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육아 > 성장/발달
· ISBN : 9788901133409
· 쪽수 : 392쪽
· 출판일 : 2011-11-14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머리부터 발끝까지 아기의 건강에 관한 필수지침서 · 우디 케셀 박사
추천의 글 아기들의 신체 징후를 관찰하면 건강이 보입니다 · 노정일 서울대어린이병원장
감수의 글 육아에 유용한 의학정보로 가득한 책 · 김희주 대치서울영재소아청소년과원장
들어가기 전에
Chapter 1 아기의 머리, 세상을 향한 첫인사
맥박이 뛰어오르는 작은 샘, 천문
천문이 솟아올랐어요|천문이 움푹 들어갔어요|3번째 천문이 보이면 주의하세요|천문이 유달리 커요|천문이 잘 보이지 않아요
동글동글, 우리아기 예쁜 두상
뾰족한 정수리는 시간이 지나면 둥글어져요|뱃머리처럼 앞뒤로 길고 좁은 두상|납작머리 아기|비정상적인 머리모양이 지닌 위험|아기 머리가 너무 커요|아기 머리가 너무 작아요
머리와 관련된 행동
머리 찧기 행동, 괜찮은 걸까
맺음말
Chapter2 아기의 머리카락과 두피에 담긴 정보
머리카락 색깔에 숨은 비밀
색깔 없는 머리카락을 가진 아기|하얀 머리카락, 아기에게 무슨 일이 생겼나
머리카락 질감으로 건강상태를 파악해요
머리카락이 심하게 엉켜요|머리카락이 푸석거리고 잘 끊어져요|머리카락이 한 움큼 씩 빠져요
머리카락이 없는 아기
태어날 때부터 대머리일 수도 있나요|삼각형 모양으로 머리카락이 빠져있어요|머리 한쪽 부분만 머리카락이 빠져요|아기 탈모의 원인
두피부터 건강하게 관리해요
두피 일부분이 떨어져나갔어요|머리에 달걀만한 혹이 났어요|영아 비듬, 어떻게 없애나요|두피에 검은색 점이 보이면 백선을 의심해보세요
머리카락과 관련된 행동
머리카락 꼬기로 스트레스를 푸는 아기
맺음말
Chapter 3 아기의 눈을 보면 건강이 보여요
눈 색깔에 담긴 건강정보
양쪽 눈 색깔이 서로 다른 아기|분홍색 눈동자는 선천성 색소결핍증의 신호|결막염에 걸린 아기는 눈이 붉어요|황달의 경고, 노란색 눈|사진 속 하얀색 동공은 심각한 질환|사진 속의 노란 눈, 코츠병을 의심해요|짝짝이 동공은 유전|타원형 동공은 홍채결손이 원인|이중동공
아기의 눈꺼풀도 살펴요
눈꺼풀이 붉게 부어오르면 안구도 함께 살펴보세요|딱지 앉은 눈꺼풀은 안검염의 신호|다래끼가 났어요|아기의 눈꺼풀이 처진 이유|이중 속눈썹 아기가 주의할 점
눈 주위에 나타난 신호
아기의 다크서클은 알레르기가 원인|두툼한 눈밑살을 가진 아기는 알레르기와 천식을 조심해요|안구돌출, 그레이브스병의 의심징후
아기의 눈물에 관한 궁금증
눈물이 너무 많이 흘리는 아기|많이 울어도 눈물이 나지 않는 아기|젖을 먹으면 눈물을 흘리는 아기
눈동자의 움직임에 나타난 이상
상하좌우로 재빨리 움직이는 눈, 안구진탕|사시, 크면 없어질까요|한쪽 눈이 바깥쪽으로 향하는 외사시, 조기치료가 필수|가끔 위쪽을 응시하는 상사시|오랜 시간 위쪽을 쳐다보는 발작성 긴장상향주시|아래를 응시하는 하사시
눈과 관련된 행동
눈을 찡그린다면 근시를 의심해요|눈을 자주 깜빡이는 이유|왜 눈맞춤을 하지 않을까
맺음말
Chapter 4 아기의 귀, 보이는 부분과 보이지 않는 부분
귀 모양에 나타난 이상
귀에 옴폭 들어간 자국|귀 주변의 작은 사마귀|귀에 난 혹|유전적으로 나타나는 작고 주름진 귀
