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아프리카 아이덴티티

아프리카 아이덴티티

(2,000개의 언어를 둘러싼 발전과 통합의 과제)

앤드류 심슨 (엮은이), 김현권, 김학수 (옮긴이)
  |  
지식의날개(방송대출판문화원)
2016-08-23
  |  
3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아프리카 아이덴티티

책 정보

· 제목 : 아프리카 아이덴티티 (2,000개의 언어를 둘러싼 발전과 통합의 과제)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각국정치사정/정치사 > 기타
· ISBN : 9788920019555
· 쪽수 : 592쪽

책 소개

아프리카 주요 19개국에서 언어가 담당해온 역할을 설명하면서 식민시대 전후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현대 아프리카의 언어와 정치 상황을 잘 묘사한 책이다. 그 나라 언어와 정치의 역사에 대해 다루면서, 아프리카 사회의 속내를 명료하게 보여 주고 있다.

목차

옮긴이 서문

지은이 소개

제1장 들어가기
1.1 현대 아프리카 국가의 언어와 국가 건설의 도전
1.2 식민지배 전후 아프리카의 언어 증진
1.3 언어 확산과 성장의 영역: 1960년대에서 현재까지
1.4 언어와 국가 정체성
1.5 끝맺는 말

제2장 이집트: 이집트에서 범아랍 민족주의로
2.1 개관: 용어와 그 중요성
2.2 언어와 이집트 민족주의
2.3 이집트 민족주의: 세부적 기술
2.4 이집트 민족주의에서 범아랍주의로
2.5 결론적 지적

제3장 모로코: 언어, 민족주의, 성
3.1 개관
3.2 역사적 배경
3.3 모로코의 다언어 맥락
3.4 아랍어화와 교육
3.5 민족주의와 언어 변화
3.6 성과 민족주의
3.7 결론

제4장 수단: 다수 종족어, 소수 종족어, 언어 상호작용
4.1 개관
4.2 나일 강 중류 지방의 언어 유산
4.3 현대 정치 프레임워크의 기원
4.4 일상생활과 언어
4.5 결론: 이언어 사용과 수단 토착어의 생태

제5장 세네갈: 국가 교통어의 출현
5.1 아프리카의 국가 정체성
5.2 세네갈 소개
5.3 언어 정체성과 종족 정체성
5.4 월로프어화
5.5 프랑스어권 국가?
5.6 결론

제6장 말리: 문화와 언어의 다원주의의 옹호
6.1 개관
6.2 역사적 배경
6.3 말리의 국어: 개관
6.4 밤바라어의 지배적 사용
6.5 다른 국어
6.6 아랍어
6.7 프랑스어
6.8 교육 부문의 국어
6.9 언어태도
6.10 결론

제7장 시에라리온: 크리오어와 국가 통합의 모색
7.1 서론
7.2 시에라리온의 형성
7.3 시에라리온의 언어
7.4 크리오인과 언어: 태도와 역사
7.5 크리오어: 시에라리온의 국어인가?

제8장 가나: 토착어, 영어, 신흥 국가 정체성
8.1 서론
8.2 가나의 다언어 사용 개관
8.3 영어, 통치 언어, 가나 정체성
8.4 언어정책과 교육
8.5 언어와 정체성의 경합
8.6 결론

제9장 코트디부아르: 프랑스어의 절대 우위
9.1 서론
9.2 인구
9.3 역사적 배경
9.4 사회언어학적 개요
9.5 언어정책: 프랑스어의 절대 우위
9.6 아비장 대중 프랑스어
9.7 현대 코트디부아르 사회의 프랑스어와 아프리카어
9.8 결론

제10장 나이지리아: 아프리카 대국의 종족언어적 경합
10.1 서론
10.2 나이지리아 언어 개관
10.3 식민지배와 나이지리아의 탄생
10.4 언어와 나이지리아의 발전: 1960~2003년
10.5 오늘날의 나이지리아 언어: 유형과 태도
10.6 국어 문제의 재조명

제11장 카메룬: 다언어 국가의 공식적 이언어 사용
11.1 서론
11.2 카메룬의 언어 상황 개관
11.3 다언어 사용, 국가 정체성, 언어정책
11.4 영어권의 민족주의와 언어 문제
11.5 결론

제12장 콩고민주공화국: 언어와 ‘진정한 민족주의’
12.1 개관
12.2 지리적, 역사적 배경
12.3 DRC의 언어 양상: 과거와 현재
12.4 국가 정체성
12.5 DRC 언어에 대한 태도
12.6 결론

제13장 케냐: 언어와 국가 정체성 탐색
13.1 개관
13.2 케냐의 언어
13.3 케냐의 언어: 사회언어학적 차원
13.4 스와힐리어와 국가 지위: 케냐와 탄자니아
13.5 국가 정체성의 기초로서 스와힐리어
13.6 결론

제14장 탄자니아: 국어와 공용어로서 스와힐리어의 발전
14.1 서론
14.2 스와힐리어의 확장: 식민 이전과 식민 시대
14.3 독립 무렵과 그 이후
14.4 스와힐리어와 영어
14.5 종족 언어
14.6 결론

제15장 아프리카의 뿔: 에티오피아, 에리트레아, 지부티, 소말리아
15.1 서론
15.2 에티오피아와 1993년까지의 에리트레아
15.3 1991년 이후의 에티오피아
15.4 1993년 이후의 에리트레아
15.5 지부티
15.6 소말리아/소말릴란드

제16장 잠비아: ‘하나의 잠비아, 하나의 국가, 다양한 언어’
16.1 서론
16.2 잠비아의 언어와 언어 사용
16.3 역사적 배경
16.4 언어와 정체성을 둘러싼 오늘날의 문제
16.5 결론

