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91199346208
· 쪽수 : 188쪽
· 출판일 : 2025-07-15
책 소개
목차
1부 천부경의 유래와 전승
1장 천부경의 유래
2장 천부경의 전승 경로
1916년 이전의 전승
삼성사의 천부보전
비석에 새겨진 천부경석
‘태백일사太白逸史’천부경
1916년 이후의 전승
‘단탁檀鐸’의 석벽본 천부경과 천부경도 원본
‘정신철학통편精神哲學通編’의 단군 천부경
2부 자연과 역사에서 찾는 천부경 원리
1장 유와 무, 음양의 철학
나무로 본 유有의 ‘있음’과 무無의 ‘없음’
‘없’과 ‘있’은 음陰과 양陽
일一과 무無, 북극성의 자리
2장 태양과 광명
천기天氣와 지기地氣
태양 숭배와 우주 광명 민족
(1) 만주와 한반도에 발견되는 태양 문양
(1) 태양체와 해바라기
3장 천지인과 삼신 사상
삼족오三足烏와 신교神敎
삼신일체三神一體
역사적 인격체인 환인·환웅·단군과 ‘밝’
천지인과 홍익인간
천부경과 삼태극
3부 천부경의 다양한 해석
1장 전병훈의 단군 천부경 해석
단군 천부경 서언
원문 81자 및 주석에 의한 재해석
2장 대일항쟁기의 천부경 해석
권덕규의 단군천부경해 (1921년)
대종교의 ‘천서’(1922년)
이용태의 천부경 현토 (1930년)
김영의의 ‘천부경주해’(1937년)
독립운동가들의 천부경 찬
3장 현대의 천부경 해석
불승 탄허의 천부경 현토 (1982년)
원불교 김대거의 천부경 해석 (1994년)
서예가 손경식의 천부경 해석 (1996년)
주역학자 김석진의 천부경 해석 (2009년)
4부 천부경과 원방각
1장 원방각의 철학적 기초
가위바위보는 숫자로 2-1-3
원-방-각의 천부 3인
한글 속의 원방각
2장 원방각 속 원형의식과 민족의식
원방각은 인류의 원형의식
유적에 나타난 원방각과 천원지방
민족과 나라를 지킨 원방각
3장 민속 문화에 등장하는 원방각
원을 상징하는 강강술래
네모를 상징하는 땅따먹기
원방각이 모두 담긴 오징어 놀이
고수레와 홍익인간
단군檀君과 천지인
5부 3·6·9와 우주의 질서
1장 테슬라 코드-우주의 열쇠
테슬라 코드 369
숫자와 상징
피타고라스의 수
테슬라가 발견한 자연계의 패턴
2장 천부경과 369
369로 해석하는 천부경
음양 속 369와 천부경
마르코 로댕의 원초적 통일점
원초점 통일점으로 ‘369 천부경도형’ 그리기
글을 마치며
인명색인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 책은 2021년 9월에 방영된 넷플릭스 오리지널 ‘오징어게임’에 등장하는 원방각에 자극을 받아 집필하게 되었다. 세계인들이 원방각의 이미지를 알게 된 만큼 우리가 이에 대해 설명해 줄 수 있는 자료를 준비하는 것은 너무도 당연하다.
그리고 여기에다가 서양에서 나온, 좀 낯선 ‘테슬라 369’를 보탰다. 테슬라 숫자 369를 ‘천부경도’ 우수右數인 369와 연결해 설명함으로써 세계인들이 천부경을 공감할 수 있는 폭을 넓히도록 애써 보았다.
- (작가의 말)
천부경은 일시무시일一始無始一로 시작하여 일종무종일一終無終一로 끝나는 81자의 짧은 한문 경전으로, 우주 창조의 이치를 담고 있는 우리 경전이다. 천부경 속에는 원방각(◯□△)이 있고, 369가 있고, 천지인天地人이 있다. 또 천부경 속에는 하나의 묘妙함이 있고, 변하면서도 변하지 않는 근본根本이 있고, 시작도 끝도 없는 무시무종無始無終의 생명활동生命活動이 있다. 그리고 그 모든 것을 관통하는 인간의 존재가 있다.
천부경 81자에는 1에서 10까지의 수가 31번 반복해 나온다. 그래서 천부경을 수경數經이라고도 한다. 이번에 편저자가 공개한 ‘천부경도天符經圖’의 수리 배열은 천부경이 왜 수경인가를 분명히 밝혀주고 있다. ‘부도지’ 이래 수리 배열의 기본 원리는
1 4 7
2 5 8
3 6 9 이다.
‘부도지’가 세상에 공개된 것은 1980년대이고, 테슬라의 369가 알려지기 시작한 것도 1984년 뉴욕타임즈에 보도된 이후이다. ‘단탁’에 ‘천부경도’가 공개된 것은 이보다 이른 1921년이다.
천부경은 147, 285, 369로서 수의 무궁한 생성과 변화를 설명했다. 이를 원방각으로 나누면 하늘의 원은 3이고, 땅의 방은 6이며, 사람의 각은 9가 된다. 프리에너지free energy를 꿈꾼 테슬라는 369에 큰 철학적인 의미를 부여했다. 모든 창조는 3으로 시작되고, 6을 통해 균형을 이루며, 9로 완성된다는 이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