 본다면 관상 생활이 활동 생활에 선행한다(a.4). 관상 생활은 직접적으로 하느님 사랑에 속하고, 활동 생활은 하느님 때문에 이웃을 사랑하는 것에 연관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 자신과 관련해서 볼 때는 활동 생활이 관상 생활을 준비시키는 것으로서 관상 생활에 선행한다.
-xli쪽, ‘활동과 관상’ 입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