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세트] 당신의 선택은? - 전2권](/img_thumb2/6000805773.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6000805773
· 쪽수 : 732쪽
· 출판일 : 2015-01-23
목차
당신의 선택은? 기업 윤리
이 책에 대하여
머리말
1부 자본주의와 기업
Issue 1 자본주의로 인간이 행복해질 수 있을까?
[그렇다] 애덤 스미스, 《국부의 성질과 원인에 관한 탐구》
[아니다] 카를 마르크스·프리드리히 엥겔스, 《공산당 선언》
Issue 2 위험은 자본주의를 위한 최선의 이론일까?
[그렇다] 사이먼 존슨·제임스 곽, <금융 위기라는 신세계>
[아니다] 배리 아이켄그린, <위험 최후의 유혹>
Issue 3 이익 증대가 기업의 유일한 사회적 책임일까?
[그렇다] 밀턴 프리드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이익을 늘리는 것>
[아니다] 마이클 E. 포터·마크 R. 크레이머, <공유 가치의 창출-자본주의를 재발명하는 법, 그리고 혁신과 성장의 물결을 일으키는 법>
Issue 4 개인의 도덕성이 기업의 압력에도 살아남을 수 있을까?
[그렇다] 로버트 C. 솔로몬, <상황의 희생자? 일터의 덕성윤리학에 대한 옹호>
[아니다] 길버트 하먼, <품성이나 인격은 없다>
Issue 5 윤리 강령으로 “진정한” 기업 윤리를 세울 수 있을까?
[그렇다] 에릭 크렐, <윤리 감사 방법-윤리 감사를 실행하면 회사의 윤리 정책과 실제 사이의 괴리를 찾아낼 수 있어>
[아니다] 그레그 영·데이비드 S. 해슬러, <평판 위험 관리-경영 윤리와 평판 자본에 위험 관리 기법을 활용한다>
2부 현재 부각된 경영 이슈
Issue 6 2008년 경제 붕괴의 책임은 금융 산업에게 있을까?
[그렇다] 존 C. 보글, <윤리적 규모의 위기>
[아니다] 로이드 C. 블랭크페인, <금융 위기의 원인과 결말>
Issue 7 정부는 경제 파탄을 피하기 위해 책임지고 금융 기관을 구제해야 할까?
[그렇다] 로저 로웬스타인, 《월가의 종말》
[아니다] 로버트 J. 새뮤얼슨, <번영에 따르는 위험>
Issue 8 파생상품의 위험은 관리 가능할까?
[그렇다] 저스틴 웰비, <파생상품과 위험 관리의 윤리학>
[아니다] 토머스 A. 배스, <파생상품-금융의 메스암페타민>
Issue 9 폭리를 규제해야 할까?
[그렇다] 제러미 스나이더, <폭리, 무엇이 문제인가?>
[아니다] 매트 졸린스키, <폭리, 더 나쁘지는 않음, 그리고 분배 정의>
3부 인적 자원 : 기업과 종업원
Issue 10 내부자 고발은 회사에 대한 충성을 어기는 것일까?
[그렇다] 시셀라 보크, <내부자 고발과 직업적 책임>
[아니다] 로버트 A. 라머, <내부자 고발과 종업원의 충성>
Issue 11 고용주가 종업원의 소셜 미디어를 감시하는 행위는 정당할까?
[그렇다] 브라이언 엘즈윅·도나 K. 피플즈, <채용 및 고용 유지 결정을 내릴 때 소셜 네트워크 웹사이트 활용하기>
[아니다] 에릭 크렐, <사생활은 중요해-종업원의 사생활을 보호하려면 효과적인 정책, 건전한 관행, 지속적 소통이 필요>
Issue 12 “임의 고용”은 사회적으로 좋은 정책일까?
[그렇다] 리처드 A. 엡스타인, <임의 계약을 옹호하며>
[아니다] 존 J. 맥콜, <정당한 사유에 의한 해고 규정을 옹호하며>
Issue 13 실적이 CEO 보상의 명분이 될까?
[그렇다] 아이라 T. 케이, <CEO의 보수에 참견 마라>
[아니다] 에드거 울러드 2세, <CEO의 보수는 너무 많아>
4부 소비자와 관련된 문제
Issue 14 어린이를 겨냥하는 광고를 규제해야 할까?
