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예체능교육 전공
· ISBN : 9788925400228
· 쪽수 : 307쪽
· 출판일 : 2006-09-30
목차
역자 서문
저자 서문
감사의 말씀
1장 미술과 심리학의 불편하고도 어색한 관계
실증주의자들의 유산
과학에서의 객관주의
이 책의 목적
이 책의 구성
2장 인지 발달 이론에서의 예술적 발달
행동주의의 유산
Piaget의 인지 발달 이론
사회 문화적 인지: Vygotsky의 관점
피아제식과 비고츠키식 인지 발달 이론의 난점
아동화에서의 발달 이론
미술 교육에 대한 함의점
3장 인지 혁명과 학습의 개념
세 가지 인지적 입장들
상징 처리로서의 인지
사회문화적, 혹은 상황적 인지
통합적 이론을 지향하여
미술 교육을 위한 통합적 인지 이론의 필요조건
미술교육에의 시사점
4장 미술에서 인지 유연성 이론과 학습
초급 지식과 고급 지식 습득간의 차이점
복잡한 영역과 학습
복잡성의 축소에서 기인하는 오개념: 감환적인 편견
복잡성 수수께끼와 교육과정 모델의 적용
통합 교육과정
미술 교육을 위한 인지 유연성 이론의 함의
5장 미술학습의 장애물과 그 평가
미술 학습의 오개념-Koroscik의 분석
생활세계와 문화 인지적 지도 그리기
수업과 평가를 위한 함의점
수업과 평가에 있어 교육적인 자극
미술 이해의 증진을 위한 교육과정 맥락의 설계
6장 인지에서의 상상력
철학에서 상상력
정신적 이미지에 대한 심리학적 연구
인지에서 범주화
몇 가지 함축들-경험, 추상, 그리고 메타포
상상력에 관한 이론을 지향하며 : 범주화, 인지 도식 그리고 내러티브
미술교육에 대한 적합성
일반 교육을 위한 함의
7장 미술과 인지: 미술을 위한 인지적 논의
인지 유연성
미술을 통한 지식의 통합
인지에서의 상상력
미적 경험 요약: 미술의 목적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