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돌프 불트만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일 루터교회 소속의 신약성서학자였다. 불트만은 1884년 8월 20일에 독일 북부 올덴부르크(Oldenburg)에서 독일 루터교회의 목사인 아르투르 불트만(Arthur Bultmann)의 첫 번째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1903년 올덴부르크 김나지움(Oldenburger Gymnasium)을 졸업한 후, 튀빙겐(Tubingen)대학교 신학부와 마르부르크(Marburg)대학교 신학부에서 공부했다. 그는 1907년 올덴부르크에서 신학시험에 통과했고, 1910년 마르부르크 대학에서 신학박사학위(Dr. theol.)를 취득했다. 그의 학위논문은 『바울의 설교양식과 견유학파와 스토아학파의 논증화법』(Der Stil der paulinischen Predigt und die Kinisch-Stoische Diatribe)이다. 이 논문은 1910년 학위논문 통과 후 즉시 출판되었으나 재판되지는 않았다. 그로부터 2년 뒤인 1912년 교수자격취득논문(Habilitation)이 통과되었는데 그 제목은 동방의 교부 『몹수에스티아의 테오도르의 주석학』(Die Exegese des Theodor von Mopsuestia)이었다. 불트만은 1912년 마르부르크대학교 사(私)강사로 시작하여, 1916-20년 브레슬라우(Breslau)대학교 조교수를 거쳐 1920-21년에 유명한 종교사학파이며 신약성서학자인 빌헬름 부셋(Wilhelm Bousset, 1865-1920)의 후임자로 기센(Gießen)대학의 교수가 되었다. 그리고 1921년 종교사학파였던 자신의 스승 빌헬름 하이트뮐러(Wilhelm Heitmuller, 1869-1926)의 후임자로 모교 마르부르크대학교의 교수가 되었으며, 1951년 은퇴할 때까지 그곳에서 가르쳤다. 그는 1920년대 이래로 약 40-50년 동안 신약학계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그는 1976년 7월 30일 마르부르크에서 세상을 떠났다.
펼치기
이동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총신대학교신학대학원을 졸업하였고, 오스트리아 비인대학교(Univ. Wien) 고전어학부에서 고전어 과정(Latinum. Graecum)을 이수한 후, 동 대학교 신학부에서 저명한 개혁신학자 울리히 쾨르트너 교수(Prof. Dr. Ulrich H. J. Korthner)의 지도하에 신학 기초 과정을 공부하였다. 그 후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자유대학교(Vrije Univ. Amsterdam) 신학부에서 아트 판 에크문트 교수(Prof. Dr. Aad. van Egmond)의 지도하에 교리사(부전공)를 그리고 코르넬리스 판 더 코이(Cornelis van der Kooi) 교수의 지도하에 교의신학(전공)을 연구하였으며, 판 더 코이 교수를 지도교수로 신학석사학위를 취득했다. 그리고 독일 보훔대학교(Ruhr-Univ. Bochum) 신학부에 진학하여 트라우고트 예니헨 교수(Prof. Dr. Traugott Jahnichen)를 지도교수로 그리고 미하엘 바인리히 교수(Prof. Dr. Michael Weinrich)를 부지도교수로 삼위일체신학을 전공하여 ‘최우등’(magna cum laude)의 성적으로 신학박사학위(Dr. theol.)를 취득했다. 이 학위논문은 그 학문적 가치를 인정받아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나치 히틀러에 대항하여 독일 ‘고백교회’(Bekennende Kirche)를 설립하는 데 중대한 공헌을 했던 고백교회의 지도자 한스 에렌베르크 목사(Pfr. Dr. Hans Ehrenberg)를 기념하는 저명하고 명예로운 신학시리즈인 ‘한스 에렌베르크 기념신학총서’의 제20권으로 선정되어 『삼위일체 하나님과 그분의 공동체』(Der dreieinige Gott und seine Gesellschaft)라는 제목으로 독일에서 출판되었다. 오스트리아 비인 정동교회 담임 교역자로 12년간 사역하였으며, 현재 서울성경신학대학원대학교의 조직신학 교수이며 도서관장이다. 저서로는 『송영의 삼위일체론』(새물결플러스, 2017), 『신학 레시피』(새물결플러스, 2020), 『몸짓의 철학』(지노: 2020)이 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