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정치교육론

정치교육론

(이론과 실천 및 과제)

박선형, 신현석, 송경오, 백선희, 박희진, 하봉운, 이전이, 이동엽, 이인수, 조현희, 모춘흥, 김왕준, 함승환 (지은이)
학지사
1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100원 -10% 0원
0원
17,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9,000원 -10% 950원 16,150원 >

책 이미지

정치교육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정치교육론 (이론과 실천 및 과제)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88999727139
· 쪽수 : 357쪽
· 출판일 : 2022-07-28

책 소개

교육의 탈(비)정치화 신화를 비판적으로 해체하면서, 정치과학의 제반 이론과 쟁점적 시각에 근거하여 바람직한 교육정치 공동체 구축을 위한 연구 활동과 실행 전략을 모색하는 책이다. 3부 각 5장씩 총 1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목차

머리말

제1부 정치교육의 이론적 기초

제1장 정치교육과 교육정치 및 시민교육
1. 교육과 정치의 상호 관계성과 정치교육 쟁점
2. 정치교육의 지향점: 민주주의와 정치철학
3. 정치교육과 교육정치 및 시민교육: 개념적 정의와 상호 관계
4. 정치교육의 발전 과제

제2장 교육정치학과 정치교육의 이해
1. 정치와 교육 그리고 정치체제
2. 교육정치와 정치교육
3. 정치교육의 의미
4. 정치교육에 대한 기존 접근들
5. 교육정치학의 탐구 영역으로서 정치교육

제3장 정치교육의 목적과 의미
1. 인간의 조건으로서 정치 행위
2. 정치교육의 목적
3. 정치교육의 의미

제4장 시민교육 연구의 담론과 쟁점 및 발전 방향
1. 시민(권)교육 연구동향과 발전 방향
2. 시민(권)교육 연구 담론
3. 시민(권)교육 연구의 쟁점과 논의점
4. 시민(권)교육 연구의 발전 과제

제5장 시민교육과 민주교육의 정치철학 기반
1. 시민(권)교육의 쟁점과 정치철학
2. 시민(권)교육의 정치철학 기반과 교육적 지향점: 민주주의와 자유주의 및 시민공화주의
3. 학교교육과 시민교육 및 민주교육

제2부 정치교육의 실천적 토대

제6장 정치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1. 국가 교육과정과 정치교육
2. 정치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실행
3. 정치교육을 위한 교수ㆍ학습방법

제7장 정치교육을 위한 학교문화
1. 학교 정치교육과 문화에 대한 관점
2. 우리나라 시민교육과 문화
3. 정치교육을 위한 학교문화 개선 방향

제8장 정치교육을 위한 교육재정
1. 교육재정 운용체계와 정치교육
2. 정치교육 지원을 위한 교육재정 운용 방향 탐색
3. 현행 법제도에서의 학교운영 관련 학생참여 현황과 문제점
4. 학교에서의 정치교육을 위한 학교재정의 방향과 과제

제9장 정치교육을 위한 제도환경
1. 제도적 환경의 의미와 기능
2. 정치교육을 둘러싼 제도적 환경: 국제비교
3. 학교 정치교육을 위한 제도적 과제

제10장 정치교육을 위한 교사 전문성
1. ‘정치’, ‘정치교육’, ‘교사 전문성’의 관계
2. 정치교육을 위한 교사 전문성의 개념
3. 정치교육의 영역과 교사 전문성
4. 교사 전문성 향상을 위한 ‘참여’와 ‘실천’

제3부 정치교육의 과제와 전망

제11장 선거연령 하향과 정치교육
1. 선거연령 하향의 의미
2. 고3 유권자의 인식과 청소년의 정치참여
3. 고등학교 사회과의 정치교육 현황 분석
4. 선거연령 하향에 따른 정치교육의 과제

제12장 세계시민성과 정치교육
1. 세계시민교육의 이론적·실천적 토대: 정치교육(시민교육)과 지구교육
2. 정치교육(시민교육) 및 지구교육과 관련한 세계시민교육의 쟁점
3. 정치교육(시민교육)과 지구교육의 쟁점에 근거한 세계시민교육의 다양한 지향
4. 세계시민성 함양을 위한 정치교육의 방향과 과제

제13장 MZ세대를 위한 정치교육으로서의 통일교육
1. 들어가며
2. 통일교육의 의미와 현주소
3. MZ세대가 마주하는 통일
4. MZ세대 통일교육의 새로운 지향점
5. 어떻게 가르쳐야 하나

제14장 제4차 산업혁명과 정치교육
1. 제4차 산업혁명과 정치교육
2.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삶
3. 제4차 산업혁명 시대 정치사회화의 과제

