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소비사회"(으)로 137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91138814782

소비사회 (절망에서 행복하기)

이종희  | 좋은땅
11,700원  | 20221208  | 9791138814782
“당신의 권태와 우울증은 당신 탓이 아니다.” 책의 첫 페이지는 이와 같은 문구로 시작된다. 우리들은 소비사회에서 이전 사회보다 물질적으로 풍족한 삶을 누리고 있다. 하지만 우리들은 우울증, 권태, 만성피로, 공황장애, 불면증, 자살충동에 시달리고 있다. 행복한 삶과는 너무나 먼 삶을 살고 있다. 이 현상은 분명 개인의 책임이 아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소비사회의 속성에서 비롯되었다. 책은 왜 그렇게 되었을까를 묻는다. 소비사회에서 왜 나는 만족하지 못하고 항상 불만족한지를 인문학과 경제학적으로 성찰한다. 물질만능주의와 무한경쟁으로 소비자본주의는 번창한다. 하지만 우리는 태양이라는 욕망을 향해 높이 날수록, 행복이라는 밀랍 날개가 녹아 버려, 결국 바다에 떨어져 죽는 이카로스와 닮게 된다. 벗어날 방법은 있다. 파국의 출구가 결국 새로운 시대의 입구가 된다. 절망적 소비사회에서 개인은 소비의 개인가치를 추구하는 소비자 혁명을 치루고 있다. 부과 성공이 아닌 내 개인의 행복을 소비의 기준으로 만들고 있다. 인류 역사가 그러하듯 결국 새로운 세상은 열린다. 책은 이 모든 과정을 성찰하고 증명한다.
9791130322964

미래소비사회와 상품

김시월  | 박영사
17,100원  | 20250425  | 9791130322964
『미래소비사회와 상품』에서는 시장에서 소비자의 역할 증가를 이해하고, 소비자가 제품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생산자가 타당성을 평가하는 신상품 개발의 프로세스를 익힌다. 그리고 4차산업혁명의 일반화를 대비한 소비문화의 변화에 대응하는 상품과 서비스 개발을 구체적으로 실행해 보며, 프로슈머로서의 소비자와 시장환경의 변화를 이해하고, 다양한 분야에서의 제품과 서비스 개발을 제안하고, 생산에 반영하는 기법들을 익히고자 한다.
9791191840407

현대 일본의 소비 사회 (일본인들은 어떻게 소비 사회를 살고 있는가)

사다카네 히데유키  | yeondoo
25,200원  | 20230925  | 9791191840407
지금 여기, 왜 소비 사회를 말해야 할까? 『현대 일본의 소비 사회』는 1980년대 이후 일본 사회를 ‘소비’라는 키워드로 조망합니다. 왜 오늘날 일본의 소비일까요? 마르크스주의의 영향력이 여전히 강한 동아시아의 인문학에서 ‘소비’를 논한다는 것 자체는 큰 도전입니다. 소비가 ‘자본주의’라는 시스템을 유지하게 하는 이데올로기 장치로서 기능한다는 인식이 여전히 허물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일본에서도 마찬가지인 것은 이 책의 원제가 『소비 사회를 재고한다』로 되어 있음을 봐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실은 어떤가요? 자본주의를 비판하는 책조차도 실은 소비 사회 속에서 ‘상품’으로 유통되고 있지 않은가요? 나아가 여전히 사회주의 국가 시스템을 유지하는 중국인들도 활발한 소비 활동을 전개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제는 소비를 남의 일처럼 생각하는 것은 불가능하지 않을까요? 정말로 소비가 무엇이며 그것이 오늘날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제대로 된 성찰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자본주의의 대안을 마련하는 것도 불가능하지 않을까요? 이러한 의문이 문학을 기반으로 한 문화연구자인 남상욱 역자가, 굳이 분류하자면 사회학으로 분류되는 이 책을 번역하게 된 가장 중요한 동기입니다. 이 책은 소비 사회가 서구적 자본주의 시스템에서 생겨난 것이 아니라 화폐의 출현과 함께 도래한 사회의 양식임을 보여줌으로써 ‘소비 사회=자본주의’로 퉁 치며 ‘소비’에 대한 궁금증을 차단하는 사고에 동의하지 않길 요청합니다. 나아가 무엇인가를 살 수 있도록 만드는 화폐가 인간을 억압하는 것만이 아니라 자유롭게도 만든다는 점에도 주목하도록 요청합니다.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은 소비 사회를 단순히 찬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소비 사회의 문제점을 정면에서 다룬다는 점입니다. 저자 사다카네는 소비가 격차 확대와 지구 환경 파괴의 원인이 됨을 부정하지 않을 뿐 아니라 이를 무겁게 받아들이고 그 대안으로서 기본 소득을 제안합니다. 기본 소득에 대해서는 한국과 일본에서 모두 논란이 있었고, 현재까지는 부정적인 인식이 우세하지만, 인구 감소와 AI 발달에 따른 일자리 감소 등을 감안할 때 멀지 않은 장래에 가장 큰 정치적 이슈로 부상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그때 ‘기본 소득은 무엇을 위해 있어야 하는가’라는, 그 이념에 대해 묻는 이 책은 적지 않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9791185904047

