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문화적 민감성을 높인 질적 연구의 이론과 실제

문화적 민감성을 높인 질적 연구의 이론과 실제

조영달, 박선운 (지은이)
교육과학사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000원 -0% 0원
840원
27,1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문화적 민감성을 높인 질적 연구의 이론과 실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문화적 민감성을 높인 질적 연구의 이론과 실제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88925416052
· 쪽수 : 520쪽
· 출판일 : 2021-08-10

책 소개

문화적으로 민감한 질적 연구는 대표 저자인 조영달이 저술한 그동안의 질적 연구방법론이 지향하는 바와 부합하면서도 한국의 학교와 각종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교육 현상을 연구하기 위한 새로운 방향성을 제안한다.

목차

머리말 / 3

제1장 서언: 변화의 시대와 교육 현상의 이해 15
Ⅰ. 21세기의 변화와 교육에 대한 이해 _ 17
Ⅱ. 교육 현상 이해의 기초: 앎이란 무엇인가? _ 20
Ⅲ. 관계적, 이해적, 참여적 이해와 교실 수업의 정의 _ 25
1. 작은 사회로서의 교실 / 28
2. 교실 수업의 진행과 유형 / 31
3. 교사 / 33
4. 학생 / 35
5. 교수·학습 / 37
6. 수업의 주제(내용) / 40
7. 교실 수업의 사회적 환경 / 44
Ⅳ. 교육 현상 및 수업 연구를 위한 해체와 재구성 _ 45

제2장 질적 연구의 철학과 이론 51
Ⅰ. 질적 연구의 철학, 이론 및 방법론 _ 53
1. 교육 연구에서의 인식론: 구성주의, 객관주의, 주관주의, 실용주의 / 54
Ⅱ. 질적 연구의 세계관과 접근 방식 _ 57
1. 사회 현상의 특징과 연구 방법 / 57
2. 실증주의와 후기 실증주의 / 59
3. 사회 현상 연구의 해석적 접근 / 66
4. 비판이론 / 84
5. 포스트모더니즘 / 92
6. 실용주의 / 101
7. 기타 이론적 지향들 / 103
8. 결언: “교육적 형상을 지닌 해체적 교육 연구” / 107
Ⅲ. 질적 연구의 연구 방법(론) _ 115
1. 연구방법론적 일치성 / 115
2. 연구방법론으로서의 ‘문화기술지’ / 116
3. 문화기술지의 전제와 특성 / 118
4. 질적 연구의 다양한 연구방법론 / 122

제3장 질적 연구방법과 연구 설계 139
Ⅰ. 질적 연구란 _ 141
1. 질적 연구의 형성과 다양성, 변화 / 141
2. 질적 연구의 특성 / 142
3. 양적 연구, 질적 연구, 그리고 혼합 연구 / 143
Ⅱ. 질적 연구의 연구 설계 _ 146
1. 질적 연구에서 연구 설계의 개념과 요소 / 146
2. 연구의 목적 / 149
3. 연구의 개념적 구도 / 151
4. 연구문제와 연구 질문 / 154
5. 연구 대상에의 접근과 대상자 선정 / 162
6. 자료 수집 / 167
7. 자료 수집·분석의 이론적 접근과 절차 / 174
8. 자료의 분석 / 181
9. 연구제안서 작성하기 / 190

제4장 면담 195
Ⅰ. 면담의 역사와 유형 _ 197
1. 면담의 역사 / 197
2. 여러 유형의 면담 / 197
Ⅱ. 질적 면담의 기본 관점 _ 201
1. 질적 면담 지식의 인식론적 접근 / 202
2. 질적 면담의 일반적 유의점 / 206
Ⅲ. 질적 면담의 유형 _ 209
1. 피면담자의 수를 기준으로 / 209
2. 구조화 정도에 따라 / 211
3. 공간에 따른 면담 유형 / 213
4. 연구방법론과 학술 형태에 따른 면담 유형 / 214
5. 기타 / 219
Ⅳ. 질적 심층 면담의 과정과 전략 _ 220
1. 라포의 형성과 면담의 구성 / 220
2. 질적 면담의 개략적 단계 / 222
3. 질적 심층 면담의 진행 전략 / 227
4. 심층 면담의 질문 유형 / 231
5. 후속 질문 이어가기 / 236
V. 면담에서의 신빙성 _ 237
1. 신뢰성과 타당성 / 237
2. 일반화 가능성 / 240
3. 신뢰성으로서의 일관성 검증 / 240
Ⅵ. 면담자의 자질 및 분석적 듣기의 중요성 _ 242
1. 면담의 질 향상과 면담자 / 242
2. 분석적 듣기 / 243
Ⅶ. 면담에서 오디오, 비디오 기록의 전사 _ 245
1. 면담에서 오디오·비디오 녹음 및 녹화의 유용성 / 245
2. 전사의 성격 / 247
3. 면담 전사의 실제와 준수 사항 / 250
4. 전사의 신빙성 제고와 윤리성 / 255

제5장 참여 관찰 263
Ⅰ. 참여 관찰의 성격과 유형 _ 265
1. 문화기술지와 참여 관찰 / 265
2. 참여 관찰의 유형 / 266
3. 참여 관찰에서의 신빙성과 일반화 가능성 / 268
Ⅱ. 관찰과 관찰 노트 작성 지침 _ 270
Ⅲ. 참여 관찰의 절차와 기술 _ 273
1. 참여 관찰 현장의 선정 / 273
2. 참여 관찰의 수행 / 274
3. 참여 관찰의 자료 / 276
4. 관찰 노트의 작성과 기록의 조직 / 277
5. 참여 관찰 자료 수집 중 분석 / 287
Ⅳ. 참여 관찰의 분석 _ 291
1. 연구의 진행과 관찰 노트의 분석 / 291
2. 기타 관찰 자료의 분석 전략 / 302
V. 참여 관찰의 최근 환경 _ 311

