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01053073
· 쪽수 : 313쪽
· 출판일 : 2005-10-21
책 소개
목차
'스무 살을 위한 철학 청바지' 시리즈를 내며
- 머리글
1. 개인과 사회_ 사회는 개인을 보호하는가, 구속하는가
1-1 갈등과 균형, 사회를 설명하는 데 어떤 것이 적합할까 | 김동춘 성공회대 교수
1-2 사이버 세계의 자유는 진정한 자유일까 | 이봉재 서울산업대 교수
1-3 공동체주의는 여전히 유효할까 | 박정순 연세대 교수
1-4 동양에는 개인주의가 없었을까 | 김시천 숭실대 강사
2. 시민과 국가_ 국가는 늘 정의로울까
2-1 국가로부터 자율적인 시민사회는 가능할까 | 김호기 연세대 교수
2-2 군자는 과연 시민이 될 수 있을까 | 김시천 숭실대 강사
2-3 정보 민주주의는 실현될 수 있을까 | 김창호 명지대 교수
2-4 민족과 국가를 초월한 공동체는 어떻게 가능할까 | 구승희 동국대 교수
3. 인간과 역사_ 역사는 진실일까, 허구일까
3-1 역사는 진보하는 것일까 | 김창호 명지대 교수
3-2 역사적 사실은 진정 객관적일까 | 이종관 성균관대 교수
3-3 세계화 시대, 민족주의는 사라질까 | 김동춘 성공회대 교수
3-4 과연 이데올로기의 종언일까 | 김창호 명지대 교수
4. 경제와 사회_ 경제와 윤리는 함께 갈 수 있을까
4-1 자유경쟁체제, 과연 바람직한 제도일까 | 박순성 동국대 교수
4-2 지속 가능한 발전은 과연 가능할까 | 이상호 고려대 강사
4-3 성장과 분배, 어느 것이 먼저일까 | 장건화 한신대 교수
4-4 신자유주의, 발전일까 재앙일까 | 조원희 국민대 교수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균형 모형은 사회의 자연 상태가 조화와 균형을 이루고 있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이 모형은 어떻게 기존의 사회질서가 유지되며 가치가 공유되고, 새로운 세대가 어떻게 기존의 규범을 받아들여 정상적인 사회인으로 성장해가는지, 그리고 사회통합이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에 대해서 주로 관심을 갖는다.
반면 갈등 이론은 사회 내의 긴장과 갈등 상황을 일반적이고 당연한 것으로 본다. 갈등 모형은 현대사회의 구성원 간에 의견의 일치보다 불일치가 지배적이며 조화보다 긴장과 갈등이 더욱 일반적으로 나타난다고 주장하면서, 사회를 유기체로 보는 균형 이론은 잘못된 것이라고 비판한다. 그리고 사회가 하나의 자기완결적인 체계로서 안정성의 추구를 자체의 목적으로 지닌다고 보지 않는다. - 본문 24~25쪽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