소비 사회 탈출기 (낭비와 과잉의 황금기가 끝나면 무엇으로 살아야 할까?)

그레타 타우베르트  | 아비요
12,600원  | 20141208  | 9791185904047
어느 종말론자의 생존 전략을 찾기 위한 1년간의 소비파업! 재정 위기, 자원 고갈, 자연 재해 등 점점 심각해져 가는 세상의 종말의 징조들과 대량 생산과 과잉소비로 점철된 오늘날의 경제 시스템은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징조들의 두려움 속에서 독일의 저널리스트 그레타 타우베르트는 최악의 시기에 대비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살아남는데 도움이 될 만한 아이디어를 모아 1년간의 생존 연습을 통해 실험해보기로 한다. 『소비 사회 탈출기』는 이러한 저자의 생존 전략이 담긴 책으로 소비 없이 살아가는 연습을 통해 놀라울 정도로 시스템과 물질에 의존하고 있는 자신에 대한 반성과 다음 시대를 준비를 위한 예행연습이라 할 수 있다. 저자는 국가도 경제학자도 가르쳐주지 않는 생존 전략을 직접 소비파업에 돌입해 우리를 옭아메고 있던 시스템으로부터 자립해 찾고자 한다. 먼저 저자가 한 일은 다이어트이다. 최소한의 열량으로 살아남을 수 있는 인스턴트가 아닌 자급자족 상태에 돌입해 스스로 채소를 재배하고 사냥법도 배운다 더 나아가 가지고 있던 옷을 고쳐 입거나 물물교환 모임을 통해 필요한 물건을 조달한다. 또한 프레퍼족, DIY족, 도시 유목민들이 저자의 스승이 되어 삶의 지혜와 연대와 배움의 가치를 배우게 되었음을 보여준다.
9788959121496

소비사회와 소비문화

이승신, 김시월, 류미현, 노영래  | 신정
0원  | 20100310  | 9788959121496
소비문화에 근간을 두지 않는 소비생활은 소비자의 소비가치관 발전에 기여하지 못한다는 관점에서 소비문화의 주체자로서의 소비자, 미래소비사회와 소비문화를 전환시키는 소비자로서 자각하는 계기로 삼는 기초적 저서로 제작되었다. 소비자는 소비문화에 관심을 갖고 소비문화의 창출자로서, 스스로 올바른 소비문화 창출을 위하여 과거, 현재, 미래의 소비생활을 살펴보면서 소비자로서 자신의 삶에 대해 증진의 기회가 될 것이며 변하는 소비사회와 소비문화에 도움이 될 것이다.
9791195282807

탈성장사회 (소비사회로부터의 탈출)

