던컨 K. 폴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폴리는 스워스모어 칼리지에서 수학을 전공으로, 경제학을 부전공으로 공부한 후 예일대학교 경제학과에 진학해 1966년 일반균형이론으로 경제학 박사학위를 취득한다. 매사추세츠 공과대학(MIT), 스탠퍼드 대학, 바나드 칼리지에서 강의했고, 1999년 이래 지금까지 뉴욕의 뉴스쿨(Economics New School for Social Research)에서 경제학을 가르치고 있다. 한 대담에서 케인즈의 교차(Keynesian Cross)에 매료되어 경제학을 공부하게 되었다고 밝힌 바 있는 폴리는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의 발전에 탁월한 업적을 남겼으며, 복잡계 경제학의 개척자로도 잘 알려져 있다. 주요 저작으로 본서 『『자본』의 이해』를 포함해 『화폐, 축적 그리고 위기(Money, Accumulation and Crisis)』(1986), 『합리성의 장벽과 경계(Barriers and Bounds to Rationality: Essays on Economic Complexity and Dynamics in Interactive Systems)』(Peter S. Albin과 공저, 1998), 『성장과 분배(Growth and Distribution)』(Thomas R. Michl과 공저, 1999), 『아담의 오류(Adam’s Apple: A Guide to Economic Theology)』(2006, 국역: 후마니타스, 2011) 등이 있다. 최근에는 폴리의 저작 및 이론에서 영감을 받은 논문들의 모음집 『사회의 공정성과 경제학Social Fairness and Economics: Economic Essays in the Spirit of Duncan Foley』(2013)이 출간되기도 했다. 그의 이론적 여정과 경제학 일반에 대한 대담을 『경제학 최전방의 동향The Changing Face of Economics』(국역: 지만지, 2011)에서 찾아 볼 수 있다. 그는 『급진주의정치경제학논평(Review of Radical Political Economics)』을 펴내는 급진주의정치경제학회(URPE)에서 주최한 한 행사(2013)에서 ‘RethinkingFinancial Capitalism and the “information” Economy’라는 제목의 연설을 하는데, 이 연설에서 그는 고전파 정치경제학의 개념들을 적용해 후기산업자본주의와 정보사회를 분석하고 있다. 이 글을 통해 폴리의 최근 동향과 생각을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글은 그의 홈페이지(https://sites.google.com/a/newschool.edu/duncan-foleyhomepage/home/downloads)에서 찾을 수 있다. 이외에도 경제위기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폴리의 글이 그의 홈페이지에 실려 있다.
펼치기
김덕민 (옮긴이)
정보 더보기
경상국립대학교 경제학부 조교수. 제라르 뒤메닐과 도미니크 레비의 《거대한 분기》, 《신자유주의의 위기》, 《현대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을 번역하였고 《마르크스를 읽자》, 《대안마르크스주의》, 《아담의 오류》 등을 번역하였다. 대표 논문으로 〈The Stochastic Model of Technical Change and Profit Rates: Korean Economy〉(Review of Radical Political Economics, 2023)가 있다.
펼치기
김민수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서양 근?현대 정치사상을 전공했으며, 신자유주의의 위기와 위기 이후의 대안적 정치를 모색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석사 학위 논문으로 “벤하비브의 시민권 정치에 대한 연구”(고려대학교)가 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