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조직/인력/성과관리
· ISBN : 9791199224612
· 쪽수 : 212쪽
· 출판일 : 2025-06-06
책 소개
어떤 조직은 매일을 '버티기'로 채우는가?"
성과 중심의 보고서,
치밀하게 설계된 제도와 KPI,
매뉴얼화된 일의 방식들이 있어도
조직이 살아 있지 않다면,
그 이유는 단 하나-
문화가 숨 쉬지 못하기 때문이다.
성과보다 사람,
제도보다 공기,
전략보다 문화.
문화는 조직의 '기류'다.
보이지 않지만 누구나 느낀다.
누가 말하지 않아도 퍼져나가고,
무심코 반복되며 조직의 정체성을 만든다.
그 어떤 조직도 문화를 피할 수 없다.
문화는 존재를 넘어, 운명이기 때문이다.
이 책은 묻는다.
"당신 조직은 어떤 공기를 마시고 있는가?"
그리고 말한다.
조직을 움직이는 진짜 힘은
누구도 명확히 정의하지 않지만
모두가 체감하고 있는 '문화'라고.
『조직은 문화다』는
단순히 '좋은 분위기 만들기'나 '즐거운 일터'의 이야기가 아니다.
문화의 본질을 꿰뚫고,
문화의 언어를 다시 정의하며,
문화의 행동을 설계하고,
문화의 기후를 실천으로 바꾸는 책이다.
조직이 어떤 가치 위에서 서 있는지를 되묻고,
구성원의 경험과 관계, 리더십의 언어와 제도까지
'문화'라는 시선으로 재조명하는 전략서이자 실행 가이드북이다.
조직문화는 선택의 결과이며,
리더의 침묵도 메시지다.
문화는 지금 이 순간에도 만들어지고 있다.
『조직은 문화다』는
방치된 문화가 아닌, 디자인된 문화를 원한다면
가장 먼저 읽어야 할 책이다.
전략보다 앞서는 힘,
성과를 지속가능하게 만드는 기후,
사람을 살아 있게 하는 공기.
그 모든 답은, 바로 '문화'에 있다.
- "AI를 도입했는가?" 그렇다면,, "조직을 다시 디자인했는가?"
■ 당신의 조직은, 무엇을 '변화'라고 말하는가?
GPT를 쓰고, 회의를 줄이고, 자동화를 시작했다고?
그건 '기술'의 변화일 뿐이다.
진짜 변화는 문화에서 시작되고,
일의 본질로 들어가며,
사람을 다시 중심에 두는 데서 완성된다.
이 책은 AI라는 기술의 '파도'가 아니라,
그 파도 위를 '서핑'할 수 있는
조직의 근육과 감각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에 대한 이야기다.
■ 조직은 이제 '새로운 정체성'을 가져야 한다
이 책은 말한다.
"AI를 도입한 조직은 많지만,
AI 시대에 맞는 문화를 설계한 조직은 드물다."
조직은 변화를 선언하는 것이 아니라,
'변화가 일어나는 조건'을 설계해야 한다.
그 조건은 무엇인가?
신뢰를 기반으로 한 협업 구조
성과 중심의 실행 문화
사람의 감정과 기술의 공존
리더가 곁에 머무는 방식
AI를 업무에 심는 것이 아닌, 사고에 이식하는 것
■ AI와 함께 '일하는 방식'을 바꾸고 싶은 사람에게
이 책은 물음을 던지고,
그 물음 끝에서 실천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한다.
'지금, 우리 조직은 바뀌고 있는가?'
'이 방식으로 내 자리는 지켜질 수 있는가?'
'나는 AI를 도구로 쓰는가, 대체되는가?'
이 질문이 마음속에 살아 있다면,
당신은 이 책의 독자가 맞다.
"이 책은 보고서가 아니다.
읽는 순간, 당신의 '일'과 '조직'을 다시 묻게 되는 리디자인 프레임이다."
■ 이 책은 '누구'를 위한 책인가?
AI 도입은 했지만, 조직문화는 그대로인 기업 리더
변화의 방향을 설정하고 싶은 조직문화 담당자
일의 방식을 바꾸고 싶은 실무자와 팀장
AI 앞에서 흔들리는 나의 일자리와 존재감을 점검하고 싶은 사람
AI는 도입하는 것이 아니라, 조직의 방식으로 '번역'되어야 한다.