아기의 청력과 관련된 문제
미숙아와 청력이상의 관계|선천적 청각장애|귀의 염증과 난청의 상관관계
귀와 관련된 별난 행동
귀 안에 물건 집어넣기|청각 상실인가요, 자폐증인가요
맺음말
Chapter 5 아기의 코로 건강이 드나들어요
아기의 코에 나타난 이상징후
숨 쉴 때마다 커지는 아기의 콧구멍|코끝에 혹이 났어요|코에 난 혹에 털이 자라고 있다면 조심하세요|코 위에 긴 주름이 있다면 알레르기성 비염을 의심해요|콧물이 흐르는 이유|흔하지만 위험한 감기|야외로 나가면 터져 나오는 일광재채기
호흡과 관련된 질문
꼬마 코골이들|몇 초씩 숨을 멈추는 수면무호흡증|숨 쉴 때 마다 휘파람 소리가 나요|가쁜 호흡 또는 느린 호흡
코와 관련된 행동
코에 물건 집어넣기|코 파기
맺음말
Chapter 6 먹고, 맛보고, 말하는 아기의 입
입을 둘러싸고 있는 집, 입술
입술이 파래졌어요|입술에 잡힌 물집|입술에 혹이 생겼어요
빨고 삼키고 뱉는 아기의 혀
검은색 혀의 비밀|길게 홈이 패인 혀|심장모양의 혀는 설유착의 신호|유난히 매끄러운 혀는 영양결핍이 원인|유전적으로 나타나는 지도모양의 혀|아기의 혀가 왜 계속해서 떨릴까
아기의 잇몸건강도 꼼꼼히 살피세요
우윳빛 입술 얼룩은 아구창의 신호|비뚤어진 잇몸,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좋아져요|잇몸에 작은 점이 났어요|아기 입냄새를 제거하는 방법
작은 이빨이 돋아났어요
이빨이 너무 빨리 났어요|왜 아직도 이가 나지 않을까요|이빨이 얼룩덜룩해요|이빨이 푸르스름해요
입과 관련된 행동
하품을 유난히 많이 해요|아이는 왜 계속 침을 흘릴까요|무엇이든 입 속에 집어넣어요|이를 가는 아기, 괜찮을까요
까르륵, 종알종알, 아기 목소리
감기도 아닌데 목소리가 쉰 아기|말더듬기, 크면 괜찮을까요
맺음말
Chapter 7 생명과 건강을 담는 그릇, 아기의 몸체
아기의 가슴과 건강
여자 아기의 가슴 몽우리|남자 아기의 가슴 몽우리|아기의 한쪽 유방이 부풀어 올랐어요|세 개의 유방을 가진 아기
젖꼭지와 가슴모양에 생긴 이상
젖꼭지 분비물|세 개의 젖꼭지|함몰 유두의 원인|가슴이 함몰된 것처럼 보여요|새가슴 아기는 호흡기 질환에 유의하세요
아기의 배꼽과 관련된 문제
제대탈장이라 걱정이에요|배꼽의 혹, 제육아종
아기의 팔다리
아이가 몸을 이상한 자세로 꺾어요|구부러진 엄지손가락|다리가 바깥쪽으로 휘었어요|다리가 안쪽으로 휘었어요|안짱걸음, 고칠 수 있나요|오리처럼 뒤뚱뒤뚱 걷는 아기|발끝으로 살금살금 걷는 아기|아기들이 평발로 태어나는 이유
기타 몸통과 관련된 문제
심하게 몸서리를 치는 발작|아기를 단단히 싸맬 때 주의할 점
맺음말
Chapter 8 가장 넓은 면적을 가진 기관, 아기의 피부
아이의 피부에 있는 점, 모반
붉은색 또는 분홍색의 모반|유아성 혈관종, 딸기 모반|눈에 난 검붉은 모반|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한 청색 모반|흑청색 모반과 몽고반점
다양한 종류의 주근깨
주근깨가 너무 많아요|밀크커피색 큰 주근깨|입술 주근깨는 포이츠-예거 증후군를 조심해요
여드름과 물집이 보내는 신호
아기 얼굴에 난 작은 혹|아기여드름의 원인|아기 물집|전염성 강한 벌집모양의 물집, 농가진|여기저기 옮아 다니는 기저귀 발진
아기의 혹과 돌기
