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61291550
· 쪽수 : 440쪽
· 출판일 : 2020-05-25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제1강 신학과 신학 방법론의 중요성
제2강 신학의 방법과 원리
제3강 원형의 신학과 모방의 신학
제4강 신학이란 무엇인가?(1)
제5강 신학이란 무엇인가?(2)
제6강 신학이란 무엇인가?(3)
제7강 신학은 예배다!
제8강 한국교회의 신학 부재 현상
제9강 좋은 신학의 요건
제10강 신학의 기능
제11강 고대의 신경들
제12강 헤르만 바빙크를 통해서 보는 개혁신학의 특징
제13강 계시란 무엇인가?
제14강 특별 계시를 둘러싼 오늘날의 논쟁
제15강 특별 계시와 성경의 관계
제16강 성경 영감론
제17강 성경의 영감과 권위의 문제
제18강 역사적 예수 불가지론에 대항하여
제19강 신앙이란 무엇인가?
에필로그—송영
부록 1. 하나님을 앎이란?
부록 2. 종말론에 관하여
부록 3. 프리메이슨과 악마 숭배, 그것이 알고 싶다
저자소개
책속에서
네덜란드의 개혁신학자 코르넬리스 헤이코 미스코터(Kornelis Heiko Miskotte)는 조직신학을 오케스트라에, 조직신학자를 지휘자에 비유했습니다.
_프롤로그
우리는 ‘교리’ 하면 보통 무미건조하고 골치 아픈 이미지를 떠올리지만, 본래 교리라는 것은 2,000여 년에 이르는 장구한 교회 역사 속에서 수많은 목회 현장에서 발생했던 다양한 신학적·목회적 문제를 하나님 말씀인 성경을 가지고 해결해가는 과정 가운데 형성, 정립, 발전된 것입니다. 그런 교리들을 체계적으로 요약·정리하여 해석해놓은 것을…조직신학(Systematische Theologie)이라고 부르지요.
_제1강 신학과 신학 방법론의 중요성
개신교 신학교에서 삼위일체론을 가르칠 때 신학생들이 머리 아파하는 이유도 이와 관련이 있습니다. 삼위일체 교리에 관한 강의가 우리의 예배에 대한 해설이 된다면 친숙하면서도 실제적으로 와닿겠지만 초기 교회 성도들과는 달리 우리는 그런 예배를 경험해볼 기회가 잘 없습니다.
_제7강 신학은 예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