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04031801
· 쪽수 : 552쪽
· 출판일 : 2022-02-28
책 소개
목차
추천사
이 책의 사용법
서론
-‘신학’의 개념: 간단한 정의
-신학의 구조
성경 연구 / 조직신학 / 철학적 신학 / 목회신학 / 교회사
-역사신학의 목적과 위치
역사신학의 발전 과정 / 교육적인 수단으로서의 역사신학 / 비평적인 도구로서의 역사신학 / 조직신학을 위한 자료로서의 역사신학
1장 교부 시대(100-451)
-용어 해설
-교부 신학을 다루는 데 뒤따르는 어려움
-교부 신학의 역사적 배경
로마의 역사적 중요성 / 박해의 문제 / 콘스탄티누스의 회심 / 공적인 신학적 논쟁의 발전
-신학 연구의 중심지
-대표적인 신학자
순교자 유스티누스(100-165) / 리용의 이레나에우스(130-200) / 오리게누스(185-254) / 테르툴리아누스(160 -225) / 아타나시우스(296-373) /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354-430)
-중요한 신학적 발전
기독교 신앙과 고전 문화의 관계 / 신약 정경의 범위 / 전통의 역할 / 범교회적인 신조의 확립 / 예수 그리스도의 두 본성 / 삼위일체론 / 교회론 / 은혜의 교리
-중요한 명칭, 용어, 문구
-질문
-사례 연구
사례 연구 1.1 성경과 전통 / 사례 연구 1.2 아리우스 논쟁: 그리스도의 신성 / 사례 연구 1.3 알렉산드리아 학파의 기독론: 아폴리나리우스 논쟁 / 사례 연구 1.4. 안디옥 학파의 기독론: 네스토리우스 논쟁 / 사례 연구 1.5 삼위일체: 초기의 발전과 논쟁들 / 사례 연구 1.6 교회: 도나투스 논쟁 / 사례 연구 1.7 은혜: 펠라기우스 논쟁 / 사례 연구 1.8 믿음과 철학
2장 중세 시대와 르네상스(500-1500)
-‘중세 시대’의 정의
-서유럽의 중세 신학
카롤링거 왕조의 문예 부흥 / 성당 학교와 수도원 학교의 발흥 / 여러 수도회와 그들의 ‘신학교’ / 대학의 설립 / 피에르 롬바르드의 『네 권의 명제집』
-스콜라주의의 발흥
-이탈리아 르네상스
-인문주의의 발흥
-동유럽의 중세 신학
비잔틴 신학의 발생 / 성상 파괴 논쟁 / 정적주의 논쟁 / 콘스탄티노플의 함락(1453)
-대표적인 신학자
다마스쿠스의 요한네스 / 신신학자 시메온 / 캔터베리의 안셀무스 / 토마스 아퀴나스 / 둔스 스코투스 / 오캄의 윌리엄 / 로테르담의 에라스무스
-중요한 신학적 발전
교부적 유산의 강화 / 이성이 신학에서 차지하는 역할에 관한 해설 / 신학 체계의 발전 / 성례 신학의 발전 / 은혜 신학의 발전 / 구원의 계획과 마리아의 역할 / 기독교 신학의 원천으로 직접 되돌아가려는 경향 / 『불가타 성경』에 대한 비판
-중요한 명칭, 용어, 문구
-질문
-사례 연구
사례 연구 2.1 신 존재 증명 / 사례 연구 2.2 속죄에 관한 이해 / 사례 연구 2.3 성례 신학 / 사례 연구 2.4 성경 해석 / 사례 연구 2.5 르네상스 인문주의와 성경 / 사례 연구 2.6 중세 후기 신학에 나타난 아우구스티누스주의와 펠라기우스주의
3장 종교개혁과 그 이후의 시대(1500-1750)
-종교개혁인가 종교개혁들인가?
