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88999727139
· 쪽수 : 357쪽
· 출판일 : 2022-07-28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부 정치교육의 이론적 기초
제1장 정치교육과 교육정치 및 시민교육
1. 교육과 정치의 상호 관계성과 정치교육 쟁점
2. 정치교육의 지향점: 민주주의와 정치철학
3. 정치교육과 교육정치 및 시민교육: 개념적 정의와 상호 관계
4. 정치교육의 발전 과제
제2장 교육정치학과 정치교육의 이해
1. 정치와 교육 그리고 정치체제
2. 교육정치와 정치교육
3. 정치교육의 의미
4. 정치교육에 대한 기존 접근들
5. 교육정치학의 탐구 영역으로서 정치교육
제3장 정치교육의 목적과 의미
1. 인간의 조건으로서 정치 행위
2. 정치교육의 목적
3. 정치교육의 의미
제4장 시민교육 연구의 담론과 쟁점 및 발전 방향
1. 시민(권)교육 연구동향과 발전 방향
2. 시민(권)교육 연구 담론
3. 시민(권)교육 연구의 쟁점과 논의점
4. 시민(권)교육 연구의 발전 과제
제5장 시민교육과 민주교육의 정치철학 기반
1. 시민(권)교육의 쟁점과 정치철학
2. 시민(권)교육의 정치철학 기반과 교육적 지향점: 민주주의와 자유주의 및 시민공화주의
3. 학교교육과 시민교육 및 민주교육
제2부 정치교육의 실천적 토대
제6장 정치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1. 국가 교육과정과 정치교육
2. 정치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실행
3. 정치교육을 위한 교수ㆍ학습방법
제7장 정치교육을 위한 학교문화
1. 학교 정치교육과 문화에 대한 관점
2. 우리나라 시민교육과 문화
3. 정치교육을 위한 학교문화 개선 방향
제8장 정치교육을 위한 교육재정
1. 교육재정 운용체계와 정치교육
2. 정치교육 지원을 위한 교육재정 운용 방향 탐색
3. 현행 법제도에서의 학교운영 관련 학생참여 현황과 문제점
4. 학교에서의 정치교육을 위한 학교재정의 방향과 과제
제9장 정치교육을 위한 제도환경
1. 제도적 환경의 의미와 기능
2. 정치교육을 둘러싼 제도적 환경: 국제비교
3. 학교 정치교육을 위한 제도적 과제
제10장 정치교육을 위한 교사 전문성
1. ‘정치’, ‘정치교육’, ‘교사 전문성’의 관계
2. 정치교육을 위한 교사 전문성의 개념
3. 정치교육의 영역과 교사 전문성
4. 교사 전문성 향상을 위한 ‘참여’와 ‘실천’
제3부 정치교육의 과제와 전망
제11장 선거연령 하향과 정치교육
1. 선거연령 하향의 의미
2. 고3 유권자의 인식과 청소년의 정치참여
3. 고등학교 사회과의 정치교육 현황 분석
4. 선거연령 하향에 따른 정치교육의 과제
제12장 세계시민성과 정치교육
1. 세계시민교육의 이론적·실천적 토대: 정치교육(시민교육)과 지구교육
2. 정치교육(시민교육) 및 지구교육과 관련한 세계시민교육의 쟁점
3. 정치교육(시민교육)과 지구교육의 쟁점에 근거한 세계시민교육의 다양한 지향
4. 세계시민성 함양을 위한 정치교육의 방향과 과제
제13장 MZ세대를 위한 정치교육으로서의 통일교육
1. 들어가며
2. 통일교육의 의미와 현주소
3. MZ세대가 마주하는 통일
4. MZ세대 통일교육의 새로운 지향점
5. 어떻게 가르쳐야 하나
제14장 제4차 산업혁명과 정치교육
1. 제4차 산업혁명과 정치교육
2.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삶
3. 제4차 산업혁명 시대 정치사회화의 과제
제15장 초연결사회와 정치교육
1. 초연결사회의 특징
2. 초연결사회의 학교교육
3. 참여와 숙의로서의 정치교육
4. 초연결사회의 정치교육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