세르주 라투슈  | 오래된생각
0원  | 20140525  | 9791195282807
《탈성장사회》는 프랑스의 경제학자이자 철학자인 지은이가 20세기 후반부터 전개된 성장사회비판의 다양한 사상조류들을 탈성장의 관점에서 통합하고 글로벌 경제의 구조적 모순을 극복하는 대안모델과 사상을 제시하는 책이다. 그 대안은 ‘연대 사회의 검소한 풍요’로 정의되는 것으로 프랑스어판 원서의 제목이기도 한 ‘소비사회로부터의 탈출’을 제안하는 것이다.
9788932814728

소비사회를 사는 그리스도인

존 캐버너  | IVP
17,100원  | 20170116  | 9788932814728
[소비사회를 사는 그리스도인]은 미국 사회가 자기 삶의 방식에 대한 확신과 자부심에 도취되어 있을 때, 미국 사회를 향해 캐버너가 던진 도전의 메시지였다. 미국 사회가 소비주의, 곧 물신숭배주의라는 우상숭배에 빠져 있다는 무서운 경고이기도 했다. 예수회 사제이자 미국 세인트루이스 대학의 교수인 캐버너는 미국 사회가 인간의 몸과 영혼까지 상품으로 간주하여 사고파는 최악의 소비사회가 되었다고 탄식한다. 그러면서 미국 사회에서 그리스도를 따르는 길은 거룩한 저항, 자발적 소외와 고립, 하나님의 사랑과 공의 실천에 바탕을 둔 문화 변혁적 삶과 문화 창조에 있다고 주장한다. 자비와 정의 대신 욕망 충족과 자기중심적 권력 사용에 익숙해진 미국 사회에 대한 캐버너의 진단과 분석은 이 시대 그리스도인들을 일깨우는 강력한 예언자적 경고이자 메시지가 될 것이다.
9788932812410

소비사회를 사는 그리스도인

존 F. 캐버너  | IVP
0원  | 20110520  | 9788932812410
소비사회로 인한 인간소외 현상을 통찰하다! 『소비사회를 사는 그리스도인』은 미국 사회가 소비주의, 곧 물신 숭배주의라는 우상숭배에 빠져 있다고 경고하며, 욕망 충족과 자기중심적인 힘 사용에 익숙해져가는 미국사회에 대한 영적 진단과 징후 분석에 있어 예리하게 통찰하고 있다. 1부에서는 ‘상품 형식’이라는 개념을 통해 자신과 다른 사람들을 사물, 즉 상품으로 인식하는 미국인들의 삶을 강하게 비판한다. 2부에서는 물신숭배로 전락해 가는 미국사회에서 그리스도인으로 살아가기 위한 성서적, 신학적 토대를 제시하고 구체적 실천방안을 제공한다. 저자는 그리스도의 인격 안에 계시된 인식과 가치, 삶에 관한 ‘인격 형식’을 소개하고 있다. 이 책은 소비 사회에 만연한 인간소외 현상에 대한 통찰을 통해 ‘소비’의 실체를 파악하고 대안을 제시한다.
9788956689722

일본 전후의 붕괴 (서브컬쳐 소비사회 그리고 세대)

권혁태  | 제이앤씨
8,100원  | 20130822  | 9788956689722
일본의 전후 청년층의 ‘보수화’ 혹은 ‘초국가주의화’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이 새로운 세대들을 에워싸고 있었던 문화 소비사회, 서브컬처, 포스트모던, 탈정치화, 탈국가화 등이 이어졌던 1980~90년대의 문화적 흐름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 책에서는 주로 당시의 언설을 중심으로 내셔널리즘 문제를 진단해 2000년대 급격한 우경화의 근(近)기원을, 이른바 ‘전후’의 붕괴라는 시점에서 찾아본다.
9788985714860

정보소비의 이해 (정보생산을 넘어 정보소비 사회로)