이 책이 바로 그 번역서다.
목차
프롤로그
AI 시대, 조직은 지금 무엇을 해야 하는가?
1부. AI 시대, 조직문화의 변화
- 지금 당장 바꿔야 할 것들
PART 1. AI 시대, 조직문화가 기업의 성패를 결정한다
AI 시대, 변하지 않는 조직은 살아남을 수 있을까?
경쟁력 있는 조직문화 구축 방법은?
실패하는 조직과 성공하는 조직의 차이는?
조직은 AI 시대에 얼마나 대응하고 있나?
PART 2. AI가 조직을 바꾸는 3가지 핵심 변화
AI가 의사결정을 한다면?
AI와 협업하는 업무 방식
더 빠르게, 더 스마트하게
PART 3. AI 시대, 강한 조직 만들기
AI 시대, 조직문화 재정의
AI 시대, 적합한 조직문화
AI 시대, 강한 조직을 만드는 DNA 4가지
2부. AI 시대, 일하는 방식의 변화
- 성과를 극대화하는 실행 전략
PART 4. 기존의 일하는 방식은 이제 끝났다!
회의, 보고, 결재… 과연 필요한가?
성과 중심 조직으로 전환하는 법
이렇게 일하면 무조건 실패한다
PART 5. AI 친화적으로 일하는 방식
성공하는 조직이 먼저 바꾼 것
일을 다시 설계하다: AI보다 먼저 바꿔야 할 것
변화를 시작하다: 체감을 만든 작은 실험들
사고를 돕는 GPT 프레임워크: 자동화를 넘어, 생각을 지원하다
PART 6. 나의 일자리는 어떻게 바뀔 것인가?
AI가 내 일을 대체할까?
AI 시대, 나의 가치는 어떻게 높일 수 있을까?
AI와 함께 일하는 법, 조직은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PART 7. AI 시대, 조직 운영은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가?
지시하지 않고 곁에 머무는 리더
감정은 설계가 필요하다
실패하는 조직의 특징과 해결법
3부. AI 조직문화 정착과 지속적인 성과 창출
- 지금 실행해야 할 변화관리 전략
PART 8. 직원들이 AI를 받아들이도록 만드는 법
직원들이 AI를 거부하는 이유
변화에 저항하는 조직을 혁신하는 방법
조직이 실제로 따라야 할 로드맵
PART 9. AI 기반의 인재관리와 리더십
감정을 흉내 내는 기술의 한계
성과 중심 인재관리의 진화
서번트 리더십의 시대
PART 10. AI 시대, 지속가능한 조직 모델
꾸준히 성장하는 조직의 핵심 원칙
AI를 활용한 지속가능성 제고
직원과 조직의 공동 성장
에필로그
AI와 인간이 공존하는 조직에서 우리는 어떻게 성장할 것인가?
저자소개
책속에서
기술은 곁에 있지만, 조직이그 잠재력을 일의 방식으로 전환하지 못하면 혁신은 일어나지 않는다. AI는 도입이 아니라, '통합'되어야 한다. AI는 단지 자동화의 수단이 아니다. AI는 조직의 의사결정 구조, 커뮤니케이션 방식, 업무 프로세스 전체를 재설계하게 만드는 인식의 전환점이다. / AI 시대, 조직은 지금 무엇을 해야 하는가?
조직문화는 생물이기에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해야 한다. 여전히 조직문화는 기업홍보의 좋은 도구이다. 특히 기업 CEO의 홍보 방편으로 활용하기 너무 좋다. 하지만 이젠 조직문화를 보여 주기식 또는 홍보의 방편으로 활용하면 조직문화의 주체이자 구성원들로부터 외면을 받게된다. / AI 시대, 변하지 않는 조직은 살아남을 수 있을까?
AI 시대에는 조직문화 자체가 경쟁력이 된다. 조직문화가 잘 조성된 조직은 AI 기술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기존의 조직 운영 방식과 인적 자원의 역할을 재정립하기 때문이다. / 실패하는 조직과 성공하는 조직의 차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