[그렇다] 스테퍼니 클리퍼드, <광고와 어린이 사이에는 엄밀한 경계선을 둬야>
[아니다] 패트릭 바샴·존 루익, <해피밀 금지령은 좋아할 일이 아냐>
Issue 15 주택 소유자는 담보 대출에 대해 전략적 채무불이행을 실행해도 될까?
[그렇다] 로저 로웬스타인, <지금 우리가 사는 법-주택담보 대출을 갚지 말고 손을 털어라>
[아니다] 릭 모랜, <주택담보 대출에서 ‘손 털기’의 윤리학>
Issue 16 유전자 변형 식품에 표시를 요구해야 할까?
[그렇다] 필립 L. 베리아노, <무엇인지 알고 먹을 권리>
[아니다] 조지프 A. 레비트, 미국 상원의 보건교육노동연금위원회에서 진술한 내용
5부 세계적 차원의 목표
Issue 17 다국적 기업에게는 도덕적 의무가 면제될까?
[그렇다] 마누엘 벨라스케스, <국제적 기업 활동, 도덕성, 공익>
[아니다] 존 E. 플레밍, <다른 접근법, 다른 전제-마누엘 벨라스케스에 대한 견해>
Issue 18 노동 착취 작업장은 비인도적인 기업 행위일까?
[그렇다] 데니스 G. 아널드·노먼 E. 보위, <전 세계 납품망의 근로자 존중-노동 착취 작업장에 대한 토론을 이어가며>
[아니다] 고든 G. 솔러스·프레드 잉글랜더, <노동 착취 작업장-칸트와 결과론>
Issue 19 유전자 특허를 비윤리적이라고 보아야 할까?
[그렇다] 미리엄 슐먼, <단일 염기 다형성, 무역 관련 지적재산권에 관한 협정, 그리고 인간 존엄에 대하여-윤리학과 유전자 특허>
[아니다] 애너벨 레버, <윤리학과 인간 유전자 특허>
Issue 20 세계는 앞으로도 계속 주요 에너지원으로 석유에 의존해야 할까?
[그렇다] 레드 커베이니, <세계 석유 생산량이 곧 정점에 다다른다-되풀이되는 괴담>
[아니다] 제임스 하워드 컨슬러, 《긴 비상 시대》
이 책을 만든 사람들
당신의 선택은? 글로벌 이슈
이 책에 대하여
머리말
1부 세계 인구
Issue 1 인구 증가보다 출산율 감소가 오늘날의 중요한 세계 인구문제인가?
[그렇다] 마이클 마이어, <출산율 저하>
[아니다] 대니얼 니렌버그, 미아 맥도널드, <현재까지의 인구 동향>
Issue 2 개발도상국의 인구 증가를 억제하는 정책에 다시 초점을 맞춰야 할 것인가?
[그렇다] 테리 M. 레딩, <인구문제 : 세계의 생존에 이르는 열쇠>
[아니다] 스티븐 W. 모셔, <맥나마라의 실책 : 가족계획 재정 지원>
Issue 3 선진국의 노령화 추세는 심각한 문제인가?
[그렇다] 피트 엔가디오, 캐럴 매틀랙, <세계의 노령화>
[아니다] 랜드코퍼레이션, <인구 내파
Issue 4 세계의 도시화는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로 이어질까?
[그렇다] 디비야 압하트, 샤우너 다이닌, 탬신 존스, 짐 모타빌리, 레베카 샌본, 케이트 슬롬코프스키, <초대형 도시는 몸살을 앓고 있다>
[아니다] 유엔인구기금, 《세계의 상태 2007 : 도시 성장의 가능성 해부》
2부 세계의 자원과 환경
Issue 5 환경주의자들의 말은 과장인가?
[그렇다] 로널드 베일리, <녹색 신화를 폭로하다>
[아니다] 데이비드 피멘틀, <회의적 환경주의자를 회의하며>
Issue 6 세계는 주요 에너지원을 계속 석유에 의존해야 하는가?
[그렇다] 난센 G. 살레리, <이 세상에 석유는 많다>
[아니다] 레스터 R. 브라운, <세계 석유 생산은 정점에 이르고 있는가?>
Issue 7 가까운 미래에 세계는 스스로를 먹여 살릴 수 있을까?