제6장 질적 자료의 분석 317
Ⅰ. 내러티브 분석 _ 319
1. 주제 분석 / 321
2. 구조 분석 / 323
3. 상호작용·언어수행 분석 / 326
Ⅱ. 자연 담화의 분석과 미시 질적 연구 _ 328
1. 대화 분석 / 329
2. 담론 분석 / 343
Ⅲ. 제도적 공간의 시각적 자료와 분석 _ 350
1. 시각적 자료의 정의와 성격 / 350
2. 평면적 시각자료의 분석 / 352
3. 입체적 시각자료의 분석 / 358
4. 활동적 시각자료의 분석 / 369

제7장 인터넷의 활용과 가상 공간의 질적 연구 377
Ⅰ. 컴퓨터 및 인터넷의 활용과 질적 연구 _ 379
Ⅱ.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CMC)과 질적 연구 _ 381
1. CMC 관련 기술의 이해 / 382
2. CMC의 장단점 / 384
3. CMC를 이용한 자료 수집 방법 / 386
4. CMC 기반 질적 연구와 관련된 이슈들 / 392
Ⅲ. 가상 공간에서의 문화기술지 연구 _ 398
1. 가상 공간의 특성과 연구의 관심 / 398
2. 가상 공간의 문화기술지 교육 연구의 사례 / 400
3. 가상 공간의 문화기술지 연구의 유의점 / 402
4. 가상 공간의 문화기술지와 관련된 쟁점들 / 404

제8장 질적 연구의 신빙성 409
Ⅰ. 타당성 또는 신빙성에 대한 검토 _ 411
1. 실증적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 414
2. 질적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 415
3. 질적 연구의 신빙성 제고를 위한 개념: 이해도, 진실성 / 417
Ⅱ. 적용 가능성 탐색 _ 431
1. 질적 연구에서의 일반화의 재개념화 / 433
2. 질적 연구에서의 선행 연구 이용 / 434

제9장 해석적 이해와 글쓰기 439
Ⅰ. 해석과 이해 _ 441
1. 분석(글쓰기를 위한 해석)의 시작 / 441
2. 분석의 일반적 기술 / 443
3. 다른 가능성의 발견 전략 / 454
Ⅱ. 글쓰기 _ 455
1. 탐구 과정으로서의 글쓰기 / 455
2. 글쓰기의 스타일 / 456
3. 학술적 논문 구성으로서의 글쓰기 / 458
4. 탈현대적 질적 연구의 글쓰기 / 462

제10장 다문화 사회에서의 질적 연구: ‘연구윤리’와 ‘문화적으로 민감한 연구’ 469
Ⅰ. 연구윤리의 관점과 질적 연구의 수행 _ 471
1. 인간 대상 연구에서의 연구윤리 / 471
2. 다문화 사회에서의 질적 연구의 수행과 연구윤리 관점의 한계 / 475
3. 연구윤리 관점의 대안적 논의들 / 478
Ⅱ. 문화적으로 민감한 연구(CSR)의 개념, 역사 및 발달과정 _ 480
1. 문화적으로 민감한 연구에 대한 관심의 형성과 발달 / 480
2. 문화적으로 민감한 연구의 개념화와 적용 / 482
3. 유사 개념 / 485
Ⅲ. 문화적으로 민감한 질적 연구의 단계와 실행 _ 487
1. 연구문제의 형성과 연구의 계획 / 487
2. 자료의 수집 / 489
3. 자료의 분석과 해석 / 492
4. 연구 결과의 보고와 전달 / 494
5. 연구자의 반성과 성찰 / 497
Ⅳ. 결어: 해체와 재구성, 그리고 다문화 사회에서의 질적 연구 _ 500

찾아보기 / 505

저자소개

조영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조영달은 현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의 교수로 재직중이다.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펜실베니아 대학교(University of Pennsylvania)에서 시민교육과 교육의 질적연구방법론으로 철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90년 이후 서울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면서 한국교육인류학회장, 한국사회과교육학회장, 서울대학교 사범대학교 학장, 청와대 대통령 교육문화수석 등을 역임하면서도 많은 시간을 교육 현장의 질적 연구에 할애하였다. 대표적인 저서로는 『한국 중등학교 교실수업의 이해』, 『제도 공간의 질적연구 방법론』, 『한국 교실수업의 이해』, 『Teacher Education Frontiers』가 있으며 이외에도 학교와 수업의 질적 연구에 대한 다수의 저서와 논문을 국내외에서 발표하였다. 또한 조영달은 교사의 수업 행동에 대한 “일상적 최적화 이론”의 주창자이기도 하다.
펼치기
박선운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회교육과에서 학사, 석사 학위를 받고, 미국 워싱턴 대학교에서 다문화교육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지닌 학습자들의 교육 경험과 정체성 발달, 이들의 민주 시민으로서의 성장에 관심을 지니며, 문화감응적인 사회과 교육과정 개발 및 교실 수업 실행을 연구하고 있다. 대표 저·역서로『문화적 민감성을 높인 질적 연구의 이론과 실제(공저)』,『문화감응교수: 이론과 연구 그리고 실천(공역)』이 있다. 현재 청주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