제15장 초연결사회와 정치교육
1. 초연결사회의 특징
2. 초연결사회의 학교교육
3. 참여와 숙의로서의 정치교육
4. 초연결사회의 정치교육

찾아보기

저자소개

신현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졸업(문학사) 미국 Wisconsin 대학교 대학원 교육행정학과 졸업(Ph.D) 한국교육정치학회, 한국교원교육학회, 한국교육행정학회 회장 역임 교육부 대학발전기획단장, 정책숙려제위원장, 정책자문위원 역임 고려대학교 기획예산처장, 사범대학 학장 및 교육대학원장 역임 현재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한국교육학회 부회장 · 주요저서 한국의 교육개혁정책(학지사, 2000) 한국 공교육의 새로운 구상과 전략(공저, 집문당, 2003) 한국의 고등교육 개혁정책(학지사, 2005) 한국의 교원정책(학지사, 2010) 한국 교육개혁의 정치학(공저, 학지사, 2014) 한국의 대학평가(공저, 학지사, 2020)
펼치기
신현석의 다른 책 >
송경오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학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과(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행정 전공(석사) 미시간주립대학교 교육정책 전공(박사) <경력> (현) 조선대학교 교수 <주요 연구물> (저서) 정치교육론(공저, 학이시습) 교육행정학연구방법론 핸드북(공저, 학지사) 외 (학술논문) Re-thinking Democracy of Higher Education in South Korea(Journal for Critical Education Policy)
펼치기
하봉운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직 경기대학교 진성애교양대학 교직학부 교수 학 력 연세대학교 교육학과(문학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경제전공(교육학석사) 미국 University Of Wisconsin At Madison 교육행정학과(철학박사) 주요 경력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회장 교육부-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교육자치정책협의회 위원 지방교육행정기관 조직분석진단 위원 주요 저서 교육법의 이해와 실제(공저, 교육과학사, 2022) 정치교육론(공저, 학지사, 2022) 교육재정학(공저, 학지사, 2014) 연구 분야 교육재정, 지방교육자치, 교육법, 교육정책 등
펼치기
하봉운의 다른 책 >
김왕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졸업(교육학 석사) Michigan State University(교육정책학 박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현)
펼치기
모춘흥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연구교수 한양대학교 정치학 박사 전공 분야: 북한정치, 남북관계, 북한사회문화, 통일인문학 대표 논저: ?탈북민에 대한 ‘환대’ 가능성 탐색?(2019, 공저), ?타자와의 조우: 북한이탈주민의 존재성과 분단체제의 현실 이해?(2019, 공저), ?규범세력(normative power)으로서의 유럽연합(EU)의 對?, ?북한 인권정책?(2018, 공저), ?영화 <그물>을 통해서 본 ‘분단체제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2017)
펼치기
조현희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에서 학사, 석사학위를 받고, 미국 워싱턴대학교(University of Washington)에서 교육과정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정의롭고 평등한 학교 교육과정과 수업을 창안하기 위해 교육과정 정책과 실행, 이론과 실천 사이의 역학을 항해하며 대안적 공간을 창출해나가는 교사들의 인식과 실천을 연구하고 있다. 미래인재 양성과 관련하여 고려대학교HRD정책연구소 수시과제를 담당하고 있으며, 한국과학창의재단 창의융합형 교육기부 컨설팅단 사업과제의 책임을 맡고 있다. 현재 홍익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이전이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기도교육연구원 부연구위원이다. 한양대학교 교육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교원교육을 비롯한 여러 교육정책이나 교육현상을 형평성의 관점에서 분석하는 데 관심을 가지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The effect of teacher influence relative to principal influence in school decision-making on teacher job attitudes”(공저, 2023), “졸업유예는 누구에게 기회가 되는가?: 대학 소재지에 따른 노동시장 성과 비교 분석”(공저, 2021), “Effects of South Korea’s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project on elementary-and middle-school students’ changes in self-esteem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공저, 2020), “교육의 공정성과 적정성의 관계: 28개 OECD 회원국의 학업성취 결과를 중심으로”(2019)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정치교육론: 이론과 실천 및 과제』(공저, 2022) 등이 있다.
펼치기
백선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시간 주립대학교(Michigan State University) 대학원, Ph.D. 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관심 분야: 교육과정, 교육과정 정책, 교원 교육과정 등
펼치기
박희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피츠버그 대학교(University of Pittsburgh) 대학원, Ph.D. 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 관심 분야: 다문화교육과 정책, 교원교육과 정책, 국제이해와 비교교육, 시민교육 등
펼치기
이동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대학원, Ph.D. 현 한국교육개발원 교원정책연구실 연구위원 관심 분야: 교원정책, 학교자치, 교원양성기관 교육과정 등
펼치기
이인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 박사로 교육행정학 및 고등교육학을 전공 했다. 현재 서울 용화여자고등학교 교사이면서 고려대학교 겸임교수로 교육과 연 구를 병행하고 있는 제3지대 교사 연구자이다.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교육 행정 및 교육경영’ 과목을 가르치고 있으며, 주요 관심사는 교육 변화와 혁신, 교 육 리더십, 교육정책, 교육행정, 조직문화 등이다. 이번 책 집필을 기획하고, 총괄 했으며, 최근 AI·디지털 대전환 등 급변하는 교육환경의 변화와 학교현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서를 집필했다. 2. 배현순: 부대표 저자(10장) 저자는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 박사로 평생교육을 전공했다. 현재 도봉구 청에서 UN대학 지속가능발전교육 거점도시(RCE) 업무를 총괄하고 있으며, 한국 외국어대학교 겸임교수로 ‘ESD 공동인증 학점제’ 과목을 담당하고 있다. 도봉구 에서 국내·외로 생애주기별 ESD 운영과 확산을 위해 실험적인 프로젝트를 진행 하고 있다. 실천 연구자(practitioner-researcher)로서 생태전환과 지속가능발전 교육(ESD)에 대한 현장의 이해를 기반으로 본서를 집필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99780097