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치학 일반
· ISBN : 9788901228846
· 쪽수 : 236쪽
· 출판일 : 2018-12-26
책 소개
목차
머리말
-한 고등학생의 불만
-힘에 기대는 마음
제1장 실추된 권위
-왜 우리는 단결하지 못하는가
-권위를 잃은 아버지와 선생님
-개인의 권위, 지위의 권위
-조직의 권위
제2장 권위가 실추된 후
-권위를 등에 짊어진 권력의 등장
-권력의 필수 요소
제3장 명령의 영향력
-권위와 권력의 보이지 않는 명령
-왜 권력은 권위를 필요로 하는가
제4장 복종의 심리
-의존과 권위
-불안과 공포
제5장 권위와 판단
-의사라는 직업
-명의라는 신앙
-왜 의사처럼 권위적인 직업이 존재하는가
제6장 우리의 눈을 가리는 권위
-기관의 권위
-대중매체의 권위
-상의 권위
-무지를 교묘히 이용하는 권위주의자들
-우물 안 권위주의자들
제7장 권위의 설득법
-권력적 설득, 권위적 설득
-암시적 설득
-암시에 대항하는 자아의 확립
-합리적 설득
제8장 권위와 반권위
-다양성의 부정
-혁명으로 이상 사회가 실현될까
-권력주의는 반복될 뿐
-정통성이라는 권위주의
제9장 단결하지 않는 사회
-단결보다 조화
-개인은 개인으로서 존재한다
-그럼에도 낙관적
맺음말 자립하는 인간으로
리뷰
책속에서
권위도 권력도 말을 잘 듣고, 듣게 하는 원리와 관계되어 있네. 권위는 우리가 자발적으로 말을 듣도록 만들지. 그러나 권력은 억지로 말을 듣게 하네. 그런데 사회가 무너지기 시작하면서 권력과 권위가 이중으로 겹쳐진 하나의 이미지가 우리에게 말을 듣게 만들고, 단결력을 만들고 있네.
「제3장 명령의 영향력-왜 권력은 권위를 필요로 하는가」 중에서
의사에게는 자신의 병이 무엇인지 진단하고 치료법을 결정하게 하지. 판사에게도 유죄인지 무죄인지, 어느 정도의 형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게 하네. 학자에게도 그 학문 분야에서의 가치를 판단하게 할 때만 권위가 문제가 되지. 국회도 교회도 우리 생활 자체를 결정하는 성질이 있네. 그런데 판단을 맡기는 이상, 우리가 판단하는 것 이상으로 정확하고 더 나은 판단이 내려졌으면 좋겠다고 생각하지 않을까? … 그렇다는 건 자신의 판단이나 결정을 포기한다는 것 아닌가? … 다시 말해 자신과 같은 수준의 사람에게는 판단을 받고 싶지 않은 거지. 자신들을 넘어선 곳에 있는 권위의 판단이어야 하는 거네. 그래서 권위라는 것은 항상 최고의 것을 지향한다고 하는 거고.
「제5장 권위와 판단-왜 의사처럼 권위적인 직업이 존재하는가」 중에서
자신들이 판단하는 걸 포기하고 누군가에게 판단을 맡기는 행위거든. 거기에 권위가 파고들 틈이 생기는 거네. 앞으로 알게 되겠지만, 자신은 모른다며 자신의 무지로 앎을 포기하는 것은 권위가 파고들 조건 가운데 하나라네. 다른 설명 없이 안전하다는 말만 들으면 그 사람의 말을 믿는 것 외에 안심할 수 있는 방법은 없으니까.
「제6장 우리의 눈을 가리는 권위-기관의 권위」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