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책/행정/조직
· ISBN : 9788920039850
· 쪽수 : 184쪽
· 출판일 : 2021-03-31
책 소개
목차
■ 들어가는 말
■ 서문
제1장 학술자료의 개요
1.1 학술자료 개념
1.2 학술자료의 종류 및 특징
1.3 갈등연구자료의 종류 및 특징
제2장 갈등 모니터링 자료
2.1 갈등 모니터링 자료 개념
2.2 갈등 모니터링 자료의 구성 및 특징
제3장 갈등지도
3.1 갈등지도 개념
3.2 갈등지도의 구성 및 특징
제4장 갈등체크리스트
4.1 갈등체크리스트 개념
4.2 갈등체크리스트의 구성 및 특징
4.3 갈등체크리스트의 활용방안
제5장 갈등자료 구축 및 활용
5.1 연구기획
5.2 갈등자료 구축
5.3 갈등자료 활용
책속에서
우리나라에서는 2000년대 초부터 행정학과를 중심으로 갈등관리론 수업이 시작되었다. 갈등에 관한 현상에서 출발하였기에 이론적 기반 없이 갈등사례의 축적부터 시작해야 했다. 즉, 어떻게 사례를 축적하여 분석하고 함의를 찾아야 하는지에 대한 학문적 기반이 없는 상태였다. 점차 여러 사례가 모이고 학술활동도 활발해졌지만, 학문의 방법론은 여전히 취약한 상황이다. 그동안 한국갈등학회를 창립하고 이끌어 오면서 학문과 현장에서 오랜 경험과 지혜를 쌓은 공존협력연구소(소장 이선우)에서 갈등현상의 학문적 기반이 될 좋은 방법론 책을 내어 주어 그 누구보다 감사하고 기쁘게 생각한다. 부디 이 책이 널리 활용되어 갈등의 학문적 발전이 깊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김광구(경희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갈등에 관한 공부를 시작하려는 학생이나 갈등담당 공무원들로부터 입문서로 삼을 교재를 추천해 달라는 요청을 많이 받고 있지만, 그때마다 마땅히 권할 만한 책을 떠올리기가 쉽지 않았다. 이 책은 갈등연구 초보자에게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를 구체적인 사례와 방법을 활용하여 알려 주고 있다. 간결하지만 꼭 필요한 내용들만 담은 이 책은 갈등연구방법의 길라잡이가 되어 주기에 부족함이 전혀 없다.
심준섭(중앙대학교 공공인재학부 교수)
우리나라에 갈등관리가 본격적으로 자리 잡게 된 시점은 대략 2006년이라고 할 수 있다. 노무현정부 시절, 제4기 대통령자문 지속가능발전위원회가 출범하면서 갈등조정특별위원회를 발족시킨 것이 계기이다. 그로부터 15년이 지난 지금, 한국의 갈등관리는 얼마나 성장하고 성숙했는가? 아직 법제적 기반이 부족하고 갈등관리 시장도 형성되지 못했지만 갈등예방과 해결을 위한 이론과 실천은 오늘도 끊임없이 교직한다. 공존협력연구소가 펴낸 <갈등연구방법론>도 그렇게 만들어진 결실이다. 갈등예방과 해결, 나아가 전환을 시도하는 모든 현장에 유용한 지침서가 될 것이다.
은재호(한국행정연구원 선임연구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