우정  | 자료원
22,050원  | 20090425  | 9788985714860
수많은 정보가 넘쳐나는 이 시대를 흔히 '정보화 사회'라고 부른다. 어떤 정보를 가지고 있느냐가 중요한 경쟁력을 작용하는 시대. 저자는 이러한 시대에 정보를 바르게 소비하고 공유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면서 '정보소비'라는 용어로 자신의 주장을 풀어간다. 저자는 정보, 첩보, 지식, 콘텐츠 등의 이름으로 존재하는 자료들이 많지만 우리 주변 도처에 흘러 다니는 정보를 내 것으로 끌어당김으로써 그것이 진정한 내 것이 되고 잘 소비할 때에 이익을 지킬 수 있다고 말한다.
9788932317762

지그문트 바우만, 소비사회와 교육을 말하다 (소비사회가 잠식하는 인간적인 삶에 대하여)

지그문트 바우만  | 현암사
11,700원  | 20160202  | 9788932317762
소비사회에 잠식된 인간 삶의 미래와 향방. 불평등이 가속화되면서 ‘성공’의 보증수표로 여겨졌던 명문대 졸업장도 더 이상 미래를 보장받지 못하는 세대가 되었고, 소비사회에서 개인은 어떤 정체성보다 ‘소비자’라는 정체성으로 규정되어 ‘돈 쓰는 사람’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지그문트 바우만, 소비사회와 교육을 말하다』는 지그문트 바우만이 소비사회와 교육에 초점을 맞춘 책으로 ‘한 세대 전체가 낙오자의 대열에 휩쓸리는’ 세대에 주목하며 우리가 다시 연대하며 인간적 삶을 되찾을 수 있을지를 진지하게 성찰하게 한다. 사회학자 지젝, 리처드 세넷, 아도르노, 헨리 지루, 소설가 주제 사라마구, 교육학자 그레고리 베이트슨, 마사 누스바움 등 여러 분야의 저작을 폭넓게 인용하며 주제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한다. 이들의 역저와 함께 지금 여기의 문제와의 접점을 유지하게 하는 일간지, 주간지, 유력 정치인들의 발언 등의 텍스트를 지그문트 바우만의 시각으로 만날 수 있다는 것도 독특한 독서 경험이 될 것이다.
9788930086653

스페인 문학의 사회사 5: 독재정치 (독재정치 : 국가적 노동조합주의에서 소비사회로)

카를로스 블랑코 아기나가, 훌리오 로드리게스 푸에르톨라스, 이리스 사발라  | 나남
20,000원  | 20130525  | 9788930086653
맑스주의에 입각해 수백 년의 역사를 기술하는 것이 자칫 어떤 독자에게는 대단히 불편하고 또 불쾌감을 줄 수도 있다. 또한 문학에서 사회적 요인이 없을 수는 없으나 이를 최소화하면서 작품들을 해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이들도 없지 않다. 이 책이 어느 정도로 사회성을 강조하는지에 대해서는 뭐라고 표현하기가 어렵다. 다만 맑스주의가 오해받고 있듯, 사회적 요인이 예술을 결정짓는 요소가 아니라는 것에 대한 믿음이 이 책의 저자들에게 있다는 것, 또한 “모든 예술은 사회적으로 조건지어져 있지만, 예술의 모든 측면이 사회적으로 정의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라는 생각이 이들 사이에 공유되는 것은 이 작품이 지닌 적지 않은 미덕이다. 그리고 “의식이 생활을 규정하는 게 아니라, 생활이 의식을 규정한다”거나 “상부구조와 토대의 관계가 기계적이지 않다”는 등 1980년대 우리나라 대학가를 휩쓸었던 맑스주의의 매혹적인 명제들이 논리적으로 추억된다.
9788984314924

세계가 우리집이다 (소비사회에서 가출한 집시 부부의 4년 캠핑 생활기)

