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99489004
· 쪽수 : 456쪽
· 출판일 : 2025-09-27
책 소개
목차
추천사 《최용대의 실용 인문학》 출간에 즈음하여 최종림 004
머리말 공존의 가치와 희생적 사랑 최용대 006
1부 인문학
시대와 인간을 묻다
함께하는 인간, 공생하는 사회 019 | 정의란 무엇인가, 다시 묻다 021
흘러간 날, 다가올 날 033 | 통영의 바람이 키운 화가, 전혁림 036
갈대숲이 들려주는 말 042 | 경영학 고전 100권 읽기 045
실용의 시대, 대학은 무엇을 잃었나 047
자유로운 만남, 다양성이 만드는 힘 057 | 이견을 품는 대화의 힘 059
도고 헤이하치로는 이순신을 찬양한 적이 없다 061
《도시와 그 불확실한 벽》을 읽고 067 | 또 그 계절에 069
마리 퀴리 부인 072 | 법에 죄목 없어도 공자에게 극형 당했을 사람들 075
복종의 욕망과 배반의 욕망은 언제나 들러붙어 있다 078
봄, 혁명, 그리고 선거 081 | 부끄러운 속살에 대한 단상 084
사회생활을 위한 개인의 합리적 원천들 088
사회적인 윤리 책임, 개인적인 도덕 책임 104
삼강과 오륜은 다르다 107 | 신사임당과 이이 118
신하 노릇 바로 하기 127 | 실패의 가치 129 | ‘아’ 다르고 ‘어’ 다른 법 131
안중근 순국 115년… 더 돋보이는 동양평화론 133 | 양심이 곧 길이다 136
어떤 사람이 될까 140 | 왕을 비웃은 음악가 142
우리가 잃어버린 ‘기본’에 대하여 144
윤리와 이익은 어떻게 함께 가는가 147
인간과 인공지능 150 | 그치지 않는 비는 없다 153
봄과 정치, 다른 두 풍경 155
장미와 장밋빛 157 | 젊은 세종들을 기다리는 봄밤 159
정의란 무엇인가, 다시 묻다 161
태극기에 담긴 성리학의 우주 생성 이론 163
펄 벅, 한국 독립운동의 친구 167 | 학교에 가는 이유 170
한국 지도부, 이 순간의 의미를 알고 있는가 173
인정할 건 인정하는 태도 176 | 혁신은 혼란 속에 온다 179
힘이 되는 한 줄 182 | 〈인문학〉 육필원고 184
2부 사회
오늘을 묻는 인문학
人間과 社會, 어울려 사는 법 189
개인의 도덕과 사회의 도덕 사이의 갈등 207
마음으로 필사하는 사회계약 223
3·1운동 100주년, 역사가 비추는 오늘 226 | 새로운 시작을 응원하며 229
도전과 시련의 새해, 당당하게 맞서 이겨내자 232
뮌헨에서 시작된 기적의 드라마, 김재관 이야기 237
사회 발전을 여는 갈등의 역설 241 | 새로운 세상을 꿈꾸며 246
승자독식의 덫, 공정의 길을 묻다 256 | 예측의 한계와 세상의 가능성 258
과거를 넘어, 일본에 더는 돈을 묻지 말자 260
수능 이후에도 삶은 계속된다 263
잊혀가는 독도와 ‘평화선’ 드라마, ‘독도의 날’ 268
저출산과 고령화로 소멸하는 나라 272 | 죽은 자를 기리지 못하는 체제 275
이미자, 노래로 위대한 세대를 품다 278
지폐 속 위인, 삶 속의 롤모델 285 | 판단력과 분별력이 중요하다 288
〈사회〉 육필원고 291
3부 정치
시대의 도전, 공동선의 길
제도 개혁, 누구를 위한 것인가 295 | 건국절 논란, 국민통합을 해친다 300
권력은 설득에서 시작된다 304 | 문화가 꽃피는 한 해를 바라며 307
박정희 없는 보수 311 | 부질없는 이념 논쟁 314
어떻게 세운 나라인데 광복절에 이 소동을 벌이는가 317
운동권 특권을 넘어, 민주주의의 본뜻으로 320
공동선을 향한 지혜: 원칙을 지키되 실용을 살리자 323
우연처럼 온 통일, 준비된 노력의 결실 325 | 갈등을 넘어 화합으로 327
6·25와 우크라 전쟁, 닮은 듯 다른 교훈 330 | 〈정치〉 육필원고 332
4부 문학
내면의 빛을 찾아서
동행하는 진리, 톨스토이 337 | 원초를 향해 나아가는 문학 357
섬광과 울림의 이육사 시 평론 359 | 글쓰기는 철학이다 367
문학과 역사 370 | 時代의 문학 373 | 詩는 참된 삶의 의지 376
시인의 사명 378 | 듣기, 읽기, 쓰기 380 | 좋은 詩를 만나는 감동 382
외국 문학을 공부하는 이유 385 | 작가는 무엇으로 사는가 388
“왜 쓰는가”의 답: 오웰의 정치적 산문 미학 391
야심성유휘(夜深星逾輝) 396 | 씨알과 자유: 함석헌, 권력 밖의 사상 398
카추사에서 나타샤까지 410
무라카미 하루키, 도시와 벽 사이에서 찾은 조용함 419
기자와 소설가 422 | 회한과 그리움 424
흰 눈과 시베리아, 그리고 카추샤 426 | 우리말 한글, 노벨문학상 430
5부 종교
종교와 철학, 빛과 그림자
예수의 교회 437
신은 천국에만 있지 않다: 자연에 깃든 영성과 생존의 길 443
중세의 사변철학, 성리학적 사유의 모순과 한계 449 | 〈종교〉 육필원고 454
편집후기 인류의 생태계와 문명의 지형도 위에 인간다움의 좌표를 새기다 유리나 45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