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 네이버책
  • 알라딘
  • 교보문고
"요로법"(으)로 2개의 도서가 검색 되었습니다.
9788980974528

의사가 체험으로 말하는 요료법 (요로법을 체험한 의사들의 생생한 증언)

김정희  | 산수야
13,500원  | 20190420  | 9788980974528
요료법을 체험한 의사들의 생생한 증언 의사들이 직접 체험한 오줌의 비밀, 요료법 이야기 자신의 오줌으로 병을 치유하는 ‘요료법’을 체험한 의사들의 생생한 증언이 담긴 『의사가 체험으로 말하는 요료법』은 그간 매스컴을 통해 알려진 요료법에 관하여 일반인들의 궁금증을 해소하기 위해 개정판으로 재출간되었다. 전 세계적으로 기승을 부리는 슈퍼박테리아와 각종 바이러스 질병에 대응할 수 있는 방법으로 우리 자신의 면역력을 들 수 있다. 면역력을 실시간으로 우리 몸에서 생성하고 있는 것이 바로, 생명수인 오줌이다. 매년 어김없이 전 세계를 휩쓰는 인플루엔자, 유행성 질병, 각종 바이러스가 범람하는 요즘, 바이러스를 잡는 데 오줌보다 더 좋은 약은 없다고 체험자인 의사들은 말한다. 이제는 의학적, 과학적으로 검증된 요료법으로 건강한 삶을 추구하는 것만 남았다. 감기에서 암까지 돈과 약이 필요 없는 완전한 치료, 신속한 치유, 고통 없이 치유하는 특징을 가진 것이 바로 요료법이다. 나아가 요료법은 의사의 진단이 필요 없고, 무엇보다 돈이 전혀 들지 않는 건강요법이다.
9791191136104

요로 선생님 병원에 가다 (‘나이 듦’과 ‘인생’을 대하는 법)

요로 다케시, 나카가와 케이이치  | 청홍
13,500원  | 20220118  | 9791191136104
의사, 해부학자의 눈으로 본 현대 ‘의료시스템’의 구조 노교수의 ‘인생’과 ‘죽음’ 마주하기 남게 될 가족이 할 수 있는 준비 ‘몸의 소리’에 귀 기울이다 ‘현대 의료를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을 몇 번인가 받으면서, 그 근본을 짚어보고 싶다는 마음이 한동안 있었으나 어쩐지 귀찮아졌다. 바탕에는 통계에 관한 관점이 깔려있다. 사회 전반에서도 그렇지만 현대의학에서는 통계가 우선된다. 통계는 숫자이며 숫자는 추상적이다. 그렇다면 추상적이지 않은 것은 무엇일까. 감각에 직접 주어지는 것, 《유언》에서 그것을 감각 부여라고 표현했다. 당시엔 그 정도에서 이야기를 끝맺었는데, 그 후 이런저런 생각을 하다 보니 감각 부여와 의식의 관계를 더 깊이 들여다볼 필요가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것이 통계와 무슨 관련이 있는지 모리 전 수상의 실언문제(失言問題)를 예로 들어 살펴보자. “여성위원이 많은 회의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라는 발언이다. 여기에는 오랜 경험에 근거하여 자기 나름의 ‘통계적’ 근거가 있겠으나 아무래도 수치화되지 않은 근거인 듯하다. ‘근거중심의학(Evidence-Based Medicine, EBM)’이라는 말이 보여주듯 근거를 강하게 요구하는 시대가 되었다. 그런데도 모리 전 수상의 발언이 무례하다는 의견만 많을 뿐 그 근거를 추궁하는 이야기는 어디서도 들리지 않는다. 모리 전 수상은 요다 다케시와 나이가 같다. 시대에 뒤떨어졌다는 의미에서 의료에 대한 저자의 생각도 모리 전 수상의 발언과 닮아있을지도 모른다. 통계에 관한 책을 모아서 기초부터 다시 공부하려고 마음먹었지만, 이 책에서 언급했듯이 심각한 동맥경화 때문에 심근경색이 일어났다. 이런 상태라면 당연히 뇌동맥 경화도 꽤 진행되었을 테지요. 망가지기 시작한 이 뇌로 통계의 기초 같이 복잡한 문제를 숙고해 본들 제대로 된 사고가 가능할 리 없다. 마음을 다잡고 의지를 불태우다가 뇌만 더 망가뜨릴지도 모른다. 도쿄대 의학부 학생시절, 뇌과학 강의에서 당시 시미즈 겐타로 교수가 구소련 의학에 대해 했던 이야기가 아직도 기억난다. 교수는 “소련 의사는 절반이 여성이다”라고 언급하고 “게다가 소련 의학은 수준이 낮다”라고 덧붙였다. 지금이라면 그 교수는 당장 해고당했겠지, 저자와 모리 전 수상이 교육받던 때는 그런 시대였다. 시미즈 교수의 발언도 ‘통계적’이다. 전자는 확실한 통계 그 자체고 후자는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무척 의문스러우나 이 또한 ‘통계적’인 생각이다. 통계 숫자가 있든 없든 사람은 ‘통계적’으로 생각하나 보다.
검색어 "요로법"와 유사한 도서추천 목록입니다.
1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