[그렇다] 스티븐 렌드먼, <세계 식량 위기>
[아니다] 비 윌슨, <마지막 한 입 : 세계 식량 체계는 붕괴하고 있는가?>
Issue 8 지구온난화의 위협은 실재하는가?
[그렇다] 데이비드 비엘로, <과학의 현황 : 최악의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넘어>
[아니다] 리처드 S. 린드젠, <지구온난화는 없다>
Issue 9 세계의 물 부족 위협은 실재하는가?
[그렇다] 마크 클레이턴, <물은 ‘새로운 석유’로 떠오르고 있는가?>
[아니다] 비외른 롬보르, <물>
3부 팽창하는 세계의 힘과 움직임
Issue 10 국제사회는 마약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을까?
[그렇다] 유엔마약범죄사무소, <2007 세계 마약 보고서>
[아니다] 이선 나들먼, <마약>
Issue 11 국제사회는 세계적인 유행병에 대처할 준비가 되어 있는가?
[그렇다] WHO 세계 인플루엔자 프로그램, <조류독감의 확산 위협에 대응해>
[아니다] H. T. 고랜슨, <유행병 입문>
Issue 12 인신매매를 근절할 수 있는 전략은 존재하는가?
[그렇다] 재니 추앙, <근시안을 뛰어넘어 : 세계 경제에서의 인신매매 예방>
[아니다] 디나 프란체스카 헤인스, <혹사, 학대, 억류, 강제 이송 : 인신매매 피해자를 보호하고 인신매매범 처벌을 보증하는 이민 혜택의 확대>
Issue 13 세계화는 국제사회의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그렇다] 로빈 메러디스, 수잰 호퍼, <세계화는 왜 좋은가?>
[아니다] 스티븐 웨버, 나즈닌 바머, 매슈 크로니그, 엘리 래트너, <세계화가 나쁜 이유>
Issue 14 세계 경제 위기는 자본주의의 실패를 의미하는가?
[그렇다] 가츠히토 이와이, <자본주의의 타고난 불안정성을 보여주는 세계 금융 위기>
[아니다] 다니 로드릭, <개봉박두 : 자본주의 3.0>
4부 세계 안보의 새로운 딜레마
Issue 15 우리는 새로운 냉전기에 들어섰는가?
[그렇다] 스티븐 F. 코헨, <미국의 새로운 냉전>
[아니다] 스티븐 코트킨, <새로운 냉전 신화>
Issue 16 우리는 핵 9·11을 향해 가고 있는가?
[그렇다] 브라이언 마이클 젠킨스, <테러리스트도 전략적으로 생각할 수 있다 : 뭄바이 테러의 교훈>
[아니다] 그레이엄 앨리슨, <위험한 유산을 묻어야 할 때 ?1부>
Issue 17 종교 및 문화 극단주의는 세계 안보를 위협하는가?
[그렇다] 후세인 솔로몬, <종교 극단주의 시대의 세계 안보>
[아니다] 시블리 텔하미, <미 하원 군사위원회에서의 증언 : 테러리즘과 종교 극단주의의 관계>
Issue 18 핵 이란은 세계 안보를 위협하는가?
[그렇다] 미국 하원 정보특별상임위원회 산하 정보정책소위원회, <전략적 위협으로서의 이란 : 미국의 정보전>
[아니다] 미국 국가정보국 국장실, <이란의 핵 프로그램과 능력>
Issue 19 중국은 차세대 초강대국으로 떠오를 것인가?
[그렇다] 슈지 야오, <중국은 정말 차세대 초강대국이 될 수 있을까?>
[아니다] 프래넙 바드헌, <중국과 인도가 초강대국? 너무 빠르다>
Issue 20 국제사회는 자연재해에 대처하는 능력에서 진전을 보이고 있는가?
[그렇다] 유엔, <기후가 바뀌는 지역에서의 위험과 빈곤 : 좀 더 안전한 내일을 위해 오늘에 투자하라>
[아니다] 데이비드 로스코프, <재난 예방 : 아이티 지진 같은 대참사는 단지 예측 가능한 사건이 아니라 예방 가능한 사건이다>
이 책을 만든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