아기의 점에 털이 난 경우|작은 사마귀|얼굴에 난 주황색 혹, 소아황색육아종
몸통에 위치한 보조개
다리 보조개|엉덩이 위쪽에 난 보조개
피부색으로 아는 건강정보
청색 피부|노란색 또는 주황색 피부|대리석 피부|밝은 반점
아기의 멍
아기의 팔에 난 뾰루지|쉽게 멍드는 아기
기타 피부 질환에 관련된 문제
다리의 줄무늬|소금맛이 나는 피부
맺음말
Chapter 9 건강의 출발점, 아기의 생식기
성발달 장애를 가진 아기
아들일까 딸일까
아기의 질에 생긴 문제
질이 부어오른 경우|질에 난 작은 돌기|신생아의 질분비물|아기의 질에서 나는 불쾌한 냄새
아기의 음경에 생긴 문제
음경 끝에 맺힌 하얀색 방울|음경의 포피는 청결이 중요해요|음경에서 냄새가 나요|구부러진 음경| 왜소음경|왜소 음낭|서혜부탈장|소변이 음경 끝에서 나오지 않아요|소변이 변기 주변으로 흘러요
생식기 관련 문제
생식기 만지기|음경 만지고 놀기|기저귀에 물건 숨기기
맺음말 339
Chapter 10 건강정보로 꽉 찬 아기의 노폐물
아기의 소변에 관한 정보
소량의 소변|과량의 소변|진노란색 소변|주황색 소변|붉은색 또는 분홍색의 소변|달콤한 소변|냄새나는 소변
아기의 대변에 관한 정보
대변 색깔의 변화
노란색 대변|주황색 대변|녹색 대변|옅은색 대변|검은색 대변|붉은색 대변
기타 대변에 관한 문제
물기 많은 대변|설사가 계속 반복되는 경우|변비를 해소하는 방법|가라앉지 않고 떠다니는 변|아기의 방귀가 보내는 신호
맺음말
부록 | 아기의 다체계 질환과 그 징후
참고문헌 및 참고 웹사이트
의학자문단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질문: 아들에게 천문이 3개가 있는 것 같습니다. 정상인가요?
답변: 보통 천문은 6개 가운데 2개만 뚜렷하게 알 수 있습니다. 정수리에 있는 천문과 후두에 있는 천문 사이에 세 번째 천문이 육안으로 확인된다면, 그것은 갑상선기능저하증의 징후일 수 있습니다. 갑상선 기능저하증은 치료하지 않으면, 발육지연, 정신장애, 기타 심각한 질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질문: 15개월 된 아들의 두피에 검은색 작은 점이 있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머리카락의 일부가 빠지고 있습니다. 아이가 어린이집에서 병을 옮아온 것일까요?
답변: 아이는 아마 이른바 ‘흑점 징후’를 보이는 것 같습니다. 이것은 보기는 흉하지만 흔한 질환인 백선의 특징입니다(두부백선). 모발이 끊긴 뒤 남은 짧은 머리로 전체 모양이 느낌과 유사하며, 원형탈모증으로 모발이 탈락한 끄트머리에 나타납니다.
질문: 아기들은 사시가 있어도 자라면 없어진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사실인가요?
답변: 그것은 처음 사팔뜨기가 발견됐을 당시 아기의 월령 ? 혹은 나이가 적은지 많은지 ? 에 달려 있습니다. 의학적으로 사시라고 불리는 안구운동질환은 신생아에게 매우 흔하게 나타납니다. 안구운동 질환이 있는 신생아의 대다수는 한쪽 눈이 살짝 안쪽으로 향하기 있는 사팔뜨기입니다. 이런 사팔뜨기를 의학적으로 내사시라고 합니다. 내사시가 영아기에 발생하면, 보통 생후 3개월쯤 사라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