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언어철학/분석철학
· ISBN : 9788976828804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21-10-22
책 소개
목차
한국어판 옮긴이 서문 5
서문 12
콩스탕탱의 노트 21
영어판 옮긴이 서문 25
I
노트 I 38
노트 II의 시작 90
노트 III의 시작 129
노트 IV의 시작 158
노트 V의 시작 186
노트 VI의 시작 212
II
노트 VII 238
노트 VIII의 시작 268
노트 IX의 시작 297
노트 X의 시작 325
찾아보기 347
책속에서
콩스탕탱의 노트가 소쉬르 연구자의 관심을 끈다는데, 그 주장은 두 가지 사실 때문이다. (i) 이 노트에는 소쉬르가 1910/11년에 한 세 번째이자 마지막 일반언어학 강의가 가장 완전한 형태로 담겨 있다. (ii) 이 노트에는 바이와 세슈에가 『강의』의 1916년판 편집 때에 이용한 자료에는 포함되지 않은 자료가 있다.
이 강의는 엄밀한 의미의 언어학만을 다룰 것이며, 언어(랑그)나 인간언어는 다루지 않는다. 언어과학은 부족한 점이 있지만, 여러 단계를 거치며 발달해 왔다. 그 발달 단계를 세 단계로 구별할 수 있다. 역사적으로 볼 때, 언어를 대상으로 연구한 사람들은 세 방향에서 접근했다고 볼 수 있다. 엄밀한 의미의 언어학은 그 후에 연구 대상을 명확히 인식하면서 탄생했다.
언어학의 과제 한 가지는 스스로를 정의하고, 제 영역에 속하는 것이 무엇인지 인식하는 것이다. 언어학이 심리학에 의존한다면, 그것은 간접적으로 의존하는 것인 만큼 언어학은 그래도 여전히 독립적인 학문으로 남을 것이다. 언어학을 이처럼 고찰하면, 다시 말해 인간언어의 모든 외적 현상을 다루면, 그 연구 대상은 아주 광범위한 것이 되고, 그러면 어느 시대에든 대상이 불분명했던 것을 금방 이해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