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세트] 증오의 시대 + 생존의 시대 - 전2권](/img_thumb2/K142531806.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근세사(원~ 아편전쟁)
· ISBN : K142531806
· 쪽수 : 1424쪽
· 출판일 : 2017-07-28
책 소개
목차
^^제1권 <증오의 시대>
제1장 왕조 교체기 사대부의 경험과 반성^^
1절 지독한 미움
폭정과 대항 | 학대와 자학 | 어짊仁과 포악함暴 | 에필로그
2절 삶과 죽음
죽음: 사직을 위해, 국경에서, 군주의 치욕 때문에, 성이 무너졌을 때 | 죽음의 각오들 | 절개를 지켜 죽지 못함을 한탄하다 | 죽음의 도리
부록 진확의 절의론
3절 혼자의 뜻을 따름
‘선비 기질’에 대한 논의 | ‘의병義軍’에 대한 논의 | ‘백성의 칭송’과 ‘세속의 유행’
^^제2장 왕조 교체기의 문화 현상^^
1절 남과 북
남북과 조정의 정치 | 북경 천도에 대한 비판: 동남-서북 | 서북-동남·서북 | 동남: 오·월 | 오·월 이외의 남방 | 학자와 남북의 관계
2절 세족世族
난세의 세족 | 세족: 종법의 재건 | 세족과 문화 전승 | 벼슬아치와 민간 정치
3절 품류品流
사회적 지위: 계급론 및 등급론 | 사회적 지위: 도덕론, 군자·소인론 | 사회적 지위: 인성론, 사회적 지위와 정치적·문화적 품위
^^제3장 화제가 된 ‘건문제 사건’^^
1절 사건에서 빌린 주장
화제의 해금 | 영락제에 대한 비평 | 방효유에 대한 논의
2절 ‘삭제’ 이후의 역사
제4장 ‘언론’에 관한 언론
1절 언로
언관의 ‘강직한 품격’ | 제도에 대한 평가
2절 청의
3절 ‘일괄론’과 ‘한 선생의 말씀’
부록 사대부들의 경험에 나타난 명·청 교체기 언론 환경
주
참고문헌
^^제2권 <생존의 시대>
들어가며
^^제5장 유민론^^
1절 ‘남겨짐遺’에 대하여
분석과 경계 짓기 | 의미론
2절 유민의 역사에 대한 서술
부록: 허형許衡과 유인劉因에 대한 논의
^^제6장 유민의 생존 방식^^
1절 불교로 도피하기
불교로 도피하기: 삶과 죽음 | 선비들의 불교로 도피하기와 유가-불가의 논쟁 | “충효로 예불하다”: 난세의 불교계
2절 의관衣冠
3절 교유交接
‘청나라 세상’에 대한 거부 | ‘끊음?’과 끊지 못함
4절 생계
전환: 인생의 개조 | 직업 선택의 다양성 | 생계-수절守節-행지行志
5절 장례제도葬制
‘제도’로서의 장례에 대한 사고 | 특수한 표현 방식으로서의 장례
^^제7장 시간 속의 유민 현상^^
1절 절조 상실에 대한 두려움
유민의 고민: 시간에 대한 염려 | ‘절조 상실’의 악몽 | 죽음: 유민은 세습되지 않는다
2절 고국과 새 왕조 사이에서
^^제8장 유민의 학술^^
1절 총론
학술: 유민의 상황 | 유민의 학술: 비판성 | 유민 학술의 계승과 계발
2절 경학
3절 사학
4절 문론
에필로그 1
에필로그 2
부록1 내가 읽은 부산傅山
문인 부산 | 명사 부산 | 유민 부산
부록2 『어산잉고』에 나타난 명·청 교체기 사대부들의 윤리적 곤경
저자 후기
역자 후기
주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