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가톨릭 > 가톨릭 성서 > 성서의 이해
· ISBN : 9788976354365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24-08-13
책 소개
목차
서문 _004
여는 말 _008
추천의 말 _022
한국어판 여는 말 _024
일러두기 _027
호세아서 입문
저자 _039
편집사 _040
문학적 구조 _044
저술 연대 _046
주요 쟁점과 신학적 주제 _048
은유 _048
문학 유형 _049
여성에 대한 대우 _050
원천들의 사용 _051
하느님을 알기 _052
참된 예배와 거짓 예배 _052
멸망과 희망의 예언 _053
본문의 모호성 _054
개요 _055
호세아서 주해
호세아, 고메르, 그들의 가정 1,1-3,5 _059
머리글 1,1 _059
예언자의 혼인 1,2-9 _060
새로운 미래 2,1-3 _062
호세아는 아내와 이혼하고, 주님은 이스라엘과 이혼하시다 2,4-25 _062
예언자가 아내를 다시 데려오다 3,1-5 _065
예언 단편들 4,1-14,9 _067
이스라엘에 대한 고발 4,1-3 _068
악한 사제들 4,4-12 _068
성전과 다른 곳에서의 성性과 예식 4,13-19 _070
지도자들에 대한 단죄 5,1-7 _072
사제들에 대한 분노 5,8-14 _073
회개를 촉구하다 5,15-7,2 _075
타오르는 화덕 7,3-7 _077
외국과의 동맹 7,8-12 _078
이스라엘의 불성실 7,13-8,14 _079
이스라엘의 죄에 대한 처벌 9,1-17 _081
이스라엘의 유배, 중단된 예배 9,1-6 _081
어리석은 예언자, 경고하는 예언자 9,7-9 _082
불임의 벌 9,10-14 _084
길갈에 대한 고발 9,15-17 _085
하느님이 이스라엘의 우상숭배를 꾸짖으시다 10,1-10 _086
밭 갈기와 거두기 10,11-15 _087
하느님의 내적 갈등 11,1-11 _089
성조 야곱의 예 12,1-15 _093
만연한 우상숭배 13,1-14,1 _095
풍요로움의 회복 14,2-9 _096
맺음말 _098
참고 문헌 _100
요엘서 입문
편집사 _103
주요 주제 _104
청중과 쓰임 _105
개요 _105
참고 문헌 _129
요엘서 주해
전례 없는 재앙의 예고 1,1-20 _109
그날이 다가온다 2,1-11 _111
주님께 돌아오라 2,12-17 _112
후회하시는 주님 2,18-27 _116
주님의 날 3,1-5 _118
민족들에 대한 주님의 고발 4,1-8 _120
민족들의 멸망 4,9-16 _124
유다를 위한 확실한 미래 4,17-21 _126
참고 문헌 _129
아모스서 입문
예언자 아모스 _133
저술 연대와 배경 _135
문학적 특징 _137
메시지와 중요성 _140
개요 _141
아모스서 주해
머리글과 주제 1,1-2 _145
민족들에 대한 신탁 1,3-2,16 _146
다마스쿠스 1,3-5 _148
가자 1,6-8 _149
티로 1,9-10 _149
에돔 1,11-12 _150
암몬 1,13-15 _150
모압 2,1-3 _150
유다 2,4-5 _151
이스라엘 2,6-16 _151
주님이 너희를 두고 한 이 말 3,1-4,13 _153
첫째 말씀 3,1-15 _154
둘째 말씀 4,1-13 _156
내가 너희를 두고 한 이 말 5,1-6,14 _157
애가 5,1-17 _159
첫째 탄원 5,18-27 _161
둘째 탄원 6,1-14 _164
환시, 내러티브, 신탁 7,1-9,15 _166
첫째 환시 7,1-3 _168
둘째 환시 7,4-6 _168
셋째 환시 7,7-9 _169
내러티브 7,10-17 _170
넷째 환시 8,1-3 _171
신탁 8,4-14 _172
다섯째 환시 9,1-4 _175
신탁 9,5-15 _176
참고 문헌 _178
오바드야서 입문
예언자 오바드야 _181
책의 단일성과 편집사 _182
문학 유형과 특징 _183
이스라엘-에돔의 역사 _183
신학과 메시지 _185
개요 _186
오바드야서 주해
에돔의 멸망에 대한 예고 1-9절 _189
에돔의 운명에 대한 이유 설명 10-14절 _192
에돔과 모든 민족에 대한 주님의 심판,
유다와 이스라엘의 회복 15-21절 _194
참고 문헌 _197
요나서 입문
편집사와 저술 연대 _201
주요 주제 _203
중요성 _204
문학적 특징과 구조 _205
개요 _206
요나서 주해
하느님이 요나를 니네베로 보내시다 1,1-2 _211
요나가 타르시스로 달아나다 1,3 _212
폭풍 위기 1,4-15ㄱ _213
하느님이 폭풍을 보내시다 1,4 _213
선원들과 요나의 첫 반응 1,5 _213
선장의 반응과 희망의 표현 1,6 _214
요나의 고백과 선원들의 대답 1,7-9 _215
요나의 지시 1,10-12 _216
선원들의 대답 1,13-15ㄱ _217
폭풍이 그치다: 하느님이 마음을 돌이키시고,
선원들이 제물과 서원을 바치다 1,15ㄴ-16 _218
요나가 회개하고 살아나다 2,1-11 _219
하느님이 큰 물고기를 마련하시다 2,1 _219
요나가 기도하다 2,1-10 _219
요나가 물고기 배 속에서 나오다 2,11 _222
하느님이 요나를 다시 니네베로 보내시다 3,1-2 _223
요나가 니네베에 가서 예언하다 3,3-4 _223
니네베의 위기 3,5-9 _225
니네베 사람들의 반응 3,5 _225
임금의 반응과 희망의 표현 3,6-9 _225
니네베가 위기를 벗어나다: 하느님이 마음을 돌이키시다 3,10 _227
요나의 신학적 위기 4,1-9 _228
제1부 4,1-4 _228
제2부 4,5-9 _229
요나와 독자를 향한 하느님의 마지막 질문 4,10-11 _231
참고 문헌 _234
옮긴이의 말 _235
책속에서
호세아서를 편집한 유다의 편집자들은 북부의 자료들에 형태를 부여하고, 내용을 첨가하고, 그 단절된 부분들을 연결했다. 그들의 저술은 이 책을 읽고 전파했던 동시대인들의 필요에 부응한 것이며, 구전의 결과물이 아니라 문학적 산물이었다.
일부 학자들(Keefe, Sherwood, Yee)은 qedeșōt이 매춘 행위가 아니라 성전에서 직무를 맡은 여성 사제를 지칭한다고 주장했다. 사실 이스라엘에서 성전 매춘이 있었다는 증거는 없다. 오히려 예언자는 이스라엘인들이 성전에서 벌인 qedeșōt과의 불법적인 행위를 고발하여, 그들의 바알 숭배가 외국에서 왔으며 부도덕하다고 비난하려 한다.
호세아의 예언 모음에는 희망이 깃들어 있다. 예언자는 회복된 이스라엘과 다시 풍요로워진 땅에 대한 전망을 나누며, 그 연장선 위에서 다윗 가문의 군주가 이끄는 쇄신되고 번영하는 사회를 바라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