제17장 남아프리카공화국: 국가 건설을 향한 험난한 여정
17.1 서론
17.2 식민 역사와 언어정책
17.3 아파르트헤이트 이후 시대와 언어정책
17.4 언어와 독립 국가의 지위: 두 가지 최종 관점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앤드류 심슨 (엮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남가주대학교 언어학과 교수이다. 아프리카를 폭넓게 여행하고 공부했다. 특히 서아프리카의 식민시대 이후 언어상황과 그 역동성에 많은 관심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 『아시아의 언어와 국가 정체성 the Language and National Identity in Asia』(옥스포드대학교출판부, 2007)의 엮은이이기도 하다.
펼치기
김현권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75년에 서울대 문리대 언어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 석박사과정을 마쳤다. 파리7대학(DEA)에서 수학한 바 있으며 2002년에는 초빙교수로서 파리13대학 전산언어학연구소에서 연구했다. 한국언어학회장을 역임하기도 했으며 현재 한국방송통신대학 명예교수로 일하고 있다. 역서로는 소쉬르의 『일반언어학 강의』와 『일반언어학 노트』, 벵베니스트의 『일반언어학의 여러 문제 1, 2』와 『인도유럽사회의 제도·문화 어휘 연구 1, 2』, 『마지막 강의』, 바르트부르크의 『프랑스어 발달사』, 로지의 『프랑스어 사회언어학사』, 렌프류의 『언어고고학』 등이 있고, 「소쉬르와 역사언어학의 전통」, 「동사의 다의와 전자사전에서의 표상」, 「소쉬르의 『인도유럽어 원시 모음체계 논고』와 『일반언어학 강의』의 방법론적 비교」, 「소쉬르의 《일반언어학강의》와 《제3차 강의노트》의 비교」 등 다수의 논문들을 발표했다. 또한 방송대학 대학원(아프리카 불어권 언어문화학과)에 있으면서 『아프리카 지정학』, 『아프리카 아이덴티티: 2,000개의 언어를 둘러싼 발전과 통합의 과제』, 『한 권으로 읽는 아프리카』를 번역 출간했다.
펼치기
김학수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아프리카학부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에서 강의하고 있으며, 나이지리아 언어 및 기타 아프리카 언어와 관련한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20세기 후반기에 와서는 거의 모든 아프리카 국가가 서구 식민통치에서 완전히 독립했다. 이처럼 국경이 대부분 외부의 강압으로 임의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주민들이 아주 복잡하게 뒤섞였고, 이들은 공인된 영토와 더 나은 미래에 대한 희망만을간직한 채로 국가를 세워 수많은 신생국이 급작스레 탄생했다. 이로 인해 아프리카 신생 독립국의 리더십은 커다란 도전에 직면했다. 아프리카 대륙의 신생국에 거주하는 광범하고 다양한 종족과 언어 집단을 어떻게 결집하여 국가에 대한 소속감과 충성심을 갖게 할 것인지의 문제가 대두했다.(주1) 수많은 다언어, 다종족 국가로 구성된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안정적이고 통합된 신생 국가를 건설하려고 시도하면서, 언어는 시민 개개인의 교육과 고용, 정치 참여에 대한 접근성뿐만 아니라 국가사회의 폭넓은 공유의식과도 밀접하게 연계된 중요 경쟁력임이 증명되었고, (단일 국가 내 다언어의 공존이라는 의미에서) 다언어 사용(multilingualism)이 때로는 활용할 자산(資産)이라기보다는 국가 발전에 주로 부정적인 복합 상황으로 인식되었다는 것은 극히 자연스러운 일이었다. (주1: 이 책에서는 많은 아프리카 국가 중 이질적인 언어종족 국가에 대한 사례로, 인구 1,600만 명에 언어가 250개인 카메룬과 인구 2,800만 명에 언어가 140개인 수단, 인구 1억 4,000만 명에 언어가 400개인 나이지리아, 인구 6,000만 명에 언어가 200개인 탄자니아를 들었다.)
(‘제1장 들어가기’ 중에서)


식민지화 정책에 따라 같은 국경 내에 아주 이질적인 주민을 인위적으로 묶어 놓았기 때문에 1950년대와 1960년대에 독립을 쟁취한 국가들은 다수의 토착어 중에서 국가의 (단일) 공용어를 정상적인 방식으로 선택할 수 없었다. 식민지였다가 후에 독립을 이룬 국가 중 상당수는 널리 세력을 떨치는 다수 종족 집단이나, 인구의 50퍼센트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를 보유하지 못했다. 그리고 지역적으로 중요하면서 규모가 큰 종족 집단(예컨대, 나이지리아의 하우사인, 이보인, 요루바인, 제10장)이 있는 국가의 소수 종족 사이에서는 이들의 지배를 받는 것을 무척 두려워했다. 따라서 과거 식민지배자의 언어를 대체할 공용어로 다수 종족의 언어를 즉각 선택하기는 어려웠다. 전 국민의 상당수를 점유하는 소수 집단들은 과거 식민지배자의 언어를 종족언어적으로 중립적인 언어로 여겼는데, 그 이유는 이 언어가 어떤 집단도 우위에 두지 않음으로써 규모가 더 큰 대집단이 공용어와 국어를 장악하여 자신들의 이익을 챙길 잠재성을 억제할 수 있는 보증서였기 때문이다. 그러한 이유로 많은 경우, 과거 식민지배자의 언어는 종족으로 뒤얽힌 주민을 공평하게 결속하고, 미약한 신생 독립국의 안정을 도모하는 유일한 언어로 인식되었다.
(‘제1장 들어가기’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