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효과의 기초 (이론과 연구)
제닝스 브라이언트, 브루스 핀클리어 | 한울
57,600원 | 20250320 | 9788946075702
미디어 효과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를
종합적으로 다룬 입문서
이론의 새로운 경향과 연구 사례를 보강한 제3판
20년이 넘는 동안, 『미디어 효과의 기초(Fundamentals of Media Effects, 3rd ed., 2023)』의 주된 목표는 학부생들이 이 매우 중요한 주제를 이해하고, 소화하며, 그 가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미디어 효과에 대한 방대한 양의 문헌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이 책은 중요한 매스 커뮤니케이션 이론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쌓고 주요 연구 분야를 살펴봄으로써 학생들이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 능력을 개발하고 더 나은 미디어 제작자, 소비자, 시민이 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 책의 기본 목표는 미디어 효과에 대한 방대한 양의 문헌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중요한 토픽을 이해하고 다룰 수 있으며 평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기존 고전적인 연구를 소개하는 데에도 소홀하지 않고, 게임이나 모바일, SNS로 확산된 미디어 현실과 그 연구를 최신 연구까지 모두 반영하면서, 체계적인 구성과 내용의 핵심을 소개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미디어 효과에 대한 방대한 분량의 문헌을 체계화한 개론서
매스 커뮤니케이션 이론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쌓고 주요 연구 분야를 살펴보다
미디어 효과를 분석하는 학술 저서들이 전통적으로 매스 커뮤니케이션학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해왔는데도, 미디어 효과에 관해 체계적으로 정리한 기본 교재는 꽤 부족하다. 최근의 균형 잡힌 이론적 업적을 포함한 책은 더욱 그렇다. 이러한 미디어 효과 교재의 부족은 특히 현대 정보시대에서 문제가 된다. 더욱이 요즈음 우리는 대중문화 작품의 미디어 효과에 관한 부정확한 과장에 일상적으로 노출되어 있어서, 미디어 효과에 대한 기록을 바로잡는 것이 점차 대학 교양 교육의 중요한 부분으로 되어버렸다. 미디어 효과에 대한 체계적인 개론서로서, 이 책이 소개하는 미디어 효과의 상세한 이론들을 익히면서 실생활에서도 미디어의 사회적 효과를 이해·평가하고 올바르게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고전적인 연구와 최신 경향의 유용한 정리
미디어 효과 이론의 새로운 추이를 반영한 최신 연구로 보강한 제3판
이 책은 세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1부에서는 역사적 관점에서 미디어 효과의 중요성을 살펴본다. 매스 커뮤니케이션 시대가 도래한 이후에 나타난 미디어 효과(및 미디어 효과에 대한 사회적 관심)에 대한 역사적 증거를 제공하며 필자들 나름대로 정리한 미디어 효과 연구의 역사를 제시한다. 2부에서는 각기 다른 유형의 미디어 효과 연구를 소개하면서 몇몇 기초 개념과 이론을 다룬다. 사회 인지 이론(social cognitive theory), 기폭(priming), 의제 설정(agenda setting), 프레이밍(framing), 배양(cultivation), 이용과 충족(uses and gratifications), 그리고 여러 설득 이론이 각 분야의 관련 연구와 함께 다루어진다. 3부에서는 미디어 폭력, 성적(性的)인 내용, 불안감이나 공포감을 주는 미디어 내용, 정치 커뮤니케이션, 건강 관련 미디어 메시지, 미디어 고정관념과 다양성 재현, 어린이 교육 미디어, 비디오 게임, 인터넷 및 소셜 미디어, 그리고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효과를 포함한 미디어 효과 연구의 주요 분야를 다룬다.
이 책의 각 장에는 학생들이 자료를 완전히 이해하는 데 필요한 핵심 용어가 굵은 글씨체로 표시되어 있고, 해당 장과 관련된 주요 연구에 대해 자세히 살펴볼 수 있는 ‘연구 스포트라이트’가 포함되어 있다. 연구 논문과 유사하게 구성된 ‘연구 스포트라이트’를 통해 학생들은 가설, 연구 문제, 연구 방법, 표본 및 연구 결과를 더 자세히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