-용어 설명
독일 종교개혁-루터교 / 스위스 종교개혁-개혁주의 교회 / 급진적 종교개혁-재세례파 / 영국 종교개혁-성공회 / 가톨릭 종교개혁 / 개신교 정통주의
-종교개혁 이후의 운동들
가톨릭주의의 강화 / 청교도주의 / 경건주의
-대표적인 신학자
마르틴 루터 / 훌드리히 츠빙글리 / 존 칼빈 / 아빌라의 테레사 / 데오도르 베자 / 요한 게하르트 / 로베르토 벨라르미노 / 조나단 에드워즈
-중요한 신학적 발전
신학의 원천 / 은혜론 / 성례론 / 교회론
-신학적 문헌의 발전
교리문답 / 신앙고백 / 조직신학 문헌
-중요한 명칭, 용어, 문구
-질문
-사례 연구
사례 연구 3.1 종교개혁 논쟁에서 다루어진 성경과 전통의 문제 / 사례 연구 3.2 이신칭의: 개신교와 트리엔트 공의회 / 사례 연구 3.3 성체 임재설: 루터, 츠빙글리, 트리엔트 공의회 / 사례 연구 3.4 유아 세례 논쟁 / 사례 연구 3.5 교회론: 개신교 내에서의 다양한 경향들 / 사례 연구 3.6 신학과 천문학: 코페르니쿠스와 갈릴레오 논쟁
4장 현대(1750년부터 현재까지)
-문화적 분수령: 계몽주의
-기독교 신학에 대한 계몽주의의 비판
계시의 개념 / 성경의 지위와 해석 / 예수 그리스도의 신분과 의미 / 삼위일체 교리 / 기적에 대한 비판 / 원죄의 거부 / 악의 문제
-낭만주의의 출현과 계몽주의에 대한 비판
-빅토리아 시대와 신앙의 위기
-포스트모더니즘과 새로운 신학적 경향
-대표적인 신학자
슐라이어마허 / 존 헨리 뉴먼 / 칼 바르트 / 폴 틸리히 / 칼 라너 / 한스 우르스 폰 발타살 / 위르겐 몰트만 /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
-최근의 서구 신학과 그 동향
개신교 자유주의 / 현대주의·신정통주의 / ‘원천으로 돌아가기(Ressourcement)’ 또는 ‘새로운 신학(la nouvelle theologie)’ / 페미니즘 / 해방 신학 / 흑인 신학 / 후기 자유주의 / 급진적 정통주의
-중요한 명칭, 용어, 문구
-질문
-사례 연구
-사례 연구 4.1 역사적 예수에 관한 탐구 / 사례 연구 4.2 구원의 근거와 본질 / 사례 연구 4.3 부활에 관한 논쟁 / 사례 연구 4.4 20세기에 논의된 삼위일체 교리 / 사례 연구 4.5 20세기의 교회론 논의 / 사례 연구 4.6 자연 신학과 믿음의 합리성 / 사례 연구 4.7 전통적인 기독교 신학에 대한 페미니즘의 비판 / 사례 연구 4.8 다른 종교에 관한 기독교의 입장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
주요 신학자 소개
간단한 용어 해설
더 읽을만한 책들
리뷰
책속에서
“이 책의 목적은 중요하면서도 흥미로운 주제인 역사신학을 소개하는 데 있다. 역사신학은 매우 방대한 주제라서 이를 공정하게 다루려면 상당한 부피의 책이 최소한 다섯 권이 필요할 것이다. 이 책은 역사신학의 목적과 소재들을 다룬 개론서로, 유럽과 북미와 호주와 뉴질랜드 등지의 강의실에서 확실하게 검증된 접근 방식을 토대로 현실적으로 가능한 만큼의 정보를 한 권의 분량 안에 최대한 많이 담아내는 것을 목표로 했다. 저자의 베스트셀러 『신학이란 무엇인가』의 일부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이 책은 특별히 학생들에게 역사신학을 소개할 목적으로 재구성되었다. 새로운 내용이 많이 추가되고, 기존의 내용 가운데 일부를 다시 고쳐 썼지만, 앞선 책의 기본적인 접근 방식과 일부 내용을 그대로 유지하였다.
이 책은 ‘선택적 집중’(selective attention)의 원리를 따른다. 이 원리는 전체적인 형세를 보여주면서도 상세한 정보를 충분히 제공함으로써 상황을 잘 이해하도록 돕고, 여러 가지 특징 가운데 하나를 더욱 자세하게 파악하는 일을 좀 더 수월하게 만들어준다는 점에서 일종의 지도와 같은 기능을 한다. 이는 기독교 사상사의 모든 측면을 일일이 다 파악할 시간은 없지만, 그 가운데서 가장 중요한 측면을 알고 싶어 하는 사람들의 입장을 고려한 것이다. 바꾸어 말해, 그림을 그릴 때 붓을 굵직굵직하게 놀려 전체 장면을 스케치하고 나서 세부 그림을 섬세하게 그려 넣는 것처럼, 전체를 개괄하면서 특별히 선택한 중요 부분을 상세하게 다루는 방식을 채택했다. 따라서 이 책을 다 읽을 무렵이면 기독교 신학의 발전 과정을 개괄적으로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러나 이 책은 그 간결성에도 불구하고 이런 종류의 개론서들이 다루는 내용보다 훨씬 더 많은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