지와 다리오  | 휴(休)
13,500원  | 20110826  | 9788984314924
지구에 무임승차한 우주의 히치하이커, 지와 다리오가 찾아낸 길 위의 우리 집, 우리 가족! 소비사회에서 가출한 집시 부부인 한국 여자 지와 스페인 남자 다리오의 캠핑 생활기『세계가 우리집이다』. 인도 여행 중에 안다만을 건너는 배 위에서 마주친 후 잃어버린 배꼽 한쪽을 찾은 것처럼 서로가 운명임을 알아보고 동반자가 된 한국 여자 지와 스페인 남자 다리오의 세계 여행기이다. 집이나 돈 없이 맑은 영혼만 가지고 세계를 지붕 삼아 동굴이나 폐가 등에서 캠핑 생활을 하며 진짜 우리 집을 찾기 위해 함께 4년째 세계를 도는 가출생활 중에 겪은 사건사고가 생생한 사진과 함께 담겨 있다. 각자가 원래 갖고 있는 아름다움의 가치를 무시하고 물질적인 삶의 공허만을 부각시키는 곳에서 낙오자로 사는 것을 당당히 거부하고 배낭 하나가 소유의 전부인 삶을 찾아 떠난 이들의 행보와 재미, 세상을 향한 희망, 자잘하게 솟구치는 창의성, 한없이 경이로운 자연, 반가운 인연들을 만나볼 수 있다.
9788990706324

즐거운 불편 (소비사회를 넘어서기 위한 한 인간의 자발적 실천기록)

후쿠오카 켄세이  | 달팽이출판
11,700원  | 20120616  | 9788990706324
경쟁과 속도의 삶에서 벗어나 느림의 삶을 살자! 소비사회를 넘어서기 위한 한 인간의 자발적 실천기록『즐거운 불편』. 이 책은 일본 기자인 저자 후쿠오카 켄세이가 자신의 체험기를 바탕으로 소비사회를 넘어서기 위한 자발적 실천 기록을 담은 책이다. 생활 속에서 편리함을 서서히 배제해가면서 자신과 주변의 반응을 살피는 체험 르포에 이어 여러 인사들과 현대 소비사회를 주제로 하여 나눈 이야기들로 구성하였다. 지금 우리가 존재하고 있는 공간을 둘러보면서 인류의 미래를 위해 불필요한 낭비와 필요한 불편이 무엇인지 고민해 볼 계기를 마련해주고, 저자가 직접 실천한 ‘즐거운 불편;을 통해 모든 현대인의 그늘을 걷어내는 감동과 희망의 메시지를 전한다.
9788937488795

상품의 시대 (출세 교양 건강 섹스 애국 다섯 가지 키워드로 본 한국 소비 사회의 기원)

권창규  | 민음사
19,260원  | 20140303  | 9788937488795
다섯 가지 키워드로 한국 사회의 소비 탄생 과정을 추적하다! 한국자본주의의 시작과 과정을 탐색하는『상품의 시대』. 이 책은 자본주의적 인간이 태동한 20세기 초 한국 소비 사회의 시작을 되짚고 있다. 저자는 출세, 교양, 건강, 섹스, 애국에 이르기까지 사람들의 욕망을 다섯 가지 키워드로 선정하고 대한제국과 식민지 시기에 나온 광고와 문학, 신문, 잡지, 기사를 통해 상품 소비가 삶의 중심으로 부상한 근대적 일상을 살펴 오늘날 소비 사회의 주소를 묻고 있다. 이 책은 출세, 교양, 건강, 섹스, 애국의 키워드가 담긴 다섯 개의 장으로 나누어 상품과 사람의 이야기를 전한다. 소비가 시작하게 된 100여년전의 시대 상황을 시작으로 자본주의가 도입되고 소비사회로 들어서게 되면서 광고는 끊임없이 욕망의 다섯 키워드를 통해 계속 사람들의 상승 욕구를 자극 하고 있음을 당시의 촌스럽지만 적나라한 광고와 신문, 잡지로 설명하고 있다. 이렇듯 인간이 욕구는 상품 소비를 통해 실현 가능하게 되었고 상품을 중심으로 새로운 정체성을 형성해 가기 시작해 오늘날 소비 인간이 탄생하기까지 그 